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驪州李씨 역대인물지 世孫과 代孫 동일사용조사 | |||||||
페이지 |
선조 호 |
선조 휘 |
기준 조 |
휘 |
世孫 |
世 |
派 |
83 |
귀산군공 |
번 |
문 순 공 |
규 보 |
5 |
6 |
문순공파 |
85 |
부훤당공 |
적 |
정 당 공 |
수 룡 |
5 |
6 |
정당공파 |
92 |
오 계 공 |
응 양 |
문 순 공 |
규 보 |
6 |
7 |
문순공파 |
114 |
사 평 공 |
지 화 |
군기감공 |
겸 |
6 |
7 |
경헌공파 |
118 |
제 천 공 |
지 시 |
상 서 공 |
수 해 |
7 |
8 |
경헌공파 |
125 |
계 량 공 |
공 려 |
사온서령공 |
윤 방 |
6 |
7 |
경헌공파 |
228 |
현 포 공 |
덕 언 |
참 판 공 |
심 |
7 |
8 |
학사공파 |
241 |
함 양 공 |
지 화 |
경 헌 공 |
계 손 |
6 |
7 |
경헌공파 |
266 |
부총관공 |
상 하 |
경 헌 공 |
계 손 |
5 |
6 |
경헌공파 |
269 |
김 포 공 |
이(以)성 |
포 천 공 |
종 약 |
5 |
6 |
정당공파 |
275 |
창 주 공 |
지 유 |
경 헌 공 |
계 손 |
6 |
7 |
경헌공파 |
277 |
지 평 공 |
지 안 |
경 헌 공 |
계 손 |
6 |
7 |
경헌공파 |
290 |
목 사 공 |
이(以)존 |
포 천 공 |
종 약 |
5 |
6 |
정당공파 |
299 |
증참판공 |
시 함 |
경 헌 공 |
계 손 |
6 |
7 |
경헌공파 |
300 |
지 평 공 |
지 익 |
경 헌 공 |
계 손 |
6 |
7 |
경헌공파 |
324 |
단 양 공 |
오 |
수 은 공 |
사 필 |
5 |
6 |
경헌공파 |
329 |
성 봉 공 |
영 |
경 헌 공 |
계 손 |
8 |
9 |
경헌공파 |
331 |
증승지공 |
만 지 |
월 연 공 |
태 |
5 |
6 |
정당공파 |
350 |
청 운 공 |
해 |
경 헌 공 |
계 손 |
6 |
7 |
경헌공파 |
354 |
첨 헌 공 |
만 전 |
월 연 공 |
태 |
5 |
6 |
정당공파 |
367 |
섬 계 공 |
잠 |
경 헌 공 |
계 손 |
8 |
9 |
경헌공파 |
380 |
소 헌 공 |
식 |
월 연 공 |
태 |
7 |
8 |
정당공파 |
384 |
증참판공 |
구 진 |
경 헌 공 |
계 손 |
7 |
8 |
경헌공파 |
386 |
묵 헌 공 |
만 재 |
월 연 공 |
태 |
5 |
6 |
정당공파 |
391 |
월 암 공 |
지 복 |
월 연 공 |
태 |
6 |
7 |
정당공파 |
394 |
수 와 공 |
국 휴 |
경 헌 공 |
계 손 |
9 |
10 |
경헌공파 |
396 |
달 봉 공 |
귀 휴 |
경 헌 공 |
계 손 |
9 |
10 |
경헌공파 |
410 |
지 평 공 |
동 환 |
익 헌 공 |
상 의 |
5 |
6 |
경헌공파 |
422 |
정 자 공 |
원 환 |
익 헌 공 |
상 의 |
5 |
6 |
경헌공파 |
433 |
죽 파 공 |
광 휴 |
경 헌 공 |
계 손 |
9 |
10 |
경헌공파 |
436 |
부 사 공 |
회 창 |
의 헌 공 |
광 륜 |
5 |
6 |
정당공파 |
438 |
도 정 공 |
태 주 |
진 사 공 |
경 승 |
5 |
6 |
정당공파 |
440 |
채 암 공 |
재 휴 |
익 헌 공 |
상 의 |
5 |
6 |
경헌공파 |
442 |
덕 봉 공 |
원 룡 |
매 원 공 |
돈 |
5 |
