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Hub.허브]〃강아지카페〃 원문보기 글쓴이: 이연걸
제가 번역한글은 아닙니다.
-------------------------------------------------------------------------------
애완동물 사료의 진실을 폭로한 API(Animal Protection Institute http://www.api4animals.org)의 보고서 What's Really in Pet Food 중 사료의 제조 공정에 대한 글의 번역입니다.
보고서 전문은 아래의 주소에 있습니다.
http://www.api4animals.org/79.htm
사료의 제조 공정 애완동물 사료는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사료에 “완벽하고 균형 잡힌(complete and balanced)”이란 문구를 표시하기 위해 사료 테스트를 하지 않아도 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료회사들은 새로운 사료를 개발할 때 기호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한 그룹의 동물들에게 새로운 음식을 먹이고 다른 대조군에는 기존의 사료를 먹인다.
동물들이 먹은 음식의 총 량은 그 음식의 기호성을 측정하는 수치로 사용된다. 더 규모가 크고 널리 알려진 회사들 일수록 이러한 사료 급여 시험을 실시하는데 그러한 시험은 사료의 영양에 대한 훨씬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평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들은 대규모 그룹의 개와 고양이들을 이 시험을 위해 혹은 실험동물로 사용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다. 대부분의 건조사료들은 팽창기 혹은 압축기로 불리는 기계들로 만들어진다. 첫째, 익히지 않은 날 재료들이 섞여진다.
이 과정은 동물 영양학자에 의해 정해진 레시피에 따라 사람이 직접 섞기도 하고, 아니면 컴퓨터에 의해 섞여지기도 한다. 이 혼합물은 팽창기 안에 넣어지고 증기나 뜨거운 물이 첨가된다. 이 속에서 혼합물은 증기와 압력 그리고 높은 온도의 열에 의해 익히고 압축되어 최종 생산물의 모양인 팝콘같이 작은 알갱이로 가공된다. 이것을 건조시킨 후 대개의 경우 지방, 영양제, 혹은 기호성을 높여주는 다른 첨가물들을 그 위에 뿌려주게 된다. 제조 과정에서 음식속의 박테리아가 죽게 되지만, 최종 생산물은 건조, 지방 코팅, 포장 과정에서 그 안전성(멸균되었던)을 잃어버릴 수 있다.
몇몇 사료들은 고압으로 찌지 않고 높은 온도에서 구워진다. 이 방법으로는 기호성을 높이기 위한 첨가제를 뿌리지 않아도 맛이 좋으며 밀도가 높은 바삭바삭한 알갱이가 만들어진다. 이렇게 구워진 사료를 먹이게 되면 (증기로)압축하여 만들어진 사료를 먹이는 것에 비해 25%정도(질량이 아닌, 부피로) 적은 양으로 동물들을 먹일 수 있다. 단백질, 지방, 섬유질의 함유율은 달라지더라도 습사료, 건조사료, 반-습사료들의 원료는 모두 비슷하다. 전형적인 보통의 고양이 캔사료에는 45-50%의 고기 혹은 가금류 부산물이 들어있다. 각 사료 형태들 사이의 중요한 차이점은 수분 함유량이다.
서로 다른 사료들의 성분 표시량을 ‘건조된 재료 기반’으로 수학적으로 환산하지 않고 정확히 비교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5] 습사료, 혹은 캔사료는 첨가제가 섞인 기본원료에서 시작한다. 원료들을 작게 조각내야 한다면, 특별한 압축기로 재료를 가공한다. 그리고 나면 그 혼합물들은 조리되어 캔에 담겨진다. 봉해진 캔들은 마치 압력솥 같은 컨테이너에 들어가는 것으로 멸균 과정을 대체하게 된다. 어떤 제조회사들은 캔에 음식을 넣은 상태로 조리하기도 한다. 동물 사료에는 특별한 성분 표시 기준이 의무화 되어 있다.
이 내용은 모두 AAFCO에서 매년 갱신되는 공식 문서에 포함되어 있다.[6] “만일 어느 특정 사료에 그 사료의 제조과정에 필요한 물 이외에, 그 고유성을 해하는 물질이나 방부제 또는 조미 첨가제가 한가지 이상 포함된 경우에는 그 사료의 레이블에는 ‘모든’ 혹은 ‘100%’라는 문구는 사용할 수가 없다.” 두 가지 이상의 원료를 포함하고 있는 제품들은 AAFCO 규정의 PF3(b), (c)에 적용된다. 95% 규칙은 사료에 동물고기, 가금류, 생선을 원료로 했을 때 그 양이 전체 질량의 적어도 95% 이상인 경우(혹은 제조 과정에 필요한 수분의 70%가 배제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모든 육류 식품들이 대부분 영양학적으로 균형이 맞지 않기 때문에 이들은 수년 동안 인기를 끌지 못했다.
그러나, 높은 품질의 고기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의 증가덕에 몇몇 제조 회사들은 이제 95%나 100% 육류 캔을 사료 보충용으로 선보이고 있다. ‘주식(dinner)’ 제품은 25% 규칙을 따르는데, 한 가지 원료 혹은 몇 가지 원료들의 조합이 (제조 과정의 수분을 제외한)제품 무게의 25%이상이고 그 원료들이 전체 제품 무게의 10%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면 이 규칙이 적용된다.
