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국민들의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대한 의견이 양쪽으로 갈라져있습니다.
1,300명의 민간인 사망한 이스라엘 입장에서는 공격을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동안 압박을 당해온 하마스와 팔레스타인의 입장도 이해가 갑니다.
사회과학에 정답은 없어 보입니다.
과연 이스라엘이 지상공격을 감행할까 전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Koreans divided over Israel-Hamas war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분열된 한국인들
By Lee Hyo-jin 이효진 기자
Posted : 2023-10-15 16:29 Updated : 2023-10-16 08:03
Korea Times
Support for Palestine on university campuses sparks debate
대학캠퍼스 내 팔레스타인 지지 논쟁촉발
Koreans are divided over the ongoing military conflict between Israel and Palestinian Islamist militant group Hamas, with people expressing differing views on the root cause of Hamas' attack and which side is responsible for the current violence in the Middle East.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이슬람 무장단체 하마스 간의 현재 진행중인 군사적 충돌에 대해 한국인들은 의견이 엇갈리고 있으며, 하마스의 공격의 근본원인과 현재 중동에서의 폭력사태의 책임이 어느 쪽에 있는지에 대해 사람들은 서로 다른 의견을 표명하고 있다.
On Sunday afternoon, around 200 people gathered in the streets of central Seoul's Itaewon neighborhood, calling for an end to Israel's military action, in a rally organized by the Workers’ Solidarity Youth Group. It was the second pro-Palestine protest organized by the progressive youth group after the first one at Gwanghwamun, downtown Seoul, last Wednesday.
지난 일요일 오후, 노동자연대청년단이 주최한 집회에서 200여 명이 이스라엘의 군사행동 중단을 요구하며 서울 이태원일대 거리에 모였다. 진보성향 청년단이 주최한 친 팔레스타인 시위는 지난 수요일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1차 시위에 이어 두 번째였다.
"Today's rally was organized together with Palestinian residents living in Korea, and joined by Korean and foreign residents who support Palestine in its fight against Israel," Park Hye-shin, a member of the activist group, told The Korea Times.
"오늘 집회는 한국에 거주하는 팔레스타인 주민들과 함께 조직되었고,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한국인과 외국인 주민들이 이스라엘과의 싸움에 함께 참여했다"라고 운동 단체의 박혜신 회원이 코리아 타임즈에 말했다.
The participants marched down the street chanting "Free Palestine!" and demanding the Israeli government stop its military action in the Gaza Strip.
Over the past week, the group has been putting up posters carrying statements supporting Palestine at university campuses across Seoul, in what Park described as "showing solidarity for Palestinians who have suffered for decades from Israeli apartheid."
참가자들은 "자유 팔레스타인!"을 외치며 이스라엘 정부에 가자 지구에서의 군사 행동 중단을 요구하며 거리를 행진했습니다. 지난 일주일 동안 이 단체는 서울 전역의 대학 캠퍼스에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성명서를 게시해 왔는데, 박씨는 이를 "이스라엘 아파르트헤이트로 수십년 동안 고통 받아온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위한 연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As college students, we should not turn a blind eye to the sufferings of Palestinians, considering our own nation's painful history of being a victim of colonial occupation," she said.
그녀는 "대학생으로서 식민지 점령의 희생자였던 우리나라의 아픈 역사를 생각할 때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고통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The posters, on display at over a dozen campuses in Seoul includ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and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ave sparked debates among college students.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중앙대학교 그리고 한국외국어대학교를 포함한 서울의 12개 이상의 캠퍼스에 전시되고 있는 이 포스터들은 대학생들 사이에 논쟁을 촉발시켰다.
"I got the impression that the poster is justifying Hamas' terrorist attacks. I've seen videos of inhumane killings of (Israeli) civilians by Hamas, with many being taken hostage," said Sim Ga-eun, a senior at Chung-Ang University studying social welfare.
"해당 포스터를 보고는 나는 그 포스터가 하마스의 테러 공격을 변명하려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나는 하마스에 의해 이스라엘 민간인들의 비인도적인 살해와 많은 사람들이 인질로 끌려가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라고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있는 심가은 학생이 말했다.
"It doesn't seem appropriate to take sides when both parties seem to be responsible for the ongoing war," she added.
