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장군의 한산해전을 다룬 영화 <한산: 용의 출현>이 지난 27일 개봉 첫날 38만여 관객을 모으며 흥행 시동을 걸었다. 한국 영화 흥행 기록(1760여만명)을 세운 전작 <명량>의 기세를 등에 업은 모양새다. 작품성 면에서도 호평받고 있는 <한산>을 만든 두 주역 김한민 감독과 주연배우 박해일을 지난 21일 서울 삼청동 한 카페에서 만났다. 두 남자 모두에게서 이순신의 그림자가 어른거렸다.
<명량>을 본 사람이라면 <한산>에서 박해일이 새롭게 이순신을 맡았다는 소식에 물음표를 떠올렸을 가능성이 높다. 전작에서 이순신을 연기한 최민식과 박해일의 이미지는 정반대에 가깝기 때문이다. 그건 박해일 스스로도 마찬가지였다. 김한민 감독이 이순신 역을 제안했을 때 박해일은 ‘왜 나에게?’라고 의아해했다.
“제가 아는 이순신 이미지는 광화문에 칼 차고 우뚝 선, 그래서 밑에서 우러러봐야 하는 존재였어요. <명량>의 최민식 선배님도 떠올랐고요. 저라는 배우의 기질과 자연인으로서의 모습에서 이순신과의 접점이 전혀 떠오르지 않았어요.”
(중략)
‘왜군은요, 완전히 붕괴됐어요’…대사놀이에 보인 반응
공교롭게도 지금 극장가에는 박해일 주연의 <헤어질 결심>과 <한산>이 함께 걸려 있다. 영화 팬들 사이에선 <헤어질 결심> 명대사를 <한산>과 연결하는 놀이가 유행이다. 예컨대 “조선이 그렇게 만만합니까?” “왜가 그렇게 나쁩니까?” “저 왜군의 심장을 내게 가져다줘요” “왜군은요, 완전히 붕괴됐어요” “그 왜군은 바다에 버려요. 깊은 곳에 빠트려서 아무도 못 찾게 해요” 하는 식이다. 박해일은 “나도 봤다”며 “두 영화 개봉 시기가 붙어서 그런 거 같은데, 흥미롭더라”고 했다.
연말 시상식에서 박해일은 두 영화로 동시에 남우주연상 후보에 오를지도 모른다. 그야말로 물이 잔뜩 오른 최전성기에 이른 느낌이라는 기자의 말에 그는 특유의 차분한 말투로 답했다. “글쎄요. 저는 그런 느낌 덜해요. 시간이 좀 지나면 달라질까요?”
첫댓글 조선이 그렇게 만만합니까?
왜구: 무너지고 깨어짐
마침내
아 왠지 내가 헤어질 결심을 안 봐서 이해를 못했네
ㅇ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왜구는 바다에 버려요
아 ㅅㅂ 제목 개웃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