그리고 주 원료 외에 다른 원료들이 제품 성분으로 들어있다는 문구가 라벨에 포함된다. 그러한 문구에는 단지 'recipe,' 'platter,' 'entree,' 그리고 'formula '란 단어들이 사용된다. 제품명에 원료의 조합을 포함하는 경우는 각각의 원료가 제조과정에 포함된 물을 제외한 제품 무게의 3% 이상인 경우에 허용된다. 이때 원료 이름들은 무게 순으로 나열되어 표시된다. “with' 표시에 대한 규칙은 각각의 재료가 (제조과정에서의 수분함유량을 빼고)전체 무게의 3%이상 차지할 때 재료의 이름을 'with real chicken”와 같이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맛” 에 대한 규칙은 사료에 사용된 재료들이 그 사료에 고유한 맛을 부여하기에 충분한 경우라면 특정한 “맛”을 지니는 사료로 표현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에 실제로 소고기가 사용되지 않았어도 소고기 맛을 내기에 충분한 정도의 소의 다이제스트(다이제스트, digest 라 함은 부패되기 전의 세포조직을 화학반응이나 또는 효소를 이용한 가수분해방법을 사용하여 얻는 물질을 말함)나 또는 소의 다른 세포 조직의 추출물 소량이 포함되어 있어도 레이블에는 “소고기 맛” 사료라고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영양소는 어떻게 되는가? 수의사 Dr. Randy L. Wysong은 자신의 이름을 상표로 사용한 사료를 직접 생산한다.
오랜 동안 사료 산업을 비판해온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생산공정은 영양학적 가치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에도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 가열, 조리, 렌더링, 냉동, 건조, 캔에 담기, 압출, 작은 조각으로 만들기, 굽기 등은 사료를 만드는데 필요한 당연한 과정으로 여겨진다.”[7] 가공 공정은 곡물이 소화가 잘되도록 만들어 주긴 하지만, 육류와 육류 부산물의 영양소를 크게 파괴할 수 있다. 영양이 풍부한 사료를 만들기 위해 사료 제조 회사들은 사료에 비타민과 미네랄을 보충해야 한다. 왜냐하면 사료에 사용된 재료들이 건강에 좋은 것들이 아니고 그 재료의 질적 수준이 일정하게 유지 되지 않으며 거친 제조 방법이 영양소의 많은 부분을 파괴하기 때문이다. 사료의 오염 상업적으로 제조된 혹은 렌더링 된 육류와 육류 부산물은 그 원재료가 항상 도살된 동물은 아니기 때문에 심각할 정도로 오염되곤 한다.
질병과 상처로 인해 혹은 자연적인 원인으로 죽은 동물들이 재료로 사용된다. 죽은 동물은 죽은 지 며칠이 지나서야 렌더링 될 것이다. 따라서 동물의 사체는 살모넬라나 대장균 같은 박테리아에 오염되기 쉽다. 육류의 50% 이상이 위험한 대장균 박테리아에 감염되어 있다고 추정된다.
조리과정에서 박테리아가 죽을 수도 있겠지만, 몇몇 박테리아가 성장기간에 만들어내고 죽을 때 배출하는 내(內)독소는 제거하지 못한다.(내독소 : 열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며 또 생체에 주사하여도 독소를 중화시킬 항체를 만들지 않는다. 균체외 독소보다 독성이 약하며 균종류에 따른 특이성은 적으나 세균이 가지는 병원성과 깊은 관련을 가진다.) 이 독성은 건강을 해칠 수 있고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사료회사들은 생산 제품에 내독소 시험을 하지 않는다. Mycotoxins(곰팡이독) -- Nature's Recipe의 사료에서 발견되었던 vomitoxin이나 Doane's food의 사료에서 발견되었던 aflatoxin이 Mycotoxin이며 이 독소는 곰팡이나 버섯에 의해 생성된다. 곡물을 잘못 경작하였거나 건조 및 보관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경우 곰팡이의 성장을 유발한다. 밀이나 옥수수 같은 곡물, 면실박(cottonseed meal), 땅콩 그리고 생선 등이 Mycotoxin에 오염되기 쉬운 재료들이다. 성분 표시 기준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이 세운 사료에 대한 영양 기준들은 1980년대 말까지 사료 산업계가 이를 이용했다. 2001년까지 개정되어오고 있는 NRC의 기준은 깨끗한 사료에 대해서 만들어졌던 것이며 “완벽하고” “균형잡힌” 사료이기 위해선 급여 시험을 거쳐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사료회사들은 사료 급여 시험이 매우 제한적이고 비용이 비싸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래서 AAFCO는 '영양 도표(Nutrient Profiles)'에 맞게 시험하여 사료의 영양이 적절하다고 주장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절차를 고안했다. AAFCO 역시 개와 고양이에게 필요한 영양소에 대한 “전문가 위원회”를 만들어 개와 고양이에 대한 각각의 기준을 만들었다. 사료가 기준에 맞는지 시험하는 데에 사료 급여 시험 이외에 기준 화학 분석이 사용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화학 분석은 사료의 기호성이나 소화율 그리고 사료의 영양에 대한 생물학적 유용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따라서 화학 분석은 사료가 반려동물에게 충분한 영양을 공급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한 신뢰할 만한 방법이 되지 못한다. 화학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 AAFCO는 완벽하고 균형잡힌 사료를 위해 최소한의 영양 요구량을 넘어야 한다는 “안전에 대한 요소”를 첨가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영양소의 소화율과 효용성은 사료의 레이블에 표시되지 않는다.
100% 신화 -- 부적절한 영양으로 인한 문제들 평생에 걸쳐 필요한 모든 영양분을 하나의 사료로 제공한다는 생각은 신화나 마찬가지다. 곡물은 대부분의 상업적 사료에 주원료로 사용된다. 많은 사람들이 하나의 사료를 선택하여 그들의 개나 고양이들에게 오랜 기간 동안 급여하고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들은 주로 탄수화물을 지속적으로 섭취하게 된다. 오늘날의 개와 고양이들이 먹는 음식은 그들의 조상들이 먹었던 갖가지의 단백질 위주의 음식과 크게 다르다.
상업적 사료들과 관련된 문제들은 수의학계에서 항상 발견된다. 만성적인 구토, 설사, 그리고 염증성 내장 질환 같은 만성적인 소화관련 질병들이 가장 자주 치료 대상이 되는 질병들이다. 이것들은 종종 사료의 영양소들에 대한 알레르기나 과민반응의 결과이다. '제한된 항원' 혹은 '새로운 단백질' 사료시장은 현재 수백만 달러 규모의 사업이다. 이런 사료들은 동물들의 상업적 사료들에 대한 과민반응의 증가를 개선시키기 위해 만들어 졌다.
