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 왕자(프랑스어: Le Petit Prince), 1943년》 생텍쥐페리
《어린 왕자》(프랑스어: Le Petit Prince)는 프랑스의 비행사이자 작가인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가 1943년 발표한 소설이다.
1943년에 미국에서 처음 출판되었고, 그 해 비시 프랑스 치하의 프랑스에서 비밀리에 출판되었다. 프랑스가 해방된 이후 1947년 가리마르사(社)가 작자 자필의 이상하고 아름다운 삽화를 넣어 프랑스에서 새로 출판하였다.
현재까지 180여 개 국어로 번역되었고, 한국어판 중에는 저자의 삽화가 삽입되어 있는 번역본이 있다. 영화와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었다.
프랑스 공군 비행사이자 작가인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Antoine de Saint-Exupéry)가 1943년 발표한 소설.
대강의 줄거리는 어느 사막 한가운데에 불시착한 조종사가 어린 왕자를 만나 왕자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는 내용이다.
기본적으로 동화와 비슷한 분위기를 띄고 있으면서도 풍자적인 내용이 섞여 있는데(혼자밖에 없는 별에서 왕을 칭하는 사람이라든지, 흑백 논리 신봉자라든지), 이 때문에 어린 시절의 느낌과 어른이 되어 읽는 느낌이 사뭇 다른 것으로도 유명하다.
수많은 매체에서 동심의 상징으로 다루고 있다. 작중 동심에 관련된 이야기로 '코끼리를 잡아먹은 보아뱀'이 유명하다. 이후 '코끼리를 잡아먹은 보아뱀' 이야기가 널리 퍼져 아이든 어른이든 그 유명한 그림을 보여줬을 때 모두 '코끼리를 잡아먹은 보아뱀'이라고 답하게 되자, 작가인 생텍쥐페리는 이 사실에 절망감을 느꼈다고 한다. 생텍쥐베리는 이 이야기를 통해 어린이들의 동심에서 비롯된 '틀에 얽매이지 않는 생각'을 말하고자 한 것인데, 정작 이 우화를 통해 '또 하나의 틀'이 생겨나버리게 된 셈이니 말이다.
작중 삽화가 대부분의 판본에서 동일한 이유는 이것 역시 작가가 직접 그린 오리지널이기 때문이다. 그렇게까지 잘 그렸다고는 말하기 힘들고, 작중 화자 스스로가 자신은 보아뱀 그림 이후에 그림 공부를 한 적이 없다고 말했고, 어린왕자가 화자가 그린 그림을 보고 이상하게 그렸다고 지적하는 부분도 있다. 그렇지만 묘한 매력이 있으며, 우화 스러우면서도 풍자적인 면모가 잘 살아나는 글의 분위기와도 당연히 가장 잘 어울린다. 근래에 화려한 일러스트로 수정되어 새로 출판되는 경우도 많지만 원작의 그림을 선호하는 경우가 꽤 많다.
작품 안에 명대사가 많은 것으로 무척 유명하다.
약 300여개의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전세계 160개국에서 출판되었는데, 단 한 나라에서는 '어린 왕자'라고 말하면 못 알아듣는다고 한다. 바로 일본. 별의 왕자님이란 제목으로 출판되었기 때문이다.
가끔 역이나 대형 마트같은 곳의 포켓 사이즈 책 자판기나 가판대를 보면 각종 자기 계발서의 홍수 속에 자기 계발서가 아닌(표면적으로는) 이 책이 고고하게 모셔져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2. 출판 과정
미국에서 처음 발간된 소설이다. 이 소설의 유래가 참 재밌는데, 생텍쥐페리가 뉴욕에 체류 중이었을 당시, 미국의 담당 출판업자인 유진 레이날(Eugene Reynal)과 저녁 식사를 하던 도중에 냅킨에 낙서로 아이 한 명을 그렸다. 유진이 그 그림을 보고 생택쥐페리에게 "크리스마스 전까지 그 아이를 소재로 동화를 쓰면 참 좋을 텐데요."라고 제안한 것이 이 소설을 탄생시킨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유진이 그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제안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사실 그는 처음부터 그림이나, 동화 창작에 관심이 많았다. 1940년 당시, 병원에 입원해서 치료를 받던 도중에, 어느 여배우가 그에게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인어공주를 읽게 했고, 또 다른 친구가 그에게 수채화 물감을 선물해주었던 것이다. 침대에 누워 기분전환으로 긁적인 아이디어가 실제 작품이 된 케이스라고 하겠다. 일러스트를 다른 삽화가들에게 부탁했으나, 느낌이 오지 않았는지 결국 자신이 직접 그리게 된다.
