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제15대 종정(宗正) 성파(性坡) 스님, 준비한 법문 접고 즉석 법어
“지금까지 있었던 것 싹 다 잊고 시작하는 마음으로 새로 출발을”
“특별한 법문은 많이 준비했는데, 양산 통도사에서 여기까지 오는 동안에 싹 다 잊어버렸어요(웃음). 그래서 일상적으로 할 수 있는 말로 법어(法語)를 하고자 합니다.”
조계종 종정 성파 스님이 30일 오후 서울 조계사에서 열린 추대 법회에서 법어를 발표하고 있다. /장련성 기자
대한불교조계종 제15대 종정(宗正) 추대 법회(취임식)가 열린 30일 오후 서울 조계사. 법상(法床)에 오른 종정 성파(性坡) 스님은 자료집에 2쪽 분량으로 준비한 법어엔 눈길도 주지 않았다. 대신 쉬운 말로 ‘오늘을 기점으로 과거를 다 잊고 초발심(初發心)으로 돌아가 새로 출발하자’는 즉석 법어를 발표했다. 조계종의 법통(法統)을 계승하고 최고 권위와 존엄을 상징하는 종정 추대 법회에서 즉석 법어는 매우 드문 파격이었다. 조계사 마당을 가득 채운 3000여 불자(佛子)는 새 종정의 즉석 법어에 웃음과 박수로 화답했다.
“세계의 평화와 나라의 융성과 만민의 안락을 간절히 간절히 기원한다”며 말문을 연 성파 스님은 전통 문화를 보존해온 한국 불교의 역사와 호국 불교의 전통을 강조한 후 ‘새 출발’ 법어를 시작했다.
스님은 “계절은 봄은 분명히 왔지요? 꽃이 피었지요? 우리 인간들의 마음은 왜 그리 냉각한지, 왜 그리 안 풀리는지. 왜 그리 꽃을 못 피우는지”라며 “얼어붙은 마음을 따스한 화합하는 기운으로 인간의 얼굴에 웃음꽃이 항상 필 수 있도록 그렇게 사회에 기여하는 것이 우리 불자의 의무와 책임”이라고 말했다. 스님은 이어 이렇게 말했다. “가지 않으려 해도 가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인생길입니다. 그런데 나이 칠십, 팔십이 되면 경험도 많고 아는 것도 많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런 거 싹 다 잊어버리고 다시 시작하는 마음, 초심으로 돌아가서 인생의 길을 새로 출발하는 기점으로 삼았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종정 추대를 축하하러 오신 분들께 부탁하는 말씀입니다. 그것이 효과가 있다면 여러분들에게 선물이 될 것입니다.”
성파 스님은 “초발심으로 돌아가자, 이때까지 있었던 것을 싹 지워버리고 새로 출발하면 전부 우리 마음과 가정, 사회, 국가가 새로운 출발을 할 수 있지 않겠나 그런 생각을 합니다”라며 법어를 마쳤다. 스님은 명시적으로 표현하지 않았지만 이날 법어는 우리 사회의 갈등을 마무리하고 화합과 통합의 새 시대를 열자는 뜻으로 해석됐다.
이날 추대 법회는 봄비가 간간히 흩뿌리는 가운데 진행됐다. 문재인 대통령 부부를 비롯해 여야 정치인, 천주교 김희중 대주교 등 이웃 종교 지도자, 이수성 전 총리와 김종규 한국박물관협회 명예회장, 전국 사찰의 스님과 신자 등 3000여 명이 참석했다.
조계종 총무원장 원행 스님은 봉행사에서 “우리 모두는 위기를 기회로 변화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며 “새로운 희망을 위해 종정 예하를 중심으로 사부대중은 더욱 결집하자”고 말했다. 원로회의 의장 세민 스님은 추대사에서 “갈등과 대립으로 갈라진 물줄기를 한곳으로 흐르게 하고 상처 난 사람의 마음에 진실의 대비(大悲)를 내리게 하소서”라고 기원했다.
