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출산[月出山]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과 강진군 성전면에 걸쳐 있는 산.
내용
높이 810.7m. 소백산계에 속하는 해안산맥의 말단부에 높이 솟은 산체는 견고한 석영반암과 분암류로 구성되어 있어 수목이 잘 자랄 수 없는 급경사의 지형을 이룬다. 기암괴석이 많아 남국(南國)의 소금강(小金剛)이라고도 불린다. 산의 최고봉은 천황봉(天皇峯)이며 남서쪽에 연이은 구정봉(九井峯, 743m) 능선을 경계로 북쪽은 영암군, 남쪽은 강진군이 된다. 구정봉 남쪽으로는 도갑산(道岬山, 376m)·월각산(月角山, 456m) 등이 있으며 천황봉의 북쪽으로는 장군봉(將軍峯)·국사봉(國師峯) 등이 연봉을 이룬다. 대체로 영암군에 속한 북쪽은 날카롭고 가파른 골산(骨山 : 돌산)이지만, 강진군에 속하는 남쪽의 산들은 비교적 산세가 완만한 육산(肉山 : 흙산)으로 되어 있다. 월출산은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신라 때에는 월나산(月奈山), 고려 때에는 월생산(月生山)이라 불렸다. 월출산은 그 아름다움으로 인하여 예로부터 많은 시인들의 칭송을 들어왔다. 고려 명종 때의 시인 김극기(金克己)는 “월출산의 많은 기이한 모습을 실컷 들었거니, 그늘지며 개고 추위와 더위가 서로 알맞도다. 푸른 낭떠러지와 자색의 골짜기에는 만 떨기가 솟고 첩첩한 봉우리는 하늘을 뚫어 웅장하며 기이함을 자랑하누나.”라고 예찬하였다.
그리고 조선 세조 때의 시인이며 생육신의 한 사람인 김시습(金時習)도 “남쪽 고을의 한 그림 가운데 산이 있으니, 달은 청천에서 뜨지 않고 이 산간에 오르더라.” 하고 노래하였다. 월출산은 수많은 기암괴석이 어우러진 모습이 보기에 따라 하나의 거대한 수석(壽石)이라고 할 수도 있고 나쁘게 말하면 천하의 악산(惡山)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처럼 월출산은 옹골찬 모습의 암석미를 이루어 영암의 상징이자 자랑으로 1973년 3월 서남쪽 도갑산 지역을 합하여 월출산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가 1988년 6월에는 국가적 차원에서 자연 및 문화경관을 보호하고 국민 보건·휴양 및 정서생활 향상을 위한 관광지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인정되어 우리 나라 20번째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공원의 면적은 41.88㎢이며 공원 내에는 많은 문화재와 사적지가 있다. 천황봉의 정상 가까이에는 거대한 월출산마애여래좌상(국보 제144호)이 방형의 감실이 만들어진 큰 암벽 위에 조각되어 있고, 이의 동쪽 사면에는 구절폭포(九折瀑布)가, 서쪽 사면에는 용추폭포(龍楸瀑布)가 있다. 이밖에 칠지폭포·은천폭포·대동폭포 등도 유명하다.
이곳에는 유명한 사찰도 여럿 있는데, 특히 도갑사는 고려 시대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창건한 고찰로, 도갑사해탈문(道岬寺解脫門, 국보 제50호)·도갑사석조여래좌상(보물 제89호)·도갑사도선수미비(道岬寺道詵守眉碑, 전라남도유형문화재 제38호) 등이 있다. 또, 절의 입구에 있는 구림(鳩林)마을은 도선국사의 어머니 최씨가 빨래터에서 떠내려오는 오이를 먹고 도선국사를 수태하였다는 전설과, 일본에 《논어》와 《천자문》을 가지고 건너가 학문을 전하고 일본황실의 스승이 된 왕인(王仁)과 관련된 전설이 많이 남아 있어 역사적으로도 이름난 곳이다. 지금도 도선국사와 관련된 최씨원·백의암, 왕인과 관련된 책굴·돌정고개·상대포(上臺浦) 등이 지명으로 남아 있다.
도갑산 남동쪽 성전면 월하리에 있는 무위사(無爲寺)는 신라 진평왕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였는데 무위사극락전(국보 제13호)과 함께 극락전의 아미타삼존불과 관음보살상을 그린 벽화가 유명하다. 그 밖에 무위사선각대사편광탑비(보물 제607호)가 있다. 이 절의 동쪽 월남리의 월남사지(月南寺址)에는 월남사지모전석탑(보물 제298호)과 월남사지석비(보물 제313호)가 있다.
