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교육 기술부 발표[스토리텔링수학] 다양한 독서활동·수학글쓰기 필요
스토링텔링 수학교과서는 [금년초등1·2학년 中1학년], [내년초등3·4학년 中2학년 高1학년] ,[ 2015년초등5·6학년 中3학년 高2학년]으로 확대 제공 된다.
◆왜 스토리 텔링인가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적은 世界상위권이나 흥미도와 학습 동기는 전체 41개 나라 가운데 각각 31위와 38위에 불과하다. 쉽고 재미있는 학습으로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켜 장차 심화된 고등수학도 적극적인 자세로 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교과서 어떤 내용인가
1학년 1학기 '여러 가지 모양' 단원에서는 학생들이 교실의 물건을 정리하는 상황을 통해 직육면체, 원기둥, 구 등의 모양을 찾고 분류하는 방법을 익힌다. 2학년 1학기 '길이재기' 단원에서는 임금님이 생일날 입을 옷을 만들기 위해 재단하는 과정에서 길이를 재는 보편단위(cm)의 필요성과 개념을 익힌다. 지난해 9월 시범수업에 적용해 본 결과, 많은 학생들이 이야기의 다음 부분을 궁금해 하는 등 수학 수업에 대한 흥미도가 매우 높아졌다는 반응이 나왔다. 교과부 관계자는 "새 수학 교과서는 학생들의 융합적· 창의적 사고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
기존의 암기중심의 학습방법으로는 문제를 풀기 어려워졌다.
서술형 문제는 답만 구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문제를 푸는 과정을 논리적으로 잘 알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 인데 "아이들이 처음부터 스스로 탐구 과정을 써 내려가기는 쉽지 않으므로 연습이 필요하다. 간단한 문제부터 풀이 과정을 정확히 쓰는 연습을 하고, 자신이 푼 문제에 자신의 생각을 담아 설명하는 습관을 기르도록 해야 한다"
스토리텔링은 수학의 원리를 이해시키기 위한 기법 중 하나다. 스토리텔링 학습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읽기, 쓰기 능력 외에도 다양한 배경지식이 필요하다.
다양한 배경지식은 누군가의 설명을 들어서 얻어지기도 하지만 학생 자신이 수학뿐 만 아니라
여러 분야의 책을 읽는 것이 밑거름이 된다.
또한 생활 속에서 수학적 요소를 찾아 가족과 함께 이야기해보고 관찰일기, 조사보고서 등
여러 형태로 수학 글쓰기를 연습해 본다.
<Story-telling 구조 및 내용 예시>
수학사 탐구형 - 덧셈과 뺄셈의 발달 과정
- 고대 그리스 사모스섬 터널은 어떻게 뚫었을까?
- 오일러보다 앞선 조선 시대 영의정 최석정의 조합론
실생활 연계형 - 정수론의 재발견
- 미적분의 활용례
- 스마트폰과 수학
혼합형 - 소수(素數)의 역사와 암호의 등장
- 게임 이론과 경제학의 발전
위 예시들은 주로 중학교 이상 수학에 적합
아마 새로 도입되는 초등 수학 교과서는 위 미국 교과서처럼 만들 듯 합니다.
실생활 사례를 이야기로 만들어서 수학 학습의 기초 개념을 설명하는데요.
아이들은 스토리를 읽으면서 수학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교과부에서 발표한 것처럼 수와 연산, 도형 단원의 앞부분에
실생활 사례 스토리가 들어가고, 그 스토리에는 개념 설명이 담겨 있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