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달 또는 레버로 케이블을 당겨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 시키는 대신 스위치 조작으로 모터 구동을 통해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함으로써 운전자 편의성을 향상한다.
EPB(Electric Parking Brake)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라고 한다. 이 EPB는 페달 또는 레버로 케이블을 당겨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 시키는 기존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과는 달리, 운전자가 간단하게 버튼 스위치를 조작하면, 버튼을 통해서 전자신호가 ECU로 전달되어 ECU가 모터, 기어로 구성된 EPB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고, 이 때, EPB 안의 모터가 회전하면서 연결된 케이블을 인장함으로 인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시스템이다. EPB 시스템의 구성부품 중, EPB ECU 는 EPB 앗세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EPB 시스템의 각종 센서의 신호를 감지하고, 자가진단을 실시하며, EPB 의 제어로직에 따라서 EPB 제어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주요 기능
1. | 주차 기능 차량 정지 상태에서의 EPB 작동 및 해제을 한다. (1) | 작동 조건 : 점화 스위치 ON 상태 및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한 상태와는 상관없이 스위치 레버를 누름 (Push). - 차량속도 <= 3kph |
(2) | 해제 조건 : 점화스위치 ON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한 상태에서 EPB 스위치 레버를 당김 (Pull). |
|
2. | 비상 제동 기능 DBF(Dynamic Braking Function)는 주행중 제동 기능으로 차량 주행 상태에서의 EPB 작동 및 해제을 할 수 있다. 만약, 차량 주행중 브레이크 페달 아래 음료수병 등이 이물질이 끼어 페달에 의한 제동력을 발생할 수 없거나, 브레이크 유압라인이 작동되지 않아 주차 제동이 필요로 할 때 사용한다. (1) | 작동 조건 차량 속도 > 3kph 인 경우와 EPB 스위치를 누르고 있는 동안 만 작동한다. |
(2) | 해제 조건 EPB 스위치의 누르는 동작을 멈추었을 때 해제된다. |
(3) | 작동 방법 VDC가 정상 작동할 경우는, EPB가 VDC로 차량 감속을 위해 브레이크 가압 요구하고, VDC가 비정상일 경우에는, EPB가 차량 감속을 위해 브레이크 작동한다. |
(4) | 특징 휠 록 발생의 경우, anti-lock 컨트롤이 구현되고, 비상 제동시 클러스터에 주차등이 점멸된다. |
|
3. | 자동 해제 기능(Drive Away Release) DAR는 EPB 작동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 레버을D/R/S단에서 악셀페달을 작동하여 차량을 출발할 때, EPB 작동이 자동 해제되어 차량 원활하게 출발시키는 기능이다. DAR 기능을 통해, 경사로에서 차량을 출발시 주차 제동력을 조절하여 차량이 뒤로 밀림을 방지한다. (1) | 자동 해제(DAR) 불가 조건 아래의 조건이 어느 하나라도 발생하면 EPB는 자동해제가 불가하다.(Safety Concept) – | 운전석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 (계기판에서 확인 가능) |
– | 운전석 안전벨트가 미 착용 되어 있는 경우 (계기판에서 확인 가능) |
– | 후드가 열려있는 경우 (계기판에서 확인 불가) |
– | 트렁크가 열려있는 경우 (계기판에서 확인 가능) |