가장 새로운 급진전은 모든 단백질을 인공적으로 작게 조각내어 면역시스템이 인식하고 반응할 수 없도록 만든 '저자극성(알레르기 반응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사료이다.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건사료들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거나 혹은 그렇지 않은 박테리아에 종종 오염된다. 부적절한 사료 보관이나 어떤 급여 방식들은 이런 박테리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료에 물이나 우유를 붓고 상온에서 놓아두면 박테리아가 증가한다.[8] 불행히도 어린 고양이나 강아지용 사료의 포장 뒷면에는 이런 급여 방식들을 권장하고 있다. 사료회사가 권고하는 사료의 급여방법은 다른 소화 관련 문제들을 증가시켰다. 하루에 한 끼만 급여하는 것은 위산에 의한 식도의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물론, 하루에 조금씩 두 번 급여하면 이런 위험을 피할 수 있다. 사료 포장에 설명되어 있는 급여량이 종종 지나치게 많게 표시되어 있어서 소비자들이 더 많은 사료를 사게 되기도 한다.
그러나 Procter & Gamble은 그들의 아이암스/유카누바 상품에 대해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들의 사료가 훨씬 저렴하다고 주장하기 위해 급여량을 줄여서 표시한다는 것이다. 경쟁사들이 의뢰한 독립적인 연구결과들은 그렇게 급여량을 줄이는 것은 건강을 유지하는데 적절하지 못하다고 말하고 있다. Procter & Gamble은 경쟁사를 고소하거나 경쟁사에게 고소당해왔다. 그리고 P&G가 새로 고친 사료급여지침을 따름으로써 개들에게 초래된 손해를 만회하기 위하여 이미 집단소송 또한 제소된 상태이다. 요로질병은 고양이와 개의 사료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상업적 사료가 종종 고양이의 방광 질환의 원인이 되거나 질병을 악화시키기도 한다.
고양이들에게서 발견되었던 결석 중 한 종류는 지금은 별로 흔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그 결석과는 종류가 다른, 더 위험한 결석이 점점 많이 발견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석은 고양이 소변의 산도를 조절하고 몇가지 무기질의 성분함량을 바꾸어 처방된 고양이사료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개들 또한 사료 때문에 결석이 생긴다. 상업적 사료들이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은 역사적으로 증명되어 왔다. 고양이와 몇몇 개에게서 발병하는 치명적인 심장 질환의 원인이 타우린 결핍 때문이라는 점이 알려져 있다. 실명 역시 타우린 결핍으로 인한 또 다른 증상이다. 이런 결핍은 사료 성분 중에서 육류단백질을 줄이고 탄수화물을 늘려서 고양이 사료의 타우린 양이 충분히 포함되지 못한 원인 때문이었다. 지금은 고양이 사료에 타우린을 보충하고 있다.
새로운 연구 결과는 개들에게도 타우린을 보충하는 것이 개들의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말하고 있지만 아직은 일부의 사료회사들만 개 사료에 타우린을 첨가하고 있다. 어떤 고양이 사료들의 경우 칼륨이 부족하여 어린 고양이들에게서 신장관련 질환을 일으키기도 했다. 현재는 모든 고양이 사료에 많은 양의 칼륨이 첨가되고 있다. 덩치 큰 종의 강아지들의 급격한 성장이 뼈나 관절 질환을 일으킨다는 사실이 알려져 왔다. 몇몇 강아지 사료들의 과도한 칼로리와 칼슘이 급속한 성장을 촉진시켰다는 것이다. 지금은 덩치 큰 개들을 위한 특별한 강아지 사료들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최근의 변화가 엉덩이와 다리 관절 질환을 앓다가 죽는 수많은 개들을 돕지는 못할 것이다.
또한, 고양이의 갑상선 항진증이 사료에 과도하게 포함된 요오드와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는 증거도 있다.[9] 이 질병은 캔 사료가 시장에 나타난 1970년대에 처음으로 나타난 질병이다. 정확한 원인과 효과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심각한 질병은 때때로 치료가 불가능하기도 하고 치료비용 역시 비싸다. 많은 영양학적 문제가 곡물 위주의 사료가 대중적으로 보급되면서 나타났다. 어떤 문제들은 사료의 영양이 완전하지 못하여 나타난다. 비록 몇몇 영양소들이 현재 보충되어지고 있더라도, 우리는 미래의 연구자가 어떤 영양소들이 사료에 보충되어야 한다고 발견해낼지 알지 못하고 있다. 다른 문제들은 첨가물에 대한 반응 때문에 나타날 수도 있다. 박테리아나 곰팡이, 그리고 약품 혹은 다른 독소들에 의한 오염으로 인해 다른 문제들이 발생할 수도 있다. 사료가 어떤 질병들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 밝혀졌다. 물론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가장 중요한 핵심은 저급한 곡물과 렌더링 된 육류를 주원료로 만들어진 사료들이 당신의 고양이나 개들에게 안전하거나 영양이 풍부하지 않다는 점이다.
--------------------------------------------------------------------
소비자들이 할 수 있는 일
- 사료회사나 사료 협회에 편지를 보내거나 전화를 하여 사료에 대한 당신의 관심을 나타내고 재료의 질을 높일 것을 요구하십시오.
- 사료산업이나 어떤 사료회사 혹은 사료에 대한 정보를 API에 알려주십시오. - 이 보고서를 당신의 수의사가 사료에 대해 알 수 있도록 보여주십시오.
- 반려동물과 함께 살고 있는 당신의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이 사이트를 알려주고 사료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십시오.
- 사료 구입을 중단하십시오. 불가능 하다면, 사료의 양을 줄이고 신선한 음식을 보충하십시오.