여기에서 월출산계곡으로 들어가면 금릉경포대(金陵鏡浦臺)가 있다. 구정봉 정상 아래 미왕재에는 억새밭이 드넓게 이루어져 매년 가을 ‘월출산갈대제’가 열린다. 월출산은 호남의 5대 명산인 광주의 무등산(無等山), 순천의 조계산(曹溪山) 등과 함께 솥의 세 발처럼 우뚝 솟아 있다. 이 월출산의 천황봉에서 중첩한 산줄기 위로 펼쳐지는 아름다운 일출과 황해를 진홍빛으로 물들이는 일몰 광경, 그리고 구림에서 바라보는 월출은 가히 호남 제일의 장관이다. 특산물로는 궁중진상품으로 이름났던 참빗과 산란기인 3∼5월에 잡은 숭어의 알, 별미 있는 세(細)발낙지·짱뚱어(망둥어) 요리가 있다. 이것은 아름다운 산세와 더불어 중요한 관광자원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한국의 여로(旅路)』(한국일보사, 1981)
『한국지명요람』(건설부국립지리원, 1983)
『한국관광자원총람』(한국관광공사, 1985)
『관광한국지리』(김홍운, 형설출판사, 1985)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정봉[九井峯, Gujeongbong]
전라남도 영암군의 영암읍과 강진군 성전면 경계에 있는 봉우리이다(고도:711m). 월출산의 주봉인 천황봉(天皇峯) 남서쪽에 위치한다. 봉우리의 능선을 경계로 북쪽은 영암군, 남쪽은 강진군이 되며, 구정봉 남쪽으로는 도갑산(道岬山) · 월각산(月角山) 등이 있다. 『고려사지리지』(영암)에 "(월출산에) 구정봉(九井峯)이 있다."라는 기록에 처음 등장해 그 이전부터 지명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후 『세종실록지리지』(전라도), 『신증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등에 " 꼭대기에는 바위가 우뚝 솟아 있는데, 높이가 2길이나 되고 옆에 구멍이 1곳이 있어 한 사람 정도는 드나들만하다. 그 구멍을 따라 꼭대기에 올라가면 20명이 앉을 수 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봉우리 꼭대기의 평평한 곳에 '요(凹)'모양처럼 움푹 들어가 물이 담겨 있는, 마치 동이 같은 곳이 아홉 군데가 있기 때문에 '구정봉'이라 하였다고 『세종실록지리지』(전라도)에 전한다. 구정봉의 물은 아무리 가물어도 마르지 않아서 아홉 마리의 용이 살고 있다는 전설과 선녀와 마을 총각에 얽힌 이야기도 전해온다. 조선 세조 때 수미선사가 온 나라에 가뭄이 들어서 구정봉의 물을 가져다 도갑사 법당에서 기우제를 지낸 후에 가뭄을 극복했다는 설화도 전해지고 있다.
출처:(한국지명유래집)
[靈巖月出山磨崖如來坐像]
전라남도 영암군 월출산 구정봉 아래에 새겨진 고려 전기 마애불 좌상.
개설
마애불(磨崖佛)은 암벽에 새긴 불상이다. 인도와 중국 등의 석굴과 달리 우리나라에는 자연환경에 따라 바위에 부조된 불상이 만들어졌다. 영암군 월출산(月出山)의 서쪽 봉우리인 구정봉 정상 가까운 600m 고지 암벽에 영암 월출산 마애 여래 좌상(靈巖 月出山 磨崖如來坐像)이 있다. 영암 월출산 마애 여래 좌상은 고려 전기 마애불을 대표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영암 월출산 마애 여래 좌상은 월출산 용암사지 마애불이라고도 부른다. 1972년 3월 2일 국보 제144호로 지정되었다.
형태
암벽을 깊게 판 후에 높은 부조로 새긴 8.6m의 거대한 마애불이다. 머리 위에는 육계(肉髻)[불상의 정수리 부분에 있는 상투 모양]가 높고, 신체에 비해 얼굴은 비교적 크고 커다란 귀는 어깨에 닿았다. 옆으로 긴 눈과 꽉 다문 입, 웃음기 없는 근엄한 표정이다. 목은 짧으며 어깨는 각이 지고, 삼각형으로 벌린 팔과 허리는 가늘다. 법의는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었고 넓은 가슴과 굵지 않은 허리가 드러나도록 얇고 팽팽하다. 수인은 왼손이 선정인, 오른손이 촉지인(觸地印)[왼손은 주먹을 쥐어 배꼽 부분에 대고 오른손은 손가락을 펴고 손바닥을 안으로 하여 땅으로 드리우는 결인(結印)] 혹은 항마인(降魔印)[악마를 항복하게 하는 인상(印相). 왼손을 무릎 위에 두고 오른손은 내리어 땅을 가리킴]을 취하고 있다. 옷주름은 가는 선으로 새겼는데 불상이 않아 있는 대좌(臺座) 아래까지 흘러 내리고 있다. 광배(光背)는 머리광배와 몸광배를 따로 조각하였는데 연꽃무늬와 당초무늬, 불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불상의 오른쪽 무릎 옆에는 동자 혹은 보살 형상의 작은 상이 조각되어 있다. 그 오른손에 지물(持物)[불교의 부처나 보살, 천왕 등이 권능이나 자비를 상징하여 손에 지니고 있는 물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애불 주변에서 ‘통화 25년 정미(統和二十五年丁未)’[1007년]명 및 ‘도솔(兜率)’명 기와가 수습되었는데 마애불의 조성 연대와 신앙에 연관된다고 본다. 마애불의 시선은 두 탑 사이를 지나 당시 서남해의 관문인 영암 바다를 응시하고 있다.
