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사육되고 있는 한우(韓牛)는 2024년 9월 현재 3,455,000 마리이다.
국제식량농업기구(F.A.O)에 등재된 한우는 누렁소(黃牛), 검은소(黑牛), 제주흑소(천연기념물 546호),
칡소(虎皮무늬), 흰소(白牛: 100만 마리 당 1마리 나오는 유전적 돌연변이 종 알비노 소)로 총 5종이다.
한반도에 소가 존재한 것은 신윤복, 김홍도의 풍속화에서도, 고구려 무용총에서도 보이나 기록이 없어,
연대를 가늠할 수는 없으나 그 역사는 무척 오래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한우는 일두백미(一頭百味)라고 소 한마리에서 백가지 맛이 난다는 말인데, 실제 소는 발골(拔骨)할 시,
대 분할로 10부위, 소 분할로 39개로 나누며, 서구요리 명문국인 영국이나 불란서는 35개 부위, 한국은
120개 부위로 나누어 요리하니 원래 귀한 재산 1호여서 그런지 한국의 쇠고기 요리는 참으로 놀랍게도
세분화되어 전해 내려 온 것이다.
쇠고기 맛은 올레인산의 함유량으로 결정 되는데 한우는 49~52%, 수입소는 39~42% 함유하였으므로
당연히 한우의 감칠 맛이 뛰어나다 할 것이며 쇠고기 소비량에 반하여 자급도는 떨어지고 있는 중이다.
현재 세계 인구 중에서 육식주의자는 약 40%, 채식주의자는 60% 정도지만 최하 3 : 7은 되어야만 지구
온난화 진행 속도도 통제가 가능할 것이다.
더하여, 우리가 먹는 모든 음식은 다른 생명체의 생명을 빼앗아 먹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우리가 식당에서 비싼 한우를 넘칠만큼 많이 사서 먹고, 남은 쇠고기를 버리지는 않듯이 다른 음식도
마찬가지 경우이며 적당량의 음식을 먹어도 건강이나 생명에는 지장이 없고, 오히려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으니 일석이조가 되는 것이다.
우리가 버리는 잔반 음식 비율이 무려 7.5%나 되지만 특히, 아무 생각없이 버리는 음식 하나 하나에도
다른 생명체의 죽음이 어른거리고 있으니 늘 감사하는 마음을 늘 잊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그런 이유로 음식을 남기는 것은 절대 미덕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시국이 안정되어야 소 한마리 먹을텐데요! 송지학 올림
첫댓글 그러게요..경제사정이 나아져야 소한마리도
맘 편히 먹을텐데요..
세상이 시끄러워 물 밖에 나갔다 오니 다녀가셨군요!
마중 나가지 못해 참 미안합니다.
@송지학 와~ 이런 해학적 표현을 다하시고..역시!!
저희도 가끔은 육질좋은 소고기를 먹습니다만
서민들이 먹기에는 가격이 착하지는 않지요~~~ ^^
아들놈 동창중에 100 두이상 사육하는 친구가 있는데
소사육도 쉽지많은 않다 합니다
오늘도 유익한 지식을 나눠 주셔서 고맙습니다
저도 드물게 먹지만 제일 먼저 생각나는 건 비싸다는 생각에 배부르게 먹는 다는 생각은 못합니다.
오래전에 대한민국은 가난했지만 소고기는 좋아했었다
소고기를 부위별로 나누어 먹는 민족으로서는
대한민국이 전세계에서 두번째로 많이 나누어 먹는다고 한다
그만큼 소고기는 한민족에게는 인기가 있었다
그리고 돼지고기 닭고기는 풍이 세다나?
그래서 건강에 나쁘다나?
그래서 먹는거를 꺼렸다
그런데 그거는 거짓말 , 헛소문으로 판명이 났다
지금부터 45 년전 쯤부터는 대한민국 국민이 선호 하는 고기는
소고기에서 돼지고기로 서서히 바뀌게 되더라
생맥주와 함께 자주 마시는 닭고기의 선호도도 무시 못한다
소고기는 돼지고기나 닭고기에 비해서 가격이 너무 비싸다
나는 돼지고기 매니아 이다
돼지고기를 소고기보다 훨씬 더 좋아한다
가격이 훨씬 더 싸고 맛이 더 좋기 때문이다
그리고 소고기를 많이 먹으면 다음날 몸이 아프다
아마 소고기에 인체에 해로운 콜레스테롤이 많아서 일거다
돼지고기를 좋아하는 중국인들은 살찐분들 , 성인병이 있는분들이 많지 않지만
소고기를 좋아하는 미국인들 , 유럽인들 , 호주인들은 성인병이 많다
아무리 봐도 소고기보다는 돼지고기가 인체에 더 좋은거 같다
이상 소고기 예찬글에 내 의견도 말해보았다
충성 우하하하하하
자기가 좋아하는 종류가 있으니 그 부분이 몸에 잘 맞는다는 뜻도 있습니다.
본인이 잘 아실 것이니 몸소 실천하시면 되옵니다.
수입 소고기 먹으면 광우병 걸린다고 난리 부르스치던 자들 다들 어디 갔는지?
나이 든 사람은 황천길에 계실 것이고 중년은 나 몰라라하고 계실 것이오니 모른 체 그냥 지나치시지요!!
한우는 너무 비싸서 좀 그렇고,
코스트코에 미국산 안심이 가성비가 좋습니다.
엊그제인 금욜 오후에도 구입했었는데 한 팩에 9만 얼마...
여섯 인지 여덟 덩어리인지 그 정도면 서너 명이 제대로 먹을 양..
미국산의 경우 다른 부위는 한우에 비해 뒤떨어지는 것 같았는데
안심은 거의 맛이 흡사한 것 같았습니다
좋는 쇠고기는 한우보다 훨씬 맛있습니다.
고급 호텔은 거의 다 부위가 좋은 수입 소를 쓰고 있으니 말입니다.
네 한 수 배웁니다
네! 고맙습니다.
요즘처럼 고기를 밥먹듯하는 세월이 언제 있었겠습니까 불과 40년 좀 지난 듯 그전엔 어찌 고기를 저리 마음껏 먹었겠나요
기본 채식에 고기(高氣)를 얹는다는 개념으로 식단을 짜면 무난하지 않을까요?
여기 오니 만나네
평생 소 한마리 먹고나 가는건지 계산은 할 수엄고
요즘 새로이 생긴 새우살이나 한번 먹어보고싶네
친구님은 내가 새우 눈인지 어찌 알고 새우 살을 칮으시나?
수산시장에서 한 번 만나 왕새우는 못먹고 흰다리 새우나 넉넉하게 잡아 볼까나?
한우 축산하시는 아버지 덕에
8개월정도 어린송아지가 다리가 부러져서 도축하여 고기로 먹은적 있답니다
야들 야들 연해서 갈비한짝 물고 뜯으니 먹기는 좋은데
그 깊은향기 감칠맛은 없드라구요
그래서 역시
과일이는 고기이든 익어야. 맛있구나 라는 사실을 알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