|
출처: 스톰프뮤직 원문보기 글쓴이: 그레이스
![]() | ||
R석 5만원 / S석 4만원 / A석 3만원 | ||
![]() | ||
마포구민 10% 할인 -> 스톰프뮤직 까페 및 홈페이지 회원 20% 할인 전화 : 02) 3274-8600 | ||
![]() | ||
마포아트센터 재개관 1주년 기념 페스티벌 Premium Classic Series 김정원과 프라임 필하모닉이 드리는 특별한 감동 "노르웨이 숲" Program 박정양 Symphonic Overture “metamorphosis”(재개관 1주년 기념 위촉작품) Profile
협연 : Pianist 김정원 (Julius-Jeongwon Kim) http://www.juliuskim.com/ 이미 국내에서 최고의 젊은 세대 피아니스트로 인정받는 김정원 은 섬세한 음색과 화려한 테크닉, 감성과 논리의 조화로부터 나오는 강렬한 카리스마로 유럽의 무대에서도 명성을 떨치고 있다. 일찍이 국내 유수 청소년 콩쿠르들을 석권하고 예원학교 재학 중 오스트리아 유학길에 오른 김정원 은 만 14세의 나이로 빈 국립음대에 이례적인 최연소 수석입학을 했고 2년 후 빈에서 열린 엘레나 롬브로 슈테파노프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 빈 무직페어라인의 황금홀에 데뷔하여 자존심 강한 빈 음악계에 '김정원'이라는 이름을 알렸으며 93년 동아 음악 콩쿠르 우승 이후 마리아 카날스, 부조니, 자일러, 더블린 등 세계 유수 콩쿠르에서 입상한 후 97년 빈에서 열린 뵈젠도르퍼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우승함으로써 빈 음악계에 다시 한 번 그의 저력을 과시했다. 빈 국립음대 최우수 졸업과 함께 파리 고등 국립 음악원 최고 연주자 과정에 한국인 최초(피아노과)로 입학해 거장 Jacques Rouvier를 사사하였으며 졸업 이후 활발한 연주활동을 펼치고 있다. Vladimir Fedoseyev가 지휘하는 빈 심포니, 거장 쇼스타코비치의 아들인 Maxim Shostakovich가 지휘하는 체코 필하모닉, Dennis Russel Davies가 지휘하는 린츠 브룩크너 오케스트라 외에도 독일 하노버 방송 교향악단(NDR), 독일 뉘른베르크 심포니, 부다페스트 국립 필하모닉, 프라하 라디오 심포니, 토론토 심포니, 덴마크 국립 방송 교향악단, 체코 야나첵 필하모닉, 독일 예나 필하모닉, 독일 카셀 국립 오케스트라, 북체코 국립 필하모닉, 나고야 필하모닉, 폴란드 루토슬라브스키 오케스트라 등 세계 유수의 오케스트라와 협연을 비롯, 국내에서는 KBS교향악단, 서울시향, 부천시향, 대전시향, 울산시향, 코리안심포니 등과 협연하였다. 폴란드 쇼팽협회가 주최하는 바르샤바 쇼팽 페스티발, 펜데레츠키 파운데이션이 주최하는 크라코프 베토벤 페스티발, 체코의 체스키 크룸로프 국제 음악제, 테플리체 베토벤 페스티발, 이탈리아 피아노 에코스 페스티발 등 유럽의 유서깊은 음악제의 솔리스트로 다수 연주하였으며 체코의 클라우스 대통령에게 직접 감사패를 수여받기도 하였다. 실내악 연주에도 커다란 관심을 갖고 있는 그는 세계적인 거장 첼리스트 Mischa Maisky를 비롯 바이올리니스트 김지연, 첼리스트 조영창 등 여러 뮤지션들과의 실내악 공연을 계속 해오고 있으며 2003년 바이올리니스트 김수빈, 첼리스트 송영훈, 비올리스트 김상진 과 함께 M.I.K.Ensemble을 결성해 국내외 음악계의 찬사를 받으며 활동 중이다. 2006년 ‘김정원 과 친구들’이라는 타이틀로 바이올리니스트 백주영, 첼리스트 송영훈 그리고 대중음악가 김동률, 하림과 함께 장르를 넘나드는 다양한 앙상블을 선보여 이색적인 공연으로 큰 성공을 거두며 호평 받았고 또한 피아노 신동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 ‘호로비츠를 위하여’에 특별출연하여 직접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을 연주해 대중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심어 주었다. 현재 김정원 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 거주하며 유럽을 중심으로 솔로와 실내악, 음반 레코딩 등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휘자 여자경은 한양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지휘과에서 박은성을 사사하면서 지휘에 입문하였다. 대학원 과정 이후 도오하여 세계 여러 거장들을 배출한 비엔나국립음대(Universitat fur Musik und darstellende Kunst Wien) 에서 Wien Volksoper 오페라극장 음악감독 Leopold HAGER를 사사하였으며, 입학에서 졸업까지 학과과정 내내 최고점수를 얻어 학교가 주는 장학금과 훌륭한 음악인 상으로 매년 한 명에게 주어지는 야나첵 장학금(Dr.Martha Sobotka-charlotte Janaczek-Stiftung)을 수여하였다. 2005년에는 빈 필(Wiener Philharmonic)의 매년 신년음악회가 열리는 뮤직페어라인 황금홀(Musik Verein Golden Saal)에서 빈 라디오심포니 오케스트라(RSO)를 지휘하면서 심사위원 만장일치 최고점수를 얻어 Magister를 획득하였다. 