특징
영암 월출산 마애 여래 좌상은 안정되고 장중한 인상을 주며, 섬세하고 정교한 조각 기법과 더불어 박진감이 잘 나타나고 있다. 반면 신체에 비하여 비교적 큰 얼굴과 가늘게 표현된 팔 등에서 불균형한 비례와 경직된 표현이 엿보여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 초기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짐작된다 영암 월출산 마애 여래 좌상의 촉지인 수인은 석가 고유의 수인이지만 인간 관점에서의 항마인은 영원한 제압과 부동성(不動性)을 상징한다. 따라서 영암 월출산 마애 여래 좌상은 고려 개국 시 서남해안 반대 세력을 제압한 이 지역 호족의 위상과 관련이 있었음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다. 해발 800m의 험준한 월출산 아래의 영암 지역은 고려 개국의 견인차 역할을 한 대호족(大豪族)들의 활동이 주목되는 곳이며, 신라 말 풍수지리와 비보(裨補) 사상을 불교문화 속에 밀접하게 연결한 도선 국사(道詵國師)의 출생지로도 알려져 있다.
의의와 평가
영암 월출산 마애 여래 좌상은 공간감 및 강한 이미지의 독특한 조형, 마애불 옆 작은 상의 존재, 그리고 조성 배경과 영암 지역 호족과의 관계 등 한국 마애불 연구에서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참고문헌
국립 목포 대학교 박물관, 『영암군의 문화 유적』(전라남도·영암군, 1986)
목포 대학교 박물관, 『영암 용암사지』(영암군, 1997)
윤덕향·정병삼·최인선·최선주, 『호남의 불교문화와 불교 유적』(백산 서당, 1998)
출처:(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월출산의 보름달
▼천황봉 높이는 809m
김태연 ‘월출산’♬ 더욱 진해진 100점짜리 감성~ TV CHOSUN 220201 방송 | [화요일은 밤이 좋아 – 9회] | TV조선 - YouTube
(붕당힐링TV 정창훈 평론)
김태연 바람길 '2000만뷰'가 보인다!!! / 바람길 가사를 파헤친다! /신이내린 歌人 김태연
의 바람길이 대한민국의 한을 푸는 노래로 자리잡고있다! 어느 여인이 남아선호사상
때문에 뱃속의 사랑스런 딸을 지운 한을 의미하는 노래라는 평론이 나오기도 합니다.
(하재근TV)
평론가도 김태연의 바람길 충격의 순간, 숨소리가 폐부를 찔렀다.라고 평론을 했습니다.
(성창일TV)
성인가요 음원차트에서 벅스:1위김태연 2위임영웅 멜론:1위임영웅 2위김태연 또 다른
음원차트에서도 1위:임영웅 2위김태연 역주행의 귀재 김태연은 앞으로도 무진장
(無盡藏)의 발전 가능성을 지니고 있어서 팬들의 기대가 크다고 합니다.
월출산에 달이 뜨니
은빛 부신데 극치 이룬
수수첨봉 고요로워라
산녘에 밤새 소리 알듯도 한데
빈말처럼 구정봉에 아홉 우물은
어이타 전설만이 우물 밑에 고이어
나그네 심사를 더 해 주는가
모진바람 불었건만
천년을 두고 바위벽에
자비로운 석불마애상
풀잎에 작은 바람 소요로운데
혈을 이은 인걸들의 맥을 밟으며
어이타 무상만이 옛터전에 깃들어
나그네 심사를 더 해 주는가
어이타 전설만이 우물 밑에 고이어
나그네 심사를 더 해 주는가
[영암] 월출산(강옥희/강진 - 가사자막) - YouTube
九井峰(구정봉)에 있는 바위 구덩이에 물이 고여 있는 걸 보니,
며칠전 비가 내린 듯 했으며,
약간 찌그러진 하트(?) 모양의 물 구덩이도 있었고, 九井峰(구정봉)은 누구의 作品(작품)인고?
