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대학입시연구회 원문보기 글쓴이: 상담매니아
(2002 수시1&2 수시모집)
(2002학년도 1학기 수시모집 - 고등학교장 추천 전형 논술고사)
아래의 예시문을 읽고 전체적으로 관련되는 주제에 대하여 자신의 견해를 논술하시오.
․ 제목란에는 주제에 맞는 제목을 쓴다.
․ 각 예시문에 들어있는 중심적인 내용이나 견해가 모두 포함되도록 작성한다.
<유의사항>
1. 답안에는 자신의 신원을 드러내는 표현은 쓰지 말 것.
2. 답안은 한글로 작성할 것.
3. 분량은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1,600자 안팎(±100자)이 되게 할 것.
(1) 싱크대에서 다섯 발자국쯤 걸어가면 사무용 책상 두 개가 벽을 바라보며 앉아 있고 그 위엔 으레 그래야 하는 것처럼 컴퓨터와 모니터, 프린터, 스캐너 등속이 자리잡고 있다. 소형 스피커 두 개는 컴퓨터와 연결되어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물론 TV와 비디오도 비슷한 방식으로 볼 수 있다. 컴퓨터가 없으면 음악도 영상도 없다. 그러니 눈을 뜨면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컴퓨터를 켜는 일이다. 물론 자기 전에 마지막으로 하는 일도 그것을 끄는 일이다. 창이 없는 이 방에서 컴퓨터는 내 창이다. 거기에서 빛이 나오고 소리가 들려오고 음악이 나온다. 그곳으로 세상을 엿보고 세상도 그 창으로 내 삶을 훔쳐본다.
- 김영하, 「바람이 분다」
(2) It is widely believed that technological society is condemned to authoritarian management, mindless work, and equally mindless consumption. Social critics claim that technical rationality and human values contend for the soul of modern man. My theme is the possibility of a truly radical reform of industrial society.
I argue that the degradation of labor,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is rooted not in technology itself but in the antidemocratic values that govern technological development. Reforms that ignore this fact will fail, including such popular notions as a simplified lifestyle or spiritual renewal. Desirable as these goals may be, no fundamental progress can occur in a society that sacrifices millions of individuals to production.
A good society should enlarge the personal freedom of its members while enabling them to participate effectively in a widening range of public activities. At the highest level, public life involves choices about what it means to be human. Today these choices are increasingly mediated by technical decisions. What human beings are and will become is decided in the shape of our tools no less than in the action of statesmen and political movements. The design of technology is thus an ontological decision fraught with political consequences. The exclusion of the vast majority from participation in this decision is the underlying cause of many of our problems.
- Andrew Feenberg,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3) 도시는 에어컨이나 쇼핑몰 같은 과학기술적인 변화 덕분에 기후에 대한 내성을 키워가고 있다. 지구온난화가 미국이나 그 밖의 발전한 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은 생태계를 통제하지 못하여 자연발생적인 강우, 땅위를 흐르는 빗물, 기온 그리고 이러한 변수들의 극단적인 양상에 종속되어 살아가는 지역들이 온난화에 가장 취약하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산업국가의 경제활동 대부분은 기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집중치료 병원, 지하채광, 실험실, 통신, 중공업, 마이크로 전자산업 등의 부문은 아마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사업지를 선정하면서, 이를테면 바르샤바로 할 것이냐 홍콩으로 할 것이냐를 결정하면서 기온을 중요한 요소로 고려해야 하는 사업은 거의 없을 것이다.
- 윌리암 노드하우스, 「온실 경제학」
(4) 수세기 동안 인간은 시간을 측정하는 보다 좋은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해 왔다. 중세 시대에 모래시계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해시계도 날이 흐릴 때는 쓸모가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갖가지 진기한 방법이 동원되었다. 영국의 알프레드 대왕의 경우 초를 똑같은 길이로 잘라 가지고 다녔다.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기 위해 초를 하나씩 차례로 켰던 것이다. 기계식 시계의 발명에는 정례화된 기도 시간과 생활을 중시하는 수도원의 수도사들이 기여한 바 크다. 수도사들은 하루 일곱 차례의 기도 시간을 알려주는 수도원의 종을 일정한 간격으로 칠 수 있도록 정확한 시간을 알아야 했다.