◈ 중봉(中峰) 성파(性坡 · 82) 영축총림 통도사 방장 대종사를 대한불교조계종 종정추대위원회는 13일 오후 2시 추대위 회의에서 성파 대종사를 제15대 종정에 만장일치 추대(推戴)했다. 제15대 종정추대위는 원로회의 의원(현재 20명), 총무원장, 호계원장, 중앙종회의장 등 23명으로 구성된다. 이날 추대위에는 석림 현호 대종사(송광사)외 원로의원 19명과 총무원장 원행 스님, 호계원장 보광 스님, 중앙종회의장 정문 스님 등 22명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는 정련 대종사를 임시의장으로 선출해 진행했다.
중봉 성파 대종사는 1939년 경남 합천에서 태어나 1960년 조계종 종정을 지낸 월하스님을 은사로 출가했다. 1970년 월하스님을 계사로 비구계를 수지하고 1971년 통도사 승가대학을 졸업했다. 이후 문경 봉암사 태고선원 등 제방 선원에서 정진했으며, 통도사 주지, 제5·8·9대 중앙종회의원, 총무원 교무부장· 사회부장을 역임했다. 2013년 조계종 원로의원으로 선출됐으며, 2014년에 종단 최고 법계인 대종사 법계를 받았다.
■ 종정(宗正)은…
종단의 신성(神聖)을 상징하며 종통(宗統)을 계승하는 최고의 권위와 지위를 가진다. 조계종 종정은 명실상부하게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최고의 정신적 지도자이다. 임기는 5년이며 한 차례 중임할 수 있다. 예하(猊下)는 종정을 높여 부르는 존칭으로, 부처님 또는 고승이 앉는 자리라는 뜻이다.
자격은 승납 45년 이상, 세납 70세 이상의 대종사 법계를 받은 수행과 법력이 높은 비구스님으로 하고 있다. 종단 법을 상징하기 때문에 종단 행정에는 관여하지 않으나 주요 행사와 안거 등을 맞아 종도들에게 법어를 내리며 모든 스님들에게 계를 전하는 전계대화상의 위촉권을 가진다. 종헌 종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포상과 징계의 사면, 경감, 복권의 권한을 가진다.
조계종은 통합종단이 출범한 1962년 제1대 종정으로 효봉 대종사를 모셨다. 그 후 청담대종사(2대), 고암대종사(3~4대), 서옹대종사(5대), 성철대종사(6~7대), 서암대종사(8대), 월하대종사(9대), 혜암대종사(10대), 법전대종사(11~12대), 진제대종사(13~14대)가 뒤를 이어 종단의 법을 상징하는 최고 어른으로 역할을 해오고 있다.
현 종정 예하 진제 법원 대종사는 2011년 추대위원회에서 만장일치로 추대됐으며, 2016년 재추대 돼어 2022년 3월25일까지 그 본분을 다한다. 새롭게 추대된 종정 예하는 2022년 3월26일 임기를 시작하며, 역대 종정 예하의 가르침을 이어 종단 역사와 전통을 이어 후학들을 지도하게 된다.
성파(性坡) 대종사는 1939년 7월 11일 생으로, 월하 스님을 은사로 출가해, 1960년 통도사에서 월하 스님을 계사로 수계 하였고, 1971년 월하 스님을 계사로 구족계를 수지했다. 1971년 통도사 강원을 졸업했다. 1975년 극락호국선원, 봉암사 태고선원에서 수선 안거한 이래 26 안거를 성만했다. 제5․8․10대 중앙종회의원, 1981~1984년 통도사 주지를 역임했다. 원효락원 이사장을 역임 하였으며, 1988년 5월부터 현재 영축학원 이사장이다. 2014년 1월7일 동화사에서 종단 최고 법계인 대종사 법계를 품수했다. 2013년 4월부터 현재까지 조계종 원로의원이며 2018년 3월부터 현재까지 영축총림 방장이다. 법호는 중봉(中峰).
성파 대종사는 영축산중을 떠나지 않고 50년 넘게 수행 정진했다. 오랜 주석처인 서운암에 선방을 스스로 설치해 수행 하였으며, 문화포교에서 남 다른 큰 공적을 쌓아왔다. 때문에 성파 대종사는 대한민국 문화 중흥에 혁혁한 공을 세워 `2017년 문화 예술발전 유공자` 중 한 명으로 선정되어 옥관문화훈장을 받았다. 당시 16만 도자대장경을 안치한 장경각 설립 등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공적을 세웠다는 평가를 받았다.
