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병법】 軍形篇 제 4 화
【원문】
善守者 는
선수자 는
藏於九地之下 고
장어구지지하 고
善政者 는
선정자 는
動於九天之上 이라
동어구천지상 이라
故 로
고 로
能自保而全勝也 라
능자보이전승야 라
방어를 잘하는 장수는 마치 그 깊이를 알 수 없는 땅속에 숨은 것같이 하여 적이 도무지 열볼 수 없도록 한다. 공격을 잘하는 장수는
마치 노ㅍ은 하늘 위에서 움직이는듯하여 적이 미처 수비할 수 없도록 한다. 이렇게 해야 아군의 힘을 온전히 보존하면서 적을 완전히 무찔러 승리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해의】 땅속으로 숨는다는 말은 오늘날에도 자주 쓰인다. 이상적인 수비테세란 마치 땅속으로 숨듯 모든 것을 교묘하게 숨겨 버려 무엇하나 뚜렷하게 드러내지 않는 것이고, 이상적인 공격 태세란 하늘 위 높은 데서 움직이는 상대가 대처하는 데 곤란하도록 어디서 공격해올지 알 수 없는 공격 방법을 구사하는 것이다. 상대가 미처 대처하지 못할 정도의 공격이라면 승리는 확실한 것이다.
【해설】 이 문구의 논법은 마치 현대 야구의 전술을 듣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드는데 확실히 일맥상통되는 점이 있다. 다만 손자가 말하는 수비는 드러내 놓고 버젓하게 하는 수비 태세가 아니라 수세라는 것이다. 공세와 수세를, 공격하는 힘과 이것을 받아 맞서는 힘이란 뜻으로 해석하지 말고, 후자는 반적극적인 소극적인 전술이라고 해석하는 편이 좋을 것 같다.
자세의 균형이란 것은 저울로 달되 그 기욺에 따라 뚜렷하게 공격과 소극적인 반격 전법으로 나누고 있는 것이다. 기본적인 자세, 적에 대비하는 자세는 공격에도 반드시 필요하나, 그 밖에 공세와 수세의 두 가지 자세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듯하다. 이 말은 불투명하여 헷갈리기 쉬운 듯한데, 이 점을 충분히 식별해서 읽어야 할 것이다.이것은 사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상대방의 사업 내용의 충실도를 어림잡아 상대편 부분의 학장이라도 좋고 사장의 쟁탈전도 좋으며, 싸워야 할 대상을 계산하는 것이라고 생각해도 좋다.
계산한 결과 방어해야 할 곳이라고 판단한다면 그곳에는 물 셀 틈도 없을 만큼의 완벽을 기하여 수비 태세에 전념하여야 한다. 또 일단 상대를 공격해도 좋다고 생각될 때는 하늘 위에서 낙하하는 듯한 힘으로 단숨에 상대를 쳐서 무너뜨려야 한다. 서로간의 실력이 백중한 상태에서 지느냐 이기느냐 하는 전쟁은 참다운 전쟁이 아니라는 말이다.
{사례} 자신의 참된 힘은 숨겨 두어라
지키기를 잘하는 자는 떵속에 숨고, 공경르 잘하는 자는 하늘 위에서 움직인다.
(善守者藏於地之下善政者動於九天之上)
일단 공경을 시작한 뒤에는 철저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공격을 시작하는 때는 언제인가, 손자에 의하면 충분한 여유가 있은 후이다. 조나라 뷱쪽을 지키는 이목이란 장군은 흉노가 공격해 오면 봉화를 신호로 삼아 주민이나 병사들로 하여금 가재도구를 가지고 성안으로 피신케 하였다. 그러자 병사들은 싸우려 하지 않는 니목을 겁쟁이라고 생각하였다.
조나라 왕도 이목을 문책하고 대신 다른 장수를 보냈다. 그 장군은 크게 싸웠으나 잃은 것이 많았으며, 변경의 백성들은 농경과 묵축의 생업에도 종사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다시 이목이 임명되었다. 이목이 여전히 흉농하 싸우지 않자 흉노도 이목을 겁쟁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목은 수 년 동안 병사들을 훈련만 시킬 뿐 실전에는 응하지 않았다. 병사들 모두가 싸우기를 원하였으므로 병거 1,300대, 기마2,000두, 군사 15만 명, 활의 명궁 10만 명을 배치하고 연습을 하였다. 그러나 이토록 큰 힘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흉노의 소부대가 침입해오면 여전히 싸우지 않고 성안으로 도망쳤다.
그러자 흉노의 왕 선우는 대군을 이끌고 단숨에 이목의 군대를 격파하려고 공격해 왔다. 이목은 많은 지을 곳곳에 배치하여 ㅈ하우로 날개를 펴고 반격하여 흉노 10만여 기를 죽이고 선우를 패주시 하여 그 후 10연 년간 감히 조나라의 변경에 접근하지를 못하였다.
손자가 말한 "수비를 잘 하는 사람은 땅 속에 숨고, 공격이 능한 사람은 하늘 위에서 그 자세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은, 이목과 같은 장군을 가리킴에 틀림없다. 전력이 부족할 때 수비해야 한다고 손자는 말하고 있다., 이목은 단 한 병도 손실당하지 않고 병사들을 보존하였으며, 훈련을 거듭시켜 드디어 드디어 병사들이 스스로 싸움을 원할 때까지 병사들을 길러 놓았다. 백성들도 역시 가재도구를 잃은 일 없이 생업에 종사할 수 있었으니 병사도 백성도 모두 힘이 충실하였던 것입니다. 그 참된 힘은 지상에 나타내어 이를 붕괴시킨 것이다.
출처: 손자병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