"양측 모두 현재 진행 중인 전쟁에 책임이 있다고 여겨질 때 어느 한 쪽을 들지 않는 것이 더 적절해 보인다," 그녀는 덧붙였다.
Im Joo-young, a student at Ewha Womans University majoring in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said the posters help raise awareness about wartime atrocities, an issue that every student should care about.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 다니는 임주영 학생은 포스터가 전쟁 중의 강제노역과 같은 전쟁 범죄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Photos and videos of terrible civilian massacres are being displayed on social media without any filtering and Israel is suspected of using white phosphorus," Im said. "Regardless of why the conflict began in the first place, I think the situation has turned into a heinous war without any protection for civilians."
"허술한 필터링 없이 소셜 미디어에 끔찍한 민간인 학살의 사진과 동영상이 공개되고 있으며 이스라엘은 화이트 인화약을 사용한 것으로 의심된다,"라고 임은 말했다. "처음에 전쟁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와 관계없이 상황은 민간인을 위한 어떠한 보호도 없이 악랄한 전쟁으로 전락한 것 같다."
Amid continuing debates here over the Israel-Hamas conflict, the Korea-Israel Friendship Association, consisting primarily of scholars and led by former Education Minister Hwang Woo-yea, is planning to hold a press briefing to show support for the Jewish state.
이스라엘-하마스 갈등에 대한 계속된 논의 속에서 전 황우여 교육부장관을 중심으로 주로 학자들로 구성된 한국-이스라엘 우정협회는 유대국가를 지원하기 위한 기자 브리핑을 갖기로 계획 중이다.
The association had initially planned to hold a press event on Friday afternoon at Gwanghwamun attended by Israeli Ambassador to Korea Akiva Tor and U.S. Ambassador to Korea Philip Goldberg.
이 협회는 초기에 이스라엘 주한 한국 대사 아키바 토르와 미 대한민국 대사 필립 골드버그가 참석할 광화문에서 금요일 오후에 기자회견을 개최할 계획이었다.
But the organizers called off the event just hours before the scheduled time due to "unexpected circumstances," as cited in a statement issued by the Israeli Embassy.
그러나 주최자들은 이스라엘 대사관이 발표한 성명서에 따르면 예기치 않은 상황으로 인해 예정된 시간 몇 시간 전에 이 행사를 취소했다.
It is said the organizers feared potential threats targeting the pro-Israel press conference after Hamas declared Oct. 13 as the "Day of Rage," which spurred mass rallies largely by Muslims around the world in support of Palestinians.
주최자들은 하마스가 10월 13일을 "분노의 날"로 선포한 후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세계의 대부분의 이슬람 국가에서 대규모 집회가 일어날 것을 우려하여 이번 프로이스라엘 기자회견을 향한 잠재적인 위협을 두려워했다고 전해졌다.
An official at the Israeli Embassy said Sunday that the press conference has not been canceled entirely, and may be rescheduled for this week.
이스라엘 대사관의 한 관계자는 일요일 기자회견이 완전히 취소된 것은 아니며 이번 주에 다시 일정을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Since Hamas' surprise cross-border attack on Oct. 7, the military conflict between the two sides has escalated into a violent war. The combined death toll has surpassed 3,000 as of Sunday, and the figure is expected to rise as the Israeli military is preparing for a major ground invasion of the Hamas-controlled Gaza Strip.
하마스가 10월 7일에 갑작스러운 국경 넘어 공격한 이후 양측 간의 군사 충돌은 격화되어 폭력적인 전쟁으로 번지고 있다. 일요일 현재로서 합산 사망자 수는 3,000을 넘어섰으며, 이스라엘 군은 하마스가 통제하는 가자 지구로의 주요 지상 공격을 준비하고 있어 이 수치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ongoingmilitaryconflict계속되는군사충돌 #PalestinianIslamistmilitantgroupHamas 팔레스타인이슬람무장단체하마스 #rootcause근본원인 #solidarity연대 #apartheid 아파르트헤이트(인종차별정책) #collegestudents대학생들 #campus캠퍼스 #awareness인식 #pro-Israelpressconference친이스라엘기자회견 #groundinvasion 지상 공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