6 |
정당공파 |
454 |
부호군공 |
조 환 |
순 창 공 |
상 관 |
5 |
6 |
경헌공파 |
447 |
사 암 공 |
중 목 |
매 원 공 |
돈 |
5 |
6 |
정당공파 |
454 |
부호군공 |
조 환 |
순 창 공 |
상 관 |
5 |
6 |
경헌공파 |
471 |
의 추 재 |
재 덕 |
호산청은공 |
상 신 |
6 |
7 |
경헌공파 |
472 |
교채당공 |
빈 |
국 창 공 |
찬 |
5 |
6 |
정당공파 |
475 |
두 산 공 |
맹 휴 |
경 헌 공 |
계 손 |
9 |
10 |
경헌공파 |
477 |
학 서 공 |
현 환 |
익 헌 공 |
상 의 |
5 |
6 |
경헌공파 |
481 |
성 강 공 |
재 현 |
호선청은공 |
상 신 |
6 |
7 |
경헌공파 |
483 |
채 암 공 |
경 환 |
익 헌 공 |
상 의 |
5 |
6 |
경헌공파 |
487 |
낙부재공 |
치 도 |
두 곡 공 |
익 형 |
5 |
6 |
학사공파 |
489 |
예 헌 공 |
철 환 |
익 헌 공 |
상 의 |
5 |
6 |
경헌공파 |
494 |
청 계 공 |
정 환 |
익 헌 공 |
상 의 |
5 |
6 |
경헌공파 |
503 |
목 재 공 |
삼 환 |
익 헌 공 |
상 의 |
5 |
6 |
경헌공파 |
507 |
지 평 공 |
언 일 |
증참의공 |
덕 휴 |
5 |
6 |
학사공파 |
514 |
승 지 공 |
득 휴 |
경 헌 공 |
계 손 |
9 |
10 |
경헌공파 |
516 |
승 지 공 |
병 철 |
의 헌 공 |
광 륜 |
6 |
7 |
정당공파 |
523 |
시 정 공 |
세 항 |
춘 주 공 |
상 흥 |
7 |
8 |
경헌공파 |
535 |
시 헌 공 |
재 위 |
익 헌 공 |
상 의 |
6 |
7 |
경헌공파 |
537 |
석 헌 공 |
재 중 |
익 헌 공 |
상 의 |
6 |
7 |
경헌공파 |
539 |
처 사 공 |
시 류 |
호산청은공 |
상 신 |
7 |
8 |
경헌공파 |
540 |
경 암 공 |
운 창 |
만묵당공 |
경 무 |
5 |
6 |
학사공파 |
554 |
창 부 공 |
진 화 |
김 포 공 |
성 |
5 |
6 |
정당공파 |
546 |
퇴 와 공 |
운 철 |
두 곡 공 |
익 형 |
6 |
7 |
학사공파 |
557 |
겸 재 공 |
명 환 |
익 헌 공 |
상 의 |
5 |
6 |
경헌공파 |
559 |
벽화정공 |
도 신 |
만묵당공 |
경 무 |
6 |
7 |
학사공파 |
563 |
좌 랑 공 |
정 무 |
가선대부공 |
장 원 |
6 |
7 |
|
556 |
구 화 공 |
구 상 |
춘 주 공 |
상 흥 |
8 |
9 |
경헌공파 |
574 |
도 사 공 |
치 명 |
호산청은공 |
상 신 |
8 |
9 |
경헌공파 |
576 |
기 산 공 |
치 소 |
춘 주 공 |
상 흥 |
8 |
9 |
경헌공파 |
581 |
추 남 공 |
장 한 |
처 사 공 |
만 시 |
5 |
6 |
경헌공파 |
583 |
장 령 공 |
담 구 |
인묵재공 |
만 엽 |
7 |
8 |
정당공파 |
587 |
무 릉 공 |
종 원 |
백 곡 공 |
지 운 |
5 |
6 |
정당공파 |
589 |
반 구 공 |
장 근 |
자유헌공 |
만 백 |
5 |
6 |
정당공파 |
594 |
지 평 공 |
선 호 |
의 헌 공 |
광 륜 |
8 |
9 |
정당공파 |
598 |
우 은 공 |
치 홍 |
참 의 공 |
상 준 |
8 |
9 |
경헌공파 |
600 |
만 성 공 |
용 구 |
백 곡 공 |
지 운 |
6 |
7 |
정당공파 |
604 |