- 반려동물의 영양에 대한 책을 구입하여 읽고 직접 만들어 주십시오. 그 레시피들이 균형잡혀있고 완벽한지 수의사나 영양사에게 확인시키십시오. 우리가 제공하는 몇가지 레시피들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API는 동물병원이나 치료센터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하십시오. API는 어떤 의학적 조언도 하지 않고 있고 하지 않을 것입니다. 만약 당신의 반려동물의 건강이나 필요한 영양에 대해 관심이 있다면 수의사에게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
동물의 필요 영양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동물보호협회(API)는 집에서 직접 준비하는 음식의 레시피들에 대한 소개를 포함하는 아래의 책들을 추천하고 있다.
Rudy Edalati. Barker's Grub: Easy, Wholesome Home Cooking for Your Dog. Three Rivers Press. ISBN 0-609-80442-1.
Richard H. Pitcairn, D.V.M., and Susan Hubble Pitcairn. Dr. Pitcairn's Complete Guide to Natural Health for Dogs and Cats. Rodale Press, Inc. ISBN 0-87596-243-2.
Kate Solisti-Mattelon and Patrice Mattelon. The Holistic Animal Handbook: A Guidebook to Nutrition, Health, and Communication. Beyond Words Publishing Co. ISBN 1-5827-0023-0.
Donald R. Strombeck. Home-Prepared Dog & Cat Diets: The Healthful Alternative. Iowa State University Press. ISBN 0-8138-2149-5.
Celeste Yarnall. Natural Cat Care. Journey Editions. ISBN 1-8852-0363-2.
Celeste Yarnall. Natural Dog Care. Journey Editions. ISBN 0-7858-1123-0.
The books listed above are a fraction of all the titles currently available, and the omission of a title does not necessarily mean it is not useful for further reading about animal nutrition.
사료회사마다 각기 자사품이 좋다고들 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더구나 언어로 의사를 표현할 수없는 반려동물의 가장 기본적인 영양공급을 위한 선택이니만큼 보호자로서 사료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가지고 가능한 좋은 사료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국산사료의 경우, 반드시 국산이라고 하여 나쁘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국산사료는 성분표기에 나온 정보가 불충분하므로 사료의 품질에 대해서 성분표기만으로는 좋은 사료인지 아닌지 판단하기가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가격만을 기준으로 판단하여 본다면, 값싼 사료에 결코 양질의 고급원료가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은 염두에 두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동일한 회사제품이라고 하더라도 각 브랜드별로 제품별로 차이가 나므로 각 제품의 성분을 비교하여 양질의 사료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이 장기적인 면에서 질병예방효과도 있고 더 경제적인 선택이 될 것입니다. 미국의 경우 유기동물보호소에서도 고급사료를 사용하는 추세로 가고 있는데, 이는 그동안의 경험으로 미루어 저급사료를 사용하는 경우 면역성도 떨어지고 질병이 초래되기도 하고 처리하여야할 배설물의 량도 많지만, 고급사료를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점들이 보완되므로 장기적으로는 비용절감이 된다고 하는 것입니다.
사료를 선택할 때에는 가장 기본적으로,
1.부산물(meat-by-products 이나 poultry-by-products) 이 사용되지는 않았는지
2.해로운 인공 방부제인 BHA (butylated hydroxyanisole),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 또는 EQ(ethoxyquin)이 사용되지는 않았는지
3. 유통기간은 충분히 남았는지 등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프리미엄 사료를 제조하는 회사라 하여 모든 제품에 다 부산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부산물을 주로 사용한 수입사료중에는 한국시장을 위한 홈페이지에는 사료의 성분을 올리지 않은 곳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미국의 본사의 홈페이지를 들어가 참고로 보시기 바랍니다. 미국의 본사의 홈페이지에는 각 제품별로 사료의 성분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의외로 한국시장에 많이 알려진 대규모의 다국적 회사산하의 브랜드 사료들도 부산물을 사용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최근에 일본 나고야 의과대학의 병리학과에서 애완동물사료에 들어가는 방부제에 대해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BHA는 위장과 방광의 발암을 초래하는데 가장 치명적인 편평상피 세포암을 유발하며 이 암은 가장 치명적인 암으로 특히 털 색상이 밝은 색의 동물의 경우 더 빨리 세포가 퍼진다고 합니다. 그리고 BHT의 경우에는 방광암을 촉진하고, 갑상선암을 유발하기도 하며 BHA와 BHT는 간과 콩팥의 기능이상을 초래하기도 하는지라 유럽국가중에서는 BHA나 BHT의 사용을 금하는 나라도 있다고 합니다.
ethoxyquin은 콩팥 암을 유발하며 위에 종양이 생기는 확률을 증가시키고 방광암과 대장의 종양발생률도 증가시킵니다. 그런데 심지어 처방식 사료로 알려져 있는 사료 중에도 이러한 방부제를 사용한 사료들이 있습니다. 대개의 사료는 사료에 사용된 방부제로 인하여 논란이 있은 후로 대개 자연성분의 보존제인 토코페롤이나 비타민C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료자체에는 인공방부제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하여도 가금류지방 (poultry fat 으로 표기되거나 또는 chicken fat )을 인공합성방부제를 사용하여 보존한 것을 사료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사료의 성분을 자세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토코페롤이나 비타민 C와 같은 자연성분의 보존제는 합성된 인공 방부제보다 보존효과가 오래 지속되지 않고, 일단 사료가 개봉된 후에는 변질이 빠르므로 가급적 단시일 내에 사용하여야 합니다. 사람이 먹는 식품도 인공첨가물이 없는 자연성분의 식품, 그리고 유기농으로 재배된 재료를 사용한 음식을 선호하는 등 음식과 건강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왔듯이 이와 마찬가지로 미국에서는 십수 년 전부터 애완동물 사료의 성분과 그로 인하여 초래되는 문제점들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식이 높아지기 시작하였고 이에 사료제조회사들은 이러한 소비자의 성향에 맞추어 품질이 좋은 고급사료를 생산하여 판매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최근에 수입되고 있는 홀리스틱(Holistic) 사료라고 부르는 것은 이러한 추세에 따른 새로운 개념의 사료입니다. 홀리스틱이라는 개념은 철학, 종교, 사회, 과학, 의학 등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개념인데, 이는 부분의 중요성보다는 총체적인 구성요소로서 부분을 보는, 그리고 총체적인 유기체로서의 기능에 더 중점을 두는 그런 개념입니다. 의학에서도 이러한 개념으로 특정질병이 있을 시에 그 질병이 발생한 부분만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질병이 발생하게 된 원인이 되는, 그리고 총체적인 유기체로서 환자를 치료하는 그런 개념입니다.
