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이건 넘 기본적인건데...역설법은 " 나보기가 역겨워 가실때에는 죽어도 아니 보내 드리오리다"를 예로 들면 실제로 속마음은 보내줄 수 없으나 겉으론 보내주겠다는 거죠.. 진실이 내포되 있지만 반대로 말하죠. 반어법은 "쓰디쓴 행복" 처럼 겉으로 보기에도 확연히 드러나는 모순이죠..
역설표현 :구조상으로나 상식적으로는 모순되는 말이지만, 실질적 내용은 진리를 나타내고 있는 표현. [‘지는 것이 이기는 것.’, ‘바쁘거든 돌아서 가라.’ 따위.] 반ː어 反語 1.뜻을 강조하기 위하여, 표현하려는 뜻과는 반대되게 하는 말. ...2.어떤 말에 빗대어, ["잘났어 정말']
첫댓글 이건 넘 기본적인건데...역설법은 " 나보기가 역겨워 가실때에는 죽어도 아니 보내 드리오리다"를 예로 들면 실제로 속마음은 보내줄 수 없으나 겉으론 보내주겠다는 거죠.. 진실이 내포되 있지만 반대로 말하죠. 반어법은 "쓰디쓴 행복" 처럼 겉으로 보기에도 확연히 드러나는 모순이죠..
역설표현 :구조상으로나 상식적으로는 모순되는 말이지만, 실질적 내용은 진리를 나타내고 있는 표현. [‘지는 것이 이기는 것.’, ‘바쁘거든 돌아서 가라.’ 따위.] 반ː어 反語 1.뜻을 강조하기 위하여, 표현하려는 뜻과는 반대되게 하는 말. ...2.어떤 말에 빗대어, ["잘났어 정말']
아가씨님...처음예가별로로안좋은듯하네여..나보기가역겨워..라는 문장은 역설법과 반어법이둘다 가능합니다...
공무원천사님 그래도 보기에 둘다 나온다면 반어법으로 해주셔야되요.. 안그러시면 클나용...;;;
역설법 설명시 위의 예를 드시는건 별로 좋치 않습니다..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님은 갔지만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이런내용을 예로 드셔야 함다..
제가 잘못 설명했네요~~~~ㅎㅎ 이런...쪽팔령..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