때문에 제15대 종정 성파 대종사 추대는 이전과 차이를 보이는 큰 특징은 조계종 종정상이 고정된 이미지에서 탈피했음을 보여준다. 선수행자로서의 면모에 문화 등 포교에도 큰 공적을 세운 스님이 종정에 오르면서 시대적 변화가 조계종의 종풍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성파 대종사의 큰 특징은 무애(無碍)로 평가된다. 이사(理事)가 둘이 아닌 삶을 살았고, 문화 포교에 크게 힘을 기울였다. 또 사람을 분별하지 않고 어디서나 자유롭게 만나왔고, 수행과 문화포교에 각별한 열정을 보여 왔다. 주석처인 서운암은 언제나 누구에게나 열려 있었으며, 스님은 누구를 만나도 거리낌 없이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보여 왔다.
■ 중봉 성파(中峰 性坡)대종사 약력
• 1939년 경남 합천 출생
• 1960년 통도사에서 월하 명근스님을 은사로 사미계 수지
• 1970년 통도사에서 월하스님을 계사로 구족계 수지
• 1975년 극락호국선원, 봉암사 태고선원에서 수선안거 이래 26안거 성만
• 1980년 제5·8·9대 중앙종회의원 역임
• 1981년 제15교구본사 통도사 주지 역임
• 1980년 원효학원 이사장 역임
• 1988년 영축학원 이사장 역임
• 2013년~(現) 대한불교조계종 원로의원
• 2014년 대한불교조계종 대종사 법계 품수
• 2018년~(現) 영축총림 통도사 방장
• 2017년. 옥관문화훈장 수상
• 2022년 3월 30일. 대한불교조계종 제15대 종정(宗正) 추대 법회(취임식)
◇ 봄은 천천히 차례로 온다. 서두리지 않아도 된다. 기다리면 맞이 할 스 있다.
귀룽나무 새순, 금낭화 새싹, 매화꽃에 호박벌, 매화꽃, 목련, 미선나무, 백양꽃의 잎이 있는 게절, 붉노랑상사화의 잎이 있는 계절, 살구나무 꽃에 직박구리, 진달래 꽃에 호박벌, 현호색...
-2022년 4월 1일(금), 서울 남산을 천천히 걸으면서.
출처: 조선일보 2022년 3월 30일(수) 문화·라이프〉종교·학술, 불교신문, 들풀 이영일의 생태교실
첫댓글 능곡 유태봉 주무관
[법정스님의 인생편지 '人生... 이렇게 살아라']
인생 이렇게 살아라...
너무 좋아해도 괴롭고
너무 미워해도 괴롭다.
사실 우리가 알고 있고
겪고 있는 모든 괴로움은
좋아하고 싫어하는 이 두 가지
분별에서 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늙는 괴로움도
젊음을 좋아하는데서 오고
병의 괴로움도
건강을 좋아하는데서 오며
죽음 또한 삶을 좋아함
즉, 살고자 하는 집착에서 오고,
사랑의 아픔도
사람을 좋아하는 데서 오고
가난의 괴로움도
부유함을 좋아하는데서 오고,
이렇듯 모든 괴로움은
좋고 싫은 두 가지 분별로 인해 온다.
좋고 싫은 것만 없다면
괴로울 것도 없고,
마음은 고요한 평화에 이른다.
그렇다고 사랑하지도 말고
미워하지도 말고
그냥 돌처럼 무감각하게
살라는 말이 아니다.
사랑을 하되
집착이 없어야 하고
미워하더라도 거기에
오래 머물러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사랑이든,
미움이든,
마음이 그 곳에
딱 머물러 집착하게 되면
그때부터 분별의 괴로움은 시작된다.
사랑이 오면 사랑을 하고
미움이 오면 미워하되
머무는 바 없이 해야 한다.
인연 따라 마음을 일으키고
인연 따라 받아들여야 하겠지만
집착만은 놓아야 한
고봉산 정현욱 님
제가 가장 추앙하는 조계종 제 7대 종정 성철스님이 떠나신 이후 여러 종정이 탄생했으나 무관심 했든 차에 들풀님이 제 15대 종정 성파스님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주셔서 관심있게 봤습니다
제가 제일 많이 다녔든 통도사 출신이라 더 눈여겨 읽었는데 과거는 다 잊고 초발심으로 돌아가자는 법어가 참 마음에 와 닿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