어떤 면에서 보면 한의학의 접근법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사료의 경우, 홀리스틱 사료라 함은, 동물의 전반적인 건강을 위한 사료라고 하는 뜻으로 받아들이면 됩니다. 그만큼 좋다고 하는 것이겠고 이는 사료회사의 마케팅전략에서 나오는 개념으로도 볼 수 있겠지요. 그리고 홀리스틱 사료에는 사람들이 먹는 식품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방부제는 거의가 자연성분의 방부제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홀리스틱 사료라는 제품명을 사용한다고 하여 무조건 신뢰하는 것보다는 이 또한 해당사료의 성분을 자세히 살펴보고 사용한 후에 실제로 홀리스틱 사료라 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사료이던 간식이던 고압, 고열 등의 방법으로 만들지 않고 영양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오븐에서 굽는 방법으로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더 나아가서는 가정식의 급식으로 집에서 직접 음식을 만들어 먹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개나 고양이가 육식동물이라는 점에서 (비록 개의 경우는 인간과 마찬가지로 잡식성에 가깝게 되었으나) 신선한 날고기로 급식하고 곡물류는 별도로 급식하는 날고기 급식 (raw meat diet) 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 방법은, 찬반 논란이 많고 또 우리나라의 경우 비현실적이고, 비경제적이며, 채식주의 정신에도 어긋나는 방법이라고 하겠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열악한 환경의 보호소에서는 저급사료의 공급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고, 또 아무리 좋은 고급사료를 먹이고 싶어도 경제적인 여유가 뒷받침되지 않아서 알면서도 좋은 사료를 선택할 수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사료 역시 각자의 상황과 여건에서 최선의 선택을 하여야 할 것이라 하겠습니다.
이하는 미국의 동물보호협회인 API (Animal Protection Institute http://www.api4animals.org )의 1999년 보고서와 미국 식약품청(FDA) 의 사료성분 표기에 대한 규정과 그리고 기타, 다른 자료들을 참고로 하여 번역 정리한 글입니다.
**************************************************************
사료는 무엇으로 만들어지는가?
2002년도 판 U.S. Pet Ownership and Demographics Sourcebook 에 의하면 미국에는 6천만 마리의 애완용 개와 7천만 마리의 애완용 고양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애완동물 사료 비지니스는 연 11 billion dollar (U$ 1.00 = \1,200원으로 계산하면, 약 13조 원에 해당) 에 해당하는 규모의 비즈니스로 이는 과히 엄청난 규모의 비지니스입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사료회사들 대부분이 식품 제조사와 농작물 산업 관련회사의 산하에 속한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습니다. 미국의 대규모 사료 제조회사 들은 대개가 국제적인 재벌 기업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알포(Alpo), 팬시 피스트(Fancy Feast), 프리스키스(Friskies), 마이티 독(Mighty Dog)은 네슬러(Nestle)사에 소속되어 있고, 랠스톤 퓨리나(Ralston Purina)는 사람 용도의 식품과 애완동물 용도의 식품을 제조하는 회사를 별도로 두고 독 챠우(Dog Chow), 프로플랜(Pro Plan), 퓨리나 원(Purina One)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9-라이브스(9-Livies), 아모르(Amore), 그레비 트레인(Gravy Train), 키블스-앤-빗츠(Kibbles-n-Bits), 내이쳐스 레시피(Nature's Recipe)는 하인즈 (Heinz)사에 소속되어 있고, 힐스 사이언스 다이어트 펫 프드(Hill's Science Diet Pet Food)는 콜게이트-팜올리브 (Colgate-Palmolive)사에 속해 있습니다. 이외에도 유카누바(Eukanuba), 이암스(Iams)는 프락터 앤 갬블(Procter & Gamble) 산하에 속해 있으며, 칼 캔 (Kal Kan), 밀타임(Mealtime), 페디그리(Pedigree), 쉬바(Sheba), 월썸스(Waltham's) 는 마스 (Mars)사에 속해 있습니다.
