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길낙(樂)자는 흰(白)나무(木)와 보일듯말믓한 가느다란 실(絲) 로 얽혀진 글자이다 악기를 만들기 위하여 나무를 깍아서(희게되었음) 그 위에 보일듯 말듯한 실로 얽어 각종 아름다운 소리가 나도록 만들어진 악기를 뜻하는 글자이다
즐거울때엔 노를 부르게 마련이다 그래서 이 글자는 즐길락(락) 하기도 하지만 노래부르를 악(악)하기도한다 이 글자의 음은 낙,락, 악 그이외에
즐거워할요(요)라고도하는것이어서 발음은 무려 네가지나되는셈이다 이 글자는 오음(五音:宮商角徵羽)과 팔성(八聲:금(金⇒鍾) 석(石⇒磬) 사(絲⇒絃) 죽(竹⇒管) 포(匏:바가지⇒笙) 토(土⇒壎) 혁(革⇒鼓) 목(木⇒어枳=탱자나무로 엎드린 범의 모양을 깍아 그 등에 27개의 톱니를 세우고 견으로 긁어 소리를 내는 궁중악기로 풍류를 그칠때에 썻음) 의 온갖 소리들을 총망라하여 한껏즐거움과 슬픈것과 원통한것과 애절한것을 모두 나타내는것으로 되어있다 뿐만아니라 삼현육각(三絃六角:거문고 가야금 당비파,북 장구 해금 피리와 한쌍의대평소)의 기구를 이용한 음악의 즐거움의 톤:을 한껏 높여 올리고 나아가는것으로 되어있는 글자이다
네가지 음 으로 쓰여지는 것의 예시로는
①낙 ㅡ낙경(樂境) 낙토(樂土) 낙관(樂觀) 낙빈(樂貧) 낙승(樂勝)
②락 ㅡ안락(安樂) 고락(苦樂) 희락(喜樂)
③악 ㅡ음악(音樂) 성악(聲樂) 기악(器樂) 타악(打樂)
④요 ㅡ요산요수(樂山樂水=어진사람은산을 좋아하고, 물을 좋아하는사람은 지혜롭다)는 논어라는 책에 나온다
또 이글자는 재미있는 수수께끼도만들어낼수가 있다
몇가지 용례
1.낙극애생(樂極哀生)=즐거움이 다하면 슬픔이 생긴다
2.낙이망우(樂以忘憂)=쾌락에 도취되어 근심걱정을 완전히 잊어버림---공자가 자기자신은 학문의 즐움에 도취되면 그냥 즐겁고 근심걱정을 아예 완전히 엊어버리고 또 發憤忘食밥먹는것조차 잊어버리며 자신의 나이가 늙어가는것조차도 모를지경(不知老之將至云爾)이라고말하였다
3낙천(樂天)=자기의 처지를 애태우지않고 항상 인생을 즐겁고 달갑게 여기며 살아가는것
출전; 역경계사상편에 樂天知命 故不憂 또맹자에 양혜왕하편에 樂天者保天下 畏天者保其國 또 도잠의귀거래사에 樂夫天命 復奚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