뉴욕의 펜트하우스에서 원고를 쓰기 시작했지만, 뉴욕의 여름 날씨와 시끄러운 소음에 괴로워 하던 차에, 친구의 조언을 받아들여 뉴욕에서 기차로 45분 거리에 있는 롱아일랜드 노스포트 근처 이튼 네크의 Asharoken이란 마을에서 식민지풍의 하얀 삼층집을 세내어 살게 된다. 그는 여기에서 주로 밤에 커피와 담배의 도움을 받으며 창작했는데, 한밤중에 친구들을 깨워서 작품에 대한 조언이나, 드로잉의 자세에 대해서 논의했다고 한다. 친구 중 한 명이 어린왕자나 여타 다른 사람들의 포즈를 담당하는 식으로 도와주기도 하였다. 참고로, 양에 대한 영감은 그 집에서 기르던 푸들을 보고 떠올렸고, 호랑이는 역시 같은 집에서 기르던 복서에게서 영향 받은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렇게 작업하다가 책상에서 자던 일도 흔했다고 한다.
그렇게 1942년 여름에서 가을까지 작업한 원고를 같은 해 10월에 끝마쳤다. 그렇게 1943년 4월 6일, 뉴욕에서 영어판과 프랑스어판을 동시 출간하게 된다. 이 때 유진의 회사가 프랑스의 갈리마르 사(社)와 분쟁을 겪기도 했는데, 생텍쥐페리의 모든 원고의 저작권은 갈리마르 사(社)가 가지고 있다는 계약 때문이었다. 비시 프랑스에서 몰래 출판되다가, 갈리마르 사는 출판된 원고의 타자기 본을 바탕으로 1945년 11월에 프랑스어 판을 정식으로 출간한다.(그러나 전후 종이 사정으로 인해 1946년에서야 본격적으로 서점에서 보이기 시작했다.) 어린왕자의 번역이 역자마다 미묘하게 다른 이유는 이러한 판본의 차이 때문이다.
3. 등장인물
• 어린 왕자
B-612라는 소행성에서 살고 있던 소년. 자신의 별에서 바오밥나무 싹을 캐거나 석양을 보거나 화산 청소를 하고 하다가 어느 날 자기 별로 들어와 싹을 틔운 장미꽃과 함께 살게 되었지만, 장미와 다툰 후 철새 무리를 이용해 이 별 저 별 떠돌아다니다가 지구에서 조종사와 만난다. 조종사와 사막에서 만나기 전에도 지구 여기저기를 떠돌아다녔으며 사막여우, 상인, 장미꽃들과 만났다. 거기서 여우를 통해 '가장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아' 라는 중요한 사실을 깨닫고, 뱀(독사)에겐 "네가 원한다면 내가 널 너의 별로 돌려보내 줄 수 있다"는 말을 듣는다. 조종사와 만난 이후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고 사막을 돌아다니다가 자신의 별로 돌아간다.
• 조종사(앙투안 드 생택쥐페리)
사막에 불시착한 조종사. 거기서 어린 왕자를 만난다. 작품의 서술자. 처음엔 양을 그려달라고 하는 어린 왕자를 귀찮아하기도 했지만, 나중엔 가까워진다. 어린 왕자가 자신의 별로 돌아간 후, 사막에서 벗어나 사람들이 사는 곳으로 되돌아간다. 작중에서 이름이 나오지는 않지만, 비행기 조종사이고 이야기를 사람들에게 전하는 화자라는 점 때문인지 이 사람을 작가 생텍쥐페리와 동일시하며 읽거나 해석하는 사람들이 많은 듯하다.
• 장미꽃
자존심이 강하지만 본심은 상냥한 꽃. 원래 어린왕자네 별 출신이 아니고, 다른 공에서 날아온 씨가 어린왕자가 살고 있던 소행성에 장착해 싹이 터서 피어난 것이다. 왕자의 서툰 애정의 대상이다. 자존심이 강하지만 장미꽃에게도 깊은 관계를 형성한 것은 어린 왕자와의 관계가 처음이기에, 둘은 관계를 맺은 것을 고통스러워 하다가 아련한 이별을 하게 된다. 스토리상 왕자가 별을 떠나게 되는 이유이며, 또한 왕자가 자신의 별로 돌아가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 사막여우
어린 왕자가 지구에서 만난 동물들 중 하나로, 어린 왕자와 친해진다. 어린 왕자에게 중요한 사실들을 담은 명대사를 말해주는 명대사 제조기. 어린 왕자와 친해졌으나 결국 어린 왕자를 따라가지 않고 헤어진다. 헤어지기 전 어린 왕자에게 특별한 존재의 소중함을 가르쳐주기도 했다. 사실상 본 소설의 주제의식을 대변하는 인물. 사실 생택쥐베리가 어린왕자를 쓰기전 사막에서 살때 사막여우를 길렀다는데 이러한 경험이 소설에 녹아든 캐릭터라 할 수 있겠다.