– | 자동해제 불가 조건에서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D/R/S단에서 악셀페달을 밟고 차량을 출발할 때, 경고음과 함께 클러스터 LCD 창에 "자동해제 조건이 아닙니다. EPB 수동 해제 후 출발 가능합니다." 라고하는 경고 메세지로 알린다. |
|
|
4. | 시동 OFF시 자동 작동 기능 점화 스위치 OFF가 될 때, EPB가 자동으로 작동하는 기능으로, 시동 OFF후 EPB가 작동되면 클러스터에 약 15초간 주차등을 점등 상태로 유지된다. (1) | 점화스위치가 OFF될때 EPB 자동 작동 금지 방법 ("N"단 주차시 사용법) |
– | EPB 스위치를 당긴 후 5초 이내에 시동 OFF한다. |
|
5. | 비상 해제 기능 EPB가 정상적인 절차를 통해 해제 되지 못할 경우, ERC(Emergency Release Cable)을 당겨서 강제 해제시킬 수 있는 기능이다. EPB 작동상태에서 밧데리 방전 및 EPB 시스템 고장에 의해 주차 해제 필요시 사용한다. 비상 해제 핸들은 트렁크내 부속 공구함에 있고, 트렁크 안쪽에 위치한 비상 해제 케이블 끝단에 캡을 분리한 후 핸들을 돌려서 연결한다. 위쪽 방향으로 "톡" 소리가 날때까지 세게 잡아 당긴다. 주의사항 (1) | 비상 해제가 감지되면, EPB 경고등(황색) 점멸 과 함께 문자 메시지가 표시된다. |
(2) | 차량이 정상상태 회복후 반드시 EPB 스위치를 한번 작동 시켜야만 EPB가 정상상태로 회복된다. |
(3) | 주요 정비시에만 적용되는 기능으로 평상시 작동 금지한다. |
(4) | 부득이 하게 작동 필요시, 평평한 노면, 변속 레버를 P단으로 놓은 상태을 확인 후, 반드시 바퀴에 고임목을 고인 후 작동한다. |
|
6. | 재 연결 기능 비상 해제 후, EPB가 정상 작동 될 수 있도록 재연결하는 기능이다. 작동 (1) | 비상 해제 후, EPB를 첫 번째 작동 시, 최대 케이블 장력으로 주차 브레이크를 당기면서 EPB 내부의 hook 및 claw가 재 연결된다. |
(2) | 스캔툴을 통해 재 연결 기능 수행 가능하다. |
(3) | 총 5회의 연결시도 후, 정상적으로 EPB가 재 연결되지 않을 경우, 현재의 점화스위치 위치동안에는 EPB가 작동하지 않는다. |
|
7. | 안전 클러치 기능 EPB장치 보호 목적이며, EPB가 최대 허용 스트로크 이상 작동될 경우 기어박스와 모터를 보호하기 위해 안전 클러치가 작동한다. (이때, 매우 큰 소음이 발생) 발생 경우(예) : 파킹 브레이크와 EPB 케이블과연결 불량인 경우 |
8. | AVH(Automatic Vehicle Hold) 기능 유압 브레이크를 통해 차량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이다. (1) | 작동 조건 – | 운전석 안전 벨트가 착용되어 있는 상태일 것. |
– |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하여 차량이 완전 정지상태가 될 것. |
|
(2) | AVH기능은 차량을 최대 5분간 정지상태로 유지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켜 발생시킨 유압을 VDC 밸브가 유로를 차단하여 제동상태를 유지한다. |
(3) | AVH 작동 누적 시간 : Max 30min |
(4) | 자동해제 기능 AVH 작동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D/R/S단에서 악셀 페달을 작동할 경우 자동으로 브레이크 유압이 해제되어 차량 출발을 원활히 할 수 있다. (DAR 기능 유사) |
(5) | AVH에서 EPB로 자동 전환 기능 AVH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아래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되면 자동으로 EPB작동으로 전환된다. [정상 전환인 경우] – | 운전석 도어와 운전석 안전 벨트가 동시에 open되는 경우 |
[예기치 않은 전환인 경우] – | 차량의 세밀한 움직임이 여러번 감지 될 때 |
|
|
첫댓글 요놈 고장나면 비싸던데 브레이크밟고 시동 끄는게 도움이 될려나요?
항상 회원님들에게 좋은정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보 감사드립니다 자동해제가 안되서 왜 안될까 했는데 안전벨트 안해서 그런거 같네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