17세기에 이르러 추시계의 발명으로 공공장소의 대형 시계를 비롯한 다양한 시계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제 시간을 지킨다는 것은 시간을 할애하고 또 시간을 배분하는 것으로 변했다. 사람들은 자신의 신체적 리듬을 따르기보다는 시계의 기계적 시간을 따르기 시작한 것이다. 허기질 때보다는 정해진 시간에 식사를 하였고, 졸릴 때보다는 취침시간에 잠자리에 들었다. 세상사는 순차적이 되었고, '시계처럼 규칙적'이라는 말이 일상적 표현이 되었다. 오늘날에도 우리 사회는 시간에 집착하고 있다. 우리 모두는 수많은 시계와 달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아마도 그렇게 나쁜 현상만은 아닐 것이다. 어떤 작가가 말한 바와 같이 시간은 모든 것이 한 순간에 일어나는 것을 막아 주는 신의 섭리이기 때문이다.
- 빌 맥레인, {물고기는 물을 먹는가?}
(5) Global civil society is in one sense a separate social system growing up around international society and giving rise to regimes of its own. Even so, its emergence has far-reaching implications for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 society because it provides a social base for nonstate actors that helps them to participate effectively in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international regimes, which in turn influence the character of international society. The emergence of a global civil society is partly a simple matter of material resources. The introduction of the fax machine and the dramatic growth of the World Wide Web, largely as a function of global civil society rather than international society, has allowed nonstate actors to forge effective global alliances that are not subject to national governmental control.
- Oran R. Young, "Global Governance"
(2002학년도 2학기 수시모집 - 고등학교장 추천 전형 논술고사)
※ 아래의 세 요소를 유기적으로 구성하여 논술하시오.
― 예시문 (1)과 (2)에 제시된 언어의 특성
― 예시문 (3), (4), (5)에 나타난 현상의 해석
― 미래 사회에서의 언어와 인간의 관계
<유의사항>
1. 답안에는 자신을 드러내는 표현을 쓰지 말 것.
2. 답안은 한글로 작성할 것.
3. 제목은 쓰지 말 것.
4. 분량은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1,600자 안팎(±100자)이 되게 할 것.
(1) 인간은 오로지 언어가 대상의 표상을 그에게 제시하는 대로 사는 수밖에 없다. 인간 스스로가 언어를 조직해내는 바로 그 행위를 통해 인간은 자기 자신을 언어 속에 짜맞추어 넣는다. 그리고 모든 언어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에게 하나의 영역을 지정한다. 이 영역을 벗어나는 것은 오직 다른 하나의 영역 안으로 들어갈 때에만 가능하다. 따라서 새로운 언어를 습득할 때는 지금까지의 세계관과는 다른 관점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이러한 일이 어느 정도는 가능하다. (중략) 그러나 다소의 차이는 있지마는 항상 고유한 세계관과 언어관을 지닌 채로 우리가 새로운 언어 안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이 성과는 순수하고 완전한 것으로 지각될 수는 없다.
- 빌헬름 폰 훔볼트, 『카비말 연구 서설』
(2) Language has two primary purposes,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In its most primitive forms it differs little from some other forms of behaviour. A man may express sorrow by sighing, or by saying 'alas!' or 'woe is me!' He may communicate by pointing or by saying 'look'.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are not necessarily separated; if you say 'look' because you see a ghost, you may say it in a tone that expresses horror. This applies not only to elementary forms of language; in poetry, and especially in songs, emotion and information are conveyed by the same means. Music may be considered as a form of language in which emotion is divorced from information, while the telephone book gives information without emotion. But in ordinary speech both elements are usually present.