그는 2002년 세이지 오자와(Seiji Ozawa)의 일본 오사카와 토쿄에서 열린 젊은 지휘자들을 위한 세미나에 초청받았고, 2008년 러시아 상트페테스부룩에서 열린 국제지휘콩클(International Prokofiev Competition)에서는 3등을 수상하여 여성으로는 최초의 수상자명단에 올랐으며, 다시금 상트페테스부룩 음악축제기간에 초청받아 상트베테스부룩 필하모닉을 지휘하게 된다. 2005년 한국에서 열린 제 1회 수원국제지휘콩클에서 Special Prize 를 수상하였고, 2002년과 2004년 프랑스 부장송 국제지휘콩클(Concours international de jeunes chefs d'orchestre), 2008년 멕시코에서 열린 마타국제지휘콩쿠르(Matha International Conduc ting Competition), 2006년 스페인 코르도바 국제지휘콩쿠르(Concurso para Jovenes Directores de Orquesta), 2006년 체코 프라하 국제지휘콩쿠르(Prague Spring Inter national Competition)의 국제지휘콩클의 파이널 리스트로 참여하여 오케스트라가 주는 Special Prize 를 수상하였고 부상으로 연주회에 초청을 받기도 했다. (France Paris National Orchestra) 여자경은 국내에서는 KBS 교향악단, 코리안심포니, 대구시립교향악단, 춘천시립교향악단을 지휘하였고, 유럽에서는 Wien Radio Symphony Orchestra (RSO), Rumanien Orchestra, Bratislava Radio Symphony Orcheatra, France Besanc on City Orchestra, Paris Lyon national Orchestra, Cheko Praha Radio Symphony Orchestra, Paris national Orchestra, Saint Petersburg Capelle Orchestra, Saint Pet ersburg Philharmonic Orchestra, Graz Evangelische Orchestra, Anton von Webern Symphony Orchestra, Volksoper Orchestra 등을 지휘하였는데, 연주자들로부터 ‘같이 연주하고 싶은 지휘자’라는 평가를 받아 유럽과 한국의 여러 오케스트라로부터 계속 이어지는 러브콜을 받고 있다. 2005년부터는 Volksoper Wien 오페라극장에 지휘자 겸 오페라코치로 일하면서 세계정상급 오페라가수들을 코치했으며, 음악감독인 Leopold HAGER 의 어시스턴트로 Volksoper Orchestra 를 지휘하였다. 도오 이전 국내에서 강원대학교, 국악예술고등학교, 부산총회신학교 등의 강사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관현악과 강사로 재직 중이다.
Composer 박정양 연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및 대학원을 졸업한 작곡가 박정양은 도미 하여 미국 California state university, L.A. 대학원(M.A.)과 미국 University of Pennsylvania 박사학위 취득(Ph.D.)하였다. 1994년 부산 현대음악제 대상, 1998년 Nitsche Music Prize 수상과 2005년 대한민국 음악상을 수상한바 있고, 국악 앙상블을 위한 “보랏빛 소묘”, 현악사중주 제2번 “바람이 일다”, "Tractus II" for Percussion Ensemble, 교향시 “여명”(마포문화센터 개관기념 위촉작품) The wind is Rising, 미술, 무용, 음악이 합류하는 스펙터클, 분도문화예술, Symphonic Poem "Nativity", 피아노 변주곡 "아리랑", A "soltitude" for A violin (창악회), 관현악과 피아노를 위한 협주적 변주곡 "How Great Thou Art" (K.B.S.연주홀), "꽃" (대한민국 창작합창축제 위촉작품), "A solo for violin" (2002 한일 올림픽 성공 기원 음악회, Teatro stabile S.F. Romania, Italy), "Spectra" for Orchestra (Curtis Symphony Orchestra), "String Qrartet No.1" (Los Angeles Ibel Theater), "Duo" for violin and Cello(Network Contemporary Music Ensemble, Philadelphia), "Aurora" for Brass Quintet" (Curtis Brass Quintet), "Children of the Barren Land" for 9 players (Curtis Ensemble), "Tractus" for Percussion Ensemble (LA City College Hall) 등 다수의 작품 발표 하였으며, 21세기악회, 창악회, ISCM, NACUSA, PCMC회원으로 활동 중이고 현재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음악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Prime Philharmonic Orchestra 1997년 2월 창단된 프라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국내외 정상급 지휘자를 영입하고, 우수한 기량과 열의를 갖춘 연주자들로 단원을 구성하였으며, 교향악은 물론 오페라와 발레 등 극장 음악 전문오케스트라로서 그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또한 홍혜경, 조수미, 이네사갈란테, 레나토부르손, 안드레아보첼리, 알브레히트마이어, 강동석, 백건우, 김대진, 아메리칸 발레 씨어터, 강수진의 슈투트가르트 발레단, 국립오페라단, 발레단, 합창단 등 국내외 저명 연주자들과 단체들의 공연 시 협연을 통해 다양한 음악적 색채를 구현하는 매력적인 오케스트라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