• 뱀
노란 색의 뱀으로 묘사되며, 어린 왕자가 지구에서 만난 동물들 중 하나. 사람을 한 번에 물어서 죽일 정도의 맹독을 지닌 독사지만 어린 왕자를 해치지 않는다. 대신 그에게 이런저런 조언도 해주고, 그가 자기 별로 돌아가고 싶거든 자신이 도와줄 수 있다고 말한다. 작품 후반부에 다시 한 번 어린 왕자와 만나는데, 어린 왕자가 이 맹독을 지닌 뱀과 대화를 나누는 걸 보고 기겁한 조종사가 그를 뱀으로부터 떼어놨다. 이후 어린 왕자가 자기 별로 돌아가기를 원한 것을 들어주기 위해 어린 왕자를 물어서 쓰러지게 만든 후, 사막 어딘가로 사라진다.
• 왕(Roi)
어린왕자가 방문한 첫번째 별의 주인. 늙은 왕으로, 자신이 살고 있는 작은 행성을 뒤덮을 정도로 긴 코트를 걸치고 있다. 자신의 눈에 보이는 사람은 누구든지 신하로 여긴다. 겉으로 보기엔 일방적으로 명령만 내리는 절대군주처럼 보이지만, 사리에 맞는 명령만 내리려 하는 훌륭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온 우주를 다스리고 있지만, 정작 주변에 이야기를 나눌 사람이 아무도 없어서 무척 외로워한다. 때문에 어린왕자가 오자 간만에 함께 대화할 사람이 왔다고 좋아했으나, 왕자가 곧 떠나려고 하자 섭섭해하면서도 대사로 임명한다는 명목으로 그를 보내준다. 어린왕자의 여섯 별 방문기 중 가장 분량이 많다.
• 허영심 많은 남자 (Vaniteux)
2번째 별의 주인. 멋진 옷과 모자를 차려입은 신사이다. 허영심에 잔뜩 찌들어 있어서 오직 자신을 찬양하는 말에만 반응하며, 박수를 받으면 모자를 들어올리며 답례하는 버릇이 있다. 어린왕자는 이러한 모습에 지겨워해 떠나갔다.
• 술꾼 (Buveur)
3번째 별의 주인. 술주정뱅이로, 언제나 술에 취해있다. 어린왕자의 방문기 중 가장 분량이 짧으며, 논리적 오류를 하나 만들어내고 끝이 나버린다. 어린왕자가 술꾼에게 왜 술을 마시냐고 묻자. 술을 마시는 이유는 부끄러움을 잊기 위함이라고 답한다. 그러자 어린왕자가 무엇이 부끄럽냐고 묻자, 자신이 부끄러운 이유는 술을 먹기 때문이라고 답한다. 말 그대로 어린이들은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어른들의 복잡하고 모순적인 내면을 상징하는 인물. 술꾼의 분량이 유독 짧은 이유는 어린왕자가 이 별을 금방 떠나버려서이다. 어른의 전형을 상징하는 술꾼과 때묻지 않은 동심을 상징하는 왕자가 완전한 대립항을 이루기 때문이다.
• 사업가 (Businessman)
4번째 별의 주인. 엄청난 돈을 벌어들이고 있는 사람으로, 책상에 앉아서 '자신이 소유하게 된' 별들을 끊임없이 세는 일만 한다. 별의 수를 센 다음 그 갯수를 '은행'(사실은 자기 책상 서랍)에 '예금'하며 살고 있다. 거의 억단위로 별의 숫자를 셀 정도인데, 그만큼 워낙 바빠서 어린왕자가 자신에게 말을 거는 것을 무척 귀찮아한다. 마지막에 어린 왕자에게 제대로 디스당한다. 어린 왕자가 가장 따가운 혹평을 쏟은 사람이다. 별들을 '소유'해도 그게 그에게 무슨 도움이 되냐고 묻는 왕자의 질문에 아무 대답도 못한다...