- B. Russell, Human Knowledge
(3) 추운 지역에서 눈과 함께 생활하는 날이 많은 에스키모 인의 말에는 눈에 관한 단어가 '가루 눈, 젖은 눈, 큰 눈' 등을 구별할 수 있게 발달되어 있으며, '희다'에 해당하는 말만도 열 개 이상이나 된다고 한다. 또, 바다로 둘러싸인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의 말에는 모래에 관한 단어가 많이 발달되어 있다고 한다. (중략)
우리말의 경우 '따비, 괭이, 쇠스랑, 삽, 종가래, 가래, 헹가래, 호미, 낫, 도끼, 고무래, 두레박, 용두레, 무자위, 장군, 도리깨, 쟁기, 멍에, 보습, 써레, 길마, 옹구, 망구, 발채, 꼴, 꼴망태' 등과 같은 농사 용어들이 매우 발달되었는데, 이는 우리 사회가 과거에 농경 중심의 사회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한다.
- 교육부, 『고등학교 문법』
(4) It's a beautiful thing, the destruction of words. Of course the great wastage is in the verbs and adjectives, but there are hundreds of nouns that can be got rid of as well. It isn't only the synonyms; there are also the antonyms. After all, what justification is there for a word which is simply the opposite of some other word? A word contains its opposite in itself. Take 'good,' for instance. If you have a word like 'good,' what need is there for a word like 'bad'? 'Ungood' will do just as well--better, because it's an exact opposite, which the other is not. Or again, if you want a stronger version of 'good,' what sense is there in having a whole string of vague useless words like 'excellent' and 'splendid' and all the rest of them? 'Plusgood' covers the meaning, or 'doubleplusgood' if you want something stronger still. . . . Don't you see that the whole aim of Newspeak〔the official language of the society〕 is to narrow the range of thought? In the end we shall make thoughtcrime literally impossible, because there will be no words in which to express it. Every concept that can ever be needed will be expressed by exactly one word, with its meaning rigidly defined and all its subsidiary meanings rubbed out and forgotten. Already, in the Eleventh Edition〔of the Newspeak dictionary〕, we're not far from that point. But the process will still be continuing long after you and I are dead. Every year fewer and fewer words, and the range of consciousness always a little smaller. Even now, of course, there's no reason or excuse for committing thoughtcrime. It's merely a question of self-discipline, reality-control. But in the end there won't be any need even for that. The Revolution will be complete when the language is perfect.
- G. Orwell, Nineteen Eighty-Four
(5)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통신 환경의 제약을 극복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려는 이용자들의 욕구에 의해 일상 언어와 다른 형태를 보이고 있다. 소리나는 대로 적기, 음절 줄이기, 이어 적기, 의도적 단어 변형, 이모티콘(emoticon) 등이 있다.
일상어와 달리 형태를 바꾸어 통신 분위기를 재미있고 편하게 만들어 친밀감을 나누려는 표현적 동기는 '알지'가 '알쥐'로, '안녕'이 '안뇽'으로, '해요'가 '해여' 등으로 변형된 바꾸어 적기를 만들어 냈다. 또 '뭔일?', '방가^^' 등 서술어 없이 한두 단어로 대화를 나누는 완결되지 못한 문장, '번개해봤음?', '인사안해줘서 삐짐' 등 종결어미의 변용 등도 통신 언어의 특징이다.
영국 옥스퍼드대 출판부는 인터넷과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를 쓸 때 애용되는 축약어를 실은 사전을 발간했다. 'B4'(Before), 'HAND'(Have A Nice Day), 'TX'(Thanks) 등이 영어로 인정받았다. 기쁘다는 뜻의 :-), 우울하다는 뜻의 :-(, 놀랍다는 뜻의 :-O 등의 이모티콘도 사전에 올랐다. 이에 반해 한 국어학자는 "일부 젊은층에서 개성 발휘를 위해 사용하는 통신 언어를 사전에 등록하는 것은 일시적 유행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신문 기사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