다국적 대기업의 입장에서 본다면 애완동물사료 제조업은 매우 이상적인 업종입니다. 다국적 기업이라는 유리한 조건을 살려서 세계각지에서 인간을 위한 식용품의 원자재를 다량으로 싼 값에 구매하여 인간용의 식품을 만들고, 그리고 그 후의 찌꺼기는 애완동물사료로 만들어 판매함으로써 인간 식용품 제조업에서 나오는 쓰레기를 해결하는데 처리비용을 들이는 대신에 오히려 그 찌꺼기를 애완동물사료를 만들어 판매함으로써 수익으로 환원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 내에서만도 수 백 가지 종류의 애완동물 사료가 있고 대개의 사료들이 그 성분이 비슷하지만, 모든 회사들이 다 질이 좋지 않거나, 잠재적으로 건강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1. 사료의 성분 반드시 사료의 판매가격이 사료의 품질을 반영하지는 않지만, 대개의 경우 가격이 비싼 사료가 좋은 품질이기가 쉽습니다. 만일 비싼 양질의 재료를 사서 사료를 만든다면 절대로 그 판매가를 싸게 책정할 수는 없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애완동물 사료에 사용되는 고기류는 인간이 소비하는 용도로는 부적합하다고 판정되는, 즉 법으로 인간 소비 용도로서는 그 사용이 허용되지 않는 것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애완동물의 사료에 사용되는 곡물 또한 인간이 소비하기에 합당치 못한 것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애완동물 사료제조업은 식품제조관련회사나 농작물 산업 관련회사들의 입장에서 볼 때, 도살장에서 버려지는 찌꺼기와 농작물 쓰레기를 오히려 영리사업에 활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창구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나 다름이 없는 것입니다. 그리고 인간이 먹기에는 부적합 것으로 판정되는 것에는 도살된 동물의 내장 류(intestines), 젓 통(udders), 식도기관(esophagi), 창자(bowels), 힘줄(ligaments), 피하지방(subcutaneous fat), 뿔(horns), 부리(beaks) 등으로 피(blood), 고름(pus), 배설물(feces), 질병이 걸린 가축들의 경우에는 암과 같은 종양도 함께 프로세스가 됩니다. 애완동물 사료에 사용되는 동물은 대개 4-D 로 분류되는데, 4-D란 이미 로드 킬(road kill) 된 죽은(dead) 동물, 질병이 걸린 동물 (diseased), 죽어가는 동물(dying), 또는 장애가 된(disabled) 동물을 말합니다. 사료에 사용되는 단백질은 여러 소스에서 나옵니다. 소, 돼지, 닭, 양 또는 다른 기타 동물들을 도살하여 가장 좋은 양질의 부위는 일단 사람의 소비용도로 잘라놓습니다. 도살된 동물의 약 50% 정도가 인간 식용 용도로 사용되지 않는데 인간 소비를 위해 살코기를 제거한 후 남게 되는 뼈, 피, 내장, 폐, 힘줄, 그리고 그 밖에 보편적으로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는 부위들이 애완동물 사료나 농장동물 사료, 또는 그 밖의 다른 제품에 사용됩니다.
이러한 부위는 다른 말로는, 부산물 (by-products)이나 미트-앤-본-밀 (meat-and-bone-meal)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애완동물사료의 포장에 표시됩니다. 애완동물사료협회 (The Pet Food Institute) 는 사료제조업체들의 협회로서 이러한 부산물을 사료제조에 성분으로 사용하는 것이 농가와 농축산물 가공업 종사자들의 부수입을 올려주는 일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부산물 찌꺼기들은 의심스러운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영양가적인 품질이나 소화흡수 가능 정도가 그 때, 그 때 다르고 지속적으로 일정한 영양공급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 데이비스 수의과대학의 분자생물과학(the Department of Molecular Biosciences, University of California at Davis Veterinary School of Medicine) 교수인 제임스 모리스(James Morris)와 퀸톤 로져스(Quinton Rogers) 는 애완동물사료에 들어간 영양성분표기는, 각 성분이 제공하는 영양소의 생물학적 이용효능에 대한 정보는 전무하며 애완동물의 사료에는 다양한 영양소를 제공하리라는 생각에 고기와 가금류(meat & poultry), 어류의 부산물들을 사용하지만 AAFCO (the Association of American Feed Control Officials)의 영양공급기준에 따랐다고 하여 반드시 사료에 표기된 영양이 공급된다고 볼 수는 없으며 각 영양소 성분이 체내에서 분해되어 그 생물학적 이용효능에 대한 가치가 연구되기 전까지는 그 성분들이 충분히 효과적으로 체내에서 영양소로 이용되는지에 대한 어떠한 보장도 하지 못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고기와 가금류 밀(meal), 또는 부산물 밀(meal), 그리고 미트-앤-본 밀 (meat-and-bone meal)은 거의 모든 애완동물 사료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밀(Meal) 이라고 하는 것은, 고기나 가금류와 같은 재료가 렌더링(rendering)을 거친 상태임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렌더링(Rendering)이라고 하는 것은, 웹스터 백과사전의 정의를 빌리자면, 산업용도로 가공의 과정을 거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지방을 녹여 기름을 정제한다든지 하는 것을 말합니다. 렌더링은 기름에 녹는 성분과 물에 녹는 성분을 분리하고 대부분의 수분을 제거하며, 오염된 박테리아를 죽이지만 자연성분의 효소인 엔자임(enzymes) 과 날 성분의 재료에서 찾아볼 수 있는 단백질을 파괴하기도 합니다. 고기와 가금류 부산물은 렌더링의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구성 성분과 품질에 있어서 매우 다양합니다.
이러한 사료제품을 반려동물에 급식할 때 과연 반려동물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요? 어떤 수의사들은 이런 도살장의 찌꺼기를 먹이는 것과도 같은 사료의 급식은 암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고 또 여러 퇴행성 질환을 초래하기도 한다고 주장합니다. 왜냐하면 사료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과정인 렌더링(rendering), 익스트루딩(extruding: 고열과 고압처리로 건조사료를 만들어 내는 과정), 베이킹(baking)의 과정을 거친다고 하여도 결코 가금류를 살찌우기 위해 사용된 호르몬, 젓소의 우유생산량을 증가하기 위하여 사용된 호르몬, 또는 동물의 질병예방과 치료에 사용된 항생제나 심지어 안락사를 위하여 사용된 안락사용 약물의 성분을 제거하지는 못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2. 동물 또는 가금류 지방 사료를 개봉할 때 나는 독특하고도 고약한 냄새가 있습니다. 왜 이런 냄새가 나는 것일까요? 대개의 경우 이런 고약한 냄새는 렌더링 과정을 거친 동물의 지방, 음식점에서 버리는 기름, 또는 사람 용도의 식품에는 사용할 수 없는 기름에서 나는 냄새입니다. 음식점에서 버리는 기름은 80년대 중반부터 동물사료 주된 지방의 소스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음식점에서 버리는 기름은 대개 더러운 드럼통에 담겨서 몇 주 동안이나 실외에 방치되거나 또는 그 사용 용도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이 극악한 기온에도 노출되기도 합니다. 렌더링 회사나 지방을 섞는 작업을 하는 사람들에 의하여 이렇게 음식점에서 사용되었던 기름이 수거되고 이 기름은 여러 다른 종류의 지방과 혼합되어 추후 지방성분이 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력한 산화방지제가 첨가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혼합된 지방은 동물사료회사나 그 밖의 소비자에게 팔려나갑니다. 이런 지방은 동물사료 알갱이에 그 사료에 플레이버를 추가하기 위하여 직접 스프레이 됩니다. 이러한 지방은 동시에 사료에 첨가되는 다른 첨가물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애완동물사료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에 의하여 이러한 지방 플레이버를 애완동물들이 좋아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에 사료제조회사들은 사료에 기호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비록 유해한 지방일지라도 이러한 지방으로 사료를 코팅하는 것입니다.