• 가로등을 켜는 사람(점등인) (Allumer de réverbère)
5번째 별의 주인. 왕의 명령으로 아침에 가로등의 불을 끄고 밤에 불을 켜는 일을 하고 있었지만 무슨 일인지 자신의 별의 자전속도가 빨라지는 바람에 거의 초단위로 가로등의 불을 켰다 껐다 하고 있었다. 여섯 별의 주인 중에 유일하게 어린왕자에게 긍정적인 평을 듣는다. 잘 보면 무지 고달픈 삶을 사는데도 불구하고 성실하게 할 일을 하는 사람.
• 지리학자(géographe)
6번째 별의 주인. 우주의 여러 행성들을 돌아다니는 탐험가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일을 한다. 한 곳에 앉아 일만 하기에 정작 자기 별에 뭐가 있는지는 모르고, 탐험가들이 보고 온 곳에 직접 가본 적도 없다. 어린왕자의 별에 대한 정보를 물으면서 어린왕자에게 장미꽃의 중요함을 각인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후에는 어린왕자에게 지구를 방문할것을 추천한다. 가로등 켜는 사람이 호평을 들은 유일한 사람이라면 이 사람은 유일하게 어린왕자의 한줄평을 듣지 않은 사람이다. 다만 의도치 않게 어린왕자에게 상처를 주기도 했는데 어린왕자에게 너의 별에는 뭐가 있냐고 물어보자 어린왕자가 화산을 먼저 설명했는데 화산을 설명할때는 주의깊게 잘 들었지만 장미꽃은 무시했다. 무시한 이유를 물어보니 꽃은 덧없는것이라면서 지리에서는 중요하게 취급하지 않는다고 했기 때문
• 장미꽃들
화원에서 만난 장미꽃들로, 어린 왕자는 고향별에는 단 한 송이밖에 없는 소중한 장미꽃이 이곳에서는 사방 천지에 널려 있는 것을 보고 혼란심을 느낀다. 하지만 여우와 대화한 후 어린 왕자는 고향의 장미꽃이 자신에게는 하나뿐인 소중한 것임을 깨닫는다.
• 철도원
• 장사꾼
• 천문학자
소행성 B-612를 발견한 터키 출신의 천문학자이다. 오스만 제국 시절때 B-612의 발표 내용을 터키 전통 복장을 입고 발표했다가 모든 유럽 천문학자들에게 무시당했으나, 몇년 뒤 한 독재자가 모든 전통 복장을 금지시켜서 양복을 입은 다음 똑같은 내용을 발표하자 모든 학자들이 그의 발표를 믿어주었다고 한다. (...)
명대사
양 한 마리만 그려줘.
“Draw me a sheep...”
S'il vous plaît... dessine-moi un mouton
- 어린왕자
가장 중요한 건 눈에 보이지 않아
“The thing that is important is the thing that is not seen.”
- 사막여우
어른들은 누구나 처음엔 어린이였다. 그러나 그것을 기억하는 어른은 별로 없다.
“All grown-ups were once children... but only few of them remember it.”
- 어린왕자
어른들은 숫자를 좋아한다.
“Grown-ups love figures...”
너는 나에게 이 세상에 단 하나뿐인 존재가 되는 거고, 나도 너에게 세상에 하나뿐인 존재가 되는 거야.
“To me, you will be unique in all the world. To you, I shall be unique in all the world....”
- 사막여우
넌 네가 길들인 것에 대해 언제까지나 책임이 있어.
“You become responsible forever for what you’ve tamed. You’re responsible for your rose.”
- 사막여우
별들은 아름다워. 보이지 않는 한 송이 꽃 때문에.
“The stars are beautiful because of a flower you don't see...”
- 어린왕자
사막이 아름다운 것은 어딘가에 샘을 감추고 있기 때문이야.
“What makes the desert beautiful,' said the little prince, 'is that somewhere it hides a well...”
- 어린왕자
누군가에게 길들여진다는 것은 눈물을 흘릴 일이 생긴다는 것일지도 모른다.
“One runs the risk of crying a bit if one allows oneself to be tamed.”
사람들 속에서도 외로운 건 마찬가지야.
“It is lonely when you’re among people, too,” said the snake.
- 뱀
내가 죽은 것처럼 보일 거야. 하지만 그게 아니야.
“I'll look as if I'm dead, and that won't be true.”
- 어린왕자
나를 길들여 줘.....부탁이야.
“Please-tame me!”
- 사막여우
만약 오후 4시에 네가 온다면, 나는 3시부터 행복해지기 시작할거야.
“If you come at four in the afternoon, I'll begin to be happy by three.”
- 사막여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