일단 九井峰(구정봉)으로~
아홉개의 우물처럼 생긴 구덩이를 찾아 보니,
九井峰(구정봉)에 맞게 아홉개가 아닌 듯,
가장 넓은 우물(井)이였는데,
이렇게 물이 고여 있는 곳이 10개가 넘었으니,
月出山(월출산) 磨崖如來坐像(마애여래좌상)은?
九井峰(구정봉) 북쪽 아래로도 奇巖群(기암군)이 이어져 있고,
남쪽 멀리 천관산을 당겨보며,
九井峰(구정봉) 북쪽 아래로도 奇巖群(기암군)이 이어져 있고, 남쪽 멀리 천관산을 당겨보며, |
경포대에서 올라온 길 멀리 보이는 저수지가 월남저수지 천황봉에서 본 남동쪽 발아래 풍경 올라온 경포대 코스 영암읍 풍경, 앞쪽 능선타고 가면 산성대 코스 앞쪽 오른쪽 큰바위가 구정봉(실제 9개의 웅덩이가 있음) 월출산 넘어 호남평야, 저멀리 영산강도 보임 해남, 장흥 방향 풍경 천황봉에서 내려다본 경포대 코스와 월남저수지 영산강이 보이는 호남평야 연보라 쑥부쟁이(?) 천황봉에서 구정봉쪽으로 내려가는 등산로 구정봉 쪽으로 내려오다 돌아본 천황봉 하산길에 보이는 기암 괴석들 구정봉 쪽으로 더 내려와 돌아본 천황봉 구정봉(왼쪽 하얀 바위)과 아래 계곡 |
월출산의 일몰
괴암괴석을 뽐내는 월출산
월출산 정상 천황봉에 내려뻗은 은하수
여명의 월출산
월출산의 일출
운해가 넘실거리는 월출산
월출산의 반영
별들이 천황봉을 가로지르며 달려가고...
남쪽 가까이로는 향로봉(左)이 솟아 있는데,
원래는 非耽(비탐)으로 지정 돼 있으나,
향로봉을 올려다 보며,
향로봉 정상석,
月出山(월출산) 天皇峰(천황봉)을 바라보며~
참으로 아름다운 風景(풍경)이로세.
月出山(월출산) 산행은 바위 구경만으로도 충분 할 듯,
릿지를 즐기는 이들은 저런 바위구간을 좋아 할 듯,
앞쪽으로 가야 할 억새밭 너머로 도갑산이 눈(眼)에 들어 오는데,
하산을 마치면 시간이 꽤 남을 듯 싶어 갈까 말까 苦悶(고민) 중,
西北(서북) 방향으로는 노적봉 암릉이 길게 이어져 있으며,
베틀굴
조망처에서 뒤돌아 본 월출산 풍경으로,
높이 솟아 있는 곳이 天皇峰(천황봉) 정상이며,
베틀굴은?
올때마다 느끼지만 모양이 참으로 奇異(기이)한데,
또한, 베틀굴의 설명(안내문)에서 보듯,
정말 물이 고여 있었으니 新奇(신기) 하도다.
九井峰(구정봉)에서 바라본 月出山(월출산)의 아름다운 山勢(산세),
zoom으로 당겨 본 月出山(월출산) 天皇峰(천황봉) 정상,
바람재로 이동하며 바라 본 아름다운 바위 風景(풍경),
돼지바위는?
돼지바위인데 어디서 찍어야 제대로 된 돼지 모양인고?
壽石(수석)같이 아름다운 바위들을 바라보며,
중앙에 높게 솟아 있는 곳이 天皇峰(천황봉) 정상이며, 앞쪽으로는 돼지바위라 하는데,
앞 왼쪽으로 보이는 바위 뒷편에 男根石(남근석)이 있으며,
멀리 오른쪽 큰바위 얼굴이 있는 九井峰(구정봉) 아랫쪽으로 베틀굴이 있어,
陰과 陽의 調和(조화)가 있는 月出山(월출산)으로,
향로봉(左),큰바위얼굴(中) 오른쪽 아래로는 龍岩寺址(용암사지)로 이어지며,
참으로 아름다운 風景(풍경)이로세.
男根石(남근석),
반대쪽에서 바라보니 완전히 달리 보여지는 男根石(남근석)이로세.
생김새 하나 하나 특이 해 보이는 奇巖群(기암군),
가을이 됐음을 알리는 듯 하늘도 참 맑았으며,
神(신)이 만들어 놓은 듯한 아름다운 奇巖群(기암군),
通天門(통천문)은?
2022-02-06 작성자 명사십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