3. 밀, 콩, 옥수수, 땅콩껍질, 그리고 기타 식물성 단백질 지난 십수 년간 애완동물사료에는 곡물의 사용량이 증가되어 왔습니다. 처음에는 사료의 량을 늘이기 위한 첨가물로 사용되었던 곡물은 점차적으로 사료에 사용되던 육류의 상당부분을 대체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곡물의 영양가치는 얼마만큼이나 그 소화흡수가 가능한가에 달려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료에 사용된 탄수화물의 량과 타입이 실제로 애완동물이 그 사료를 먹음으로써 얻을 수 있는 영양가치의 양을 좌우합니다. 개와 고양이의 경우에는 흰쌀에 포함된 탄수화물은 거의 다 소화, 섭취할 수 있으나 다른 곡물의 경우에는 약 20%정도는 소화가 불가능합니다. 밀, 콩, 귀리에 있는 영양소의 흡수율은 매우 저조합니다. 감자나 옥수수에 있는 영양소의 소화흡수는 흰쌀의 경우보다 훨씬 낮습니다. 그리고 사료의 양을 채우기 이하여 첨가되는 땅콩 껍질과 같은 것은 전혀 영양학적인 가치가 없습니다. 애완동물사료에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원료 3가지 중 2가지는 특히 건조사료의 경우에는 곡물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페디그리 퍼모먼스 개 사료 ( Pedigree Performance Food for Dogs)는 갈은 옥수수, 닭 부산물, 그리고 옥수수 글루텐 밀을 주요 성분으로 하고 있고, 9 라이브스 크런치 고양이 사료 (9 Lives Crunchy Meals for cats) 는 갈은 황옥수수, 옥수수 글루텐 밀, 그리고 가금류의 부산물을 주요성분으로 하고 있습니다. 고양이는 육식동물이므로 제대로 건강을 유지하고 활동하기 위하여서는 육류를 섭취하여야 하는데 어떻게 육류가 아닌 옥수수가 주성분인 사료를 먹이라고 만들어 내는 것일까요? 그 대답은 간단합니다. 에너지 소스로서 육류보다는 옥수수가 훨씬 그 가격이 싸기 때문입니다.
1995년도에 토마토케챱으로 유명한 하인즈(Heinz) 사 산하의 네이쳐스 레시피(Nature's Recipe) 에서는 수천 톤에 달하는 개 사료를 리콜하여 2천만 달러의 손해를 본 적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이 사료를 먹은 개들이 구토증상과 식욕감퇴증상을 보여 소비자들이 항의를 하였기 때문인데 조사결과, 그 사료에 사용된 밀이 발암성 요소인 아플라톡신(aflatoxin), 또는 독성물질인 마이코톡신 (mycotoxin)을 생산해내는 곰팡이 균에 오염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1999년에는 또 다른 독성 곰팡이에 오염된 재료를 사용한 개 건조사료가 문제가 되었는데 이 때는 25마리의 개들이 이 사료를 먹고 사망하였습니다. 당시 이 사료는 월-마트 브랜드 (Wal-Mart's brand) 인 올로이 (Ol' Roy)사료와 그리고 53개의 다른 사료들로 모두 리콜되었는데 그 사료들은 모두 도아인 펫 케어사의 제조공장 중의 하나에서 제조된 사료였습니다. 바미톡신(vomitoxin: 곰팡이에 의하여 생산되는 구토증세를 일으키는 독성 물질)이 포함된 사료를 먹으면 토하거나 식욕을 잃거나 또는 설사를 하게 만듭니다.
그나마 이는 그래도 다른 경우보다는 독성이 약한 편이고 더 무서운 것은 마이코톡신(mycotoxins)으로 이 독성물질은 체중을 감소시키고, 간에 손상을 일으키고, 다리를 절게 하거나, 심지어 사망에 이르게 합니다. 콩은 애완동물사료에 식물성 단백질과 에너지 공급원으로 흔히 이용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사료제조업자들은 사료의 양을 많게 보이게 하고 또 사료를 먹고 개들이 포만감을 느끼게 하기 위하여서도 콩을 첨가하고 있는데 개들에 따라서는 별 문제가 없는 경우도 있으나 어떤 개들의 경우에는 콩으로 인하여 장내 가스가 차는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채식주의 개 사료에서는 콩이 단백질의 공급원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4. 첨가물과 방부제 애완동물사료에는 그 맛을 내기 위하여, 또는 사료의 안정성을 위하여, 또는 사료의 특성상, 또는 사료의 모양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많은 화학성분이 첨가됩니다. 이러한 첨가물들의 영양학적 가치는 전혀 없습니다. 이러한 첨가물들은 물과 기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화제, 지방성분이 산화되는 것을 막기 위한 산화방지제, 그리고 인공색상과 인공 맛 성분으로서 이러한 첨가물들은 사료의 외관이 소비자들 눈에 보기 좋고 또 인공적인 맛으로 개들이 사료를 선호하게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음식에 화학물질을 첨가하는 것은 수천 년 전부터 사용하여 온 향료, 자연성분의 방부제, 또 발효제등을 첨가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으나 지난 40년 동안에 음식 첨가물의 종류는 이루 말 할 수없이 크게 늘어났습니다. 모든 제품의 애완동물사료는 사료의 신선도를 위하여, 그리고 또 그 제품을 먹게 되는 동물들이 먹고 싶은 마음이 생기도록 잘 보존되어야만 합니다.
통조림은 그 자체로서 장기간 보존을 위한 과정을 거치는 것이므로 건조사료의 경우보다는 방부제가 덜 사용됩니다. 방부제에 따라서는 사료에 사용되는 원료나 가공되지 않은 원자재를 제공하는 공급자에 의하여 첨가되는 것도 하고 또 제조업자에 의하여 첨가되는 것도 있습니다. 제조업자의 경우 건조사료가 공장에서 배송한 후에도 상점의 선반에서 오랜 동안 상하지 않고 보존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므로 사료에 사용하는 지방성분의 경우 이미 인공적으로 합성된 방부제나 또는 자연성분의 방부제로 보전된 것을 사용합니다. 인공방부제에는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과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propyl gallate, 그리고 자동차 부동액으로 사용되는 프로필렌 글리콜 (propylene glycol) 그리고 ethoxyquin 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산화방지제가 사용된 사료를 동물이 날마다 먹음으로써 초래될 장기 복용 시의 영향이나 이러한 인공 산화방지제의 독성, 안전성, 다른 성분과의 반응, 에 대하여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습니다. 잠재적으로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는 BHA, BHT, 그리고 ethoxyquin의 경우 상대적으로 소량의 사용이 허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성분이 들어간 사료에 대하여 제대로 연구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방부제를 사용한 사료를 장기간 먹일 경우에는 건강을 해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입니다. 엑시토킨(ethoxyquin)제조회사인 Monsanto에서 실시한 ethoxyquin의 안전성에 대한 최초의 연구결과는 믿을 만한 것이 못되어 제대로 새로운 연구를 할 것이 요구되었고 1996년에 이 연구결과가 완성되었는데 Monsanto에 의하면 엑시토킨(ethpxyquin)의 유독성에 대한 결정적인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1997년에 미국의 식품의약청(FDA) 산하 수의학약품센터에서는 사료제조회사들에게 사료에 사용하는 엑시토킨(ethoxyquin)의 함량을 자발적으로 최대 반으로 감량할 것을 요청하였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일본 나고야 의과대학의 병리학과에서 애완동물사료에 들어가는 방부제에 대해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BHA는 위장과 방광의 발암을 초래하는데 가장 치명적인 편평상피 세포암을 유발하며 이 암은 가장 치명적인 암으로 특히 털 색상이 밝은 색의 동물의 경우 더 빨리 세포가 퍼진다고 합니다. 그리고 BHT의 경우에는 방광암을 촉진하고, 갑상선암을 유발하기도 하며 BHA와 BHT는 간과 콩팥의 기능이상을 초래하기도 하는지라 유럽국가중에서는 BHA나 BHT의 사용을 금하는 나라도 있으며 ethoxyquin은 콩팥 암을 유발하며 위에 종양이 생기는 확률을 증가시키고 방광암과 대장의 종양발생률도 증가시킨다고 합니다. 더불어 애완동물사료 전문가와 수의사들 중에는 사료에 방부제로 사용된 ethoxyquin 성분이 각종질병과 피부질환, 개의 경우 불임중의 주요원인이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반면 일부에서는 ethoxyquin 이야말로 애완동물사료에 사용될 수 있는 방부제로서 가장 안전하고 강력하고 성질이 변형되지 않는 방부제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아직 Ethoxyquin 이 고양이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것이 없습니다.
사료제조회사들 중에는 방부제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를 반영하여 자연성분의 보존제인 비타민 C (ascorbate), 비타민 E(mixed tocopherols), 또는 로즈메리, 클로브 등의 허브오일을 사용하여 보존한 지방을 사료에 사용합니다. 그러나 사료에 사용되는 다른 원료들은 개별적으로 다른 보존제가 사용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대개 사료에 사용된 생선(fish meal)의 경우, 비타민과 무기질이 혼용되어 있고 또 화학방부제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결국, 사료의 급식은 각양각색의 방부제를 급식하는 것과도 마찬가지가 될 수 있는 것입니다. 미국의 연방법에 의하여 제조사는 제품에 사용한 방부제를 상표에 기재되어야 하는데, 애완동물 사료제조사들의 경우 이 법규를 준수하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입니다.
* 가공된 애완동물사료에 들어가는 첨가물*
Anticaking agents
Antimicrobial agents
Antioxidants
Coloring agents
Curing agents
Drying agents
Emulsifiers
Firming agents
Flavor enhancers
Flavoring agents
Flour treating agents
Formulation aids
Humectants
Leavening agents
Lubricants
Nonnutritive sweeteners
Nutritive sweeteners
Oxidizing and reducing agents
pH control agents
Processing aids
Sequestrants
Solvents, vehicles
Stabilizers, thickeners
Surface active agents
Surface finishing agents
Synergists
Texturizers
이러한 첨가물이나 방부제에 대한 독성 연구는 법으로 요구되고 있지만, 이러한 각 성분들이 섭취되어 일어날 수 있는 화학반응에 대하여서는 연구된 바가 없으므로 혹자에 따라서는 흔히 사용되는 인공 방부제들이 함께 섭취될 경우 위험한 반응이 상호작용에 의하여 나타난다고 제시하고 있습니다. 자연성분의 보존제는 화학방부제의 경우만큼 장기간 보존할 수는 없으나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
사료 추천받을것도 아니고 추천할것도 못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