참 판 공 |
봉 구 |
함 양 공 |
지 화 |
9 |
10 |
경헌공파 |
607 |
일 성 공 |
장 오 |
묵 헌 공 |
만 재 |
5 |
6 |
정당공파 |
608 |
남 호 공 |
내 홍 |
백 운 공 |
광 보 |
9 |
10 |
정당공파 |
615 |
농 은 공 |
종 곤 |
사 과 공 |
만 용 |
6 |
7 |
정당공파 |
621 |
소 호 공 |
종 호 |
처 사 공 |
만 최 |
6 |
7 |
정당공파 |
630 |
만회당공 |
소 구 |
반 계 공 |
숙 |
5 |
6 |
정당공파 |
643 |
신 암 공 |
준 구 |
인설당공 |
익 조 |
5 |
6 |
학사공파 |
646 |
묵 산 공 |
경 구 |
백 곡 공 |
지 운 |
6 |
7 |
정당공파 |
650 |
제 천 공 |
승 구 |
자락정공 |
풍 |
5 |
6 |
정당공파 |
675 |
춘 포 공 |
종 렬 |
섬 계 |
잠 |
6 |
7 |
경헌공파 |
683 |
둔 산 공 |
영 윤 |
귀 은 공 |
달 성 |
5 |
6 |
문순공파 |
684 |
진 암 공 |
덕 구 |
목 재 공 |
삼 환 |
5 |
6 |
경헌공파 |
자료조사/2007.7.13. 여주이씨사이버재실 道展事 李星衡 |
驪州李氏 思敬齋 司直公 鸞 의 재실에 “14世孫 弼胄”하였다
14世孫 弼胄조상은 '세(대)'수로 15世(代)이다. 아래는 계보다
①鸞- ②承春- ③極- ④兌亨- ⑤景茂- ⑥東爀- ⑦粹然- ⑧承慶- ⑨益祚- ⑩運泰- ⑪道新- ⑫容泌- ⑬鍾和- ⑭準九- ⑮弼胄
위에 계보에는 司直公의 14世孫 弼胄라고 서각되어 있다,
代孫법으로 헤아리면 15代이고 14代孫이다, 世孫법도 15世고 14世孫이다, 확인하면 알 수 가있을 것이다. 世孫과 代孫이 같다.
世와 代 “이의어”로 주장자에 의하면 司直公의 15世며 15世孫이다,世와 代 “동의어”로 보면 司直公의 15世이고 14世孫이다,
선조님께서는 그렇게 쓰셨다. 이제 선조님이 쓰셨던 용례를 찾아 후손들이 바로 써야 한다.
여주이씨사이버재실 재실장 李星衡
우리가문의 족보 서문에 쓰여진 4世孫 고손
[원문] 『「壬辰派譜 卷首曰」辛巳譜曰一世遠祖李直才高麗戶長二世子世貞鄕貢進士乙丑譜曰此是慶州派譜也 其譜曰 晦齋先生四世孫(玄孫)埰 得見手譜於咸安同宗景茂家則以驪州副戶長直才爲始祖諱世貞上無子字而辛巳譜書子字於世貞上此巳傳寫之誤且念咸安譜本旣非家傳而先生西遷之時撰判書公碣曰鄕貢進士世貞之後此是末年所敍先生行狀墓文俱以世貞爲始祖故今謹以諱世貞爲始祖而略記顚末始是云云.』
[국문] 『「임진파보 권수왈」신사보왈일세원조이직재고려호장이세자세정향공진사을축보왈차시경주파보야 기보왈 회재선생사세손(현손)채 득견수보어함안동종경무가칙이여주부호장직재위시조휘세정상무자자이신사보서자자어세정상차사전사지오차념함안보본기비가전이선생서천지시찬판서공갈왈향공진사세정지후차시말년소서선생행장묘문구이세정위시조고금근이휘세정위시조이약기전말시시운운.』
※ 晦齋先生四世孫(玄孫)埰
彦迪 (11세;1491~1553)→ 기준 시작 조=己 =1세/1대
→應仁(12세;1535~1593)→1세손(1대손)=자 = 2세/2대
→宜澄(13세;1568~1596)→2세손(2대손)=손 = 3세/3대
→皦 (14세;1590~1652)→3세손(3대손)=증손=4세/4대
→ 埰 (15세;1616~1684) →4세손(4대손)=현손=5세/5대
[계보]晦齋先生 彦迪→應仁(응인)→宜澄(의징)→皦(교)→埰(채)=晦齋선생 4세손 埰
[참고]
※壬辰譜에 쓰여진 내용과 동일한 내용으로 乙丑大同譜 壬寅譜 乙卯譜에 실려있다. (주)1.()안에 「玄孫」이라 쓰여진 것은 1984년보에 옮겨 적으면서 비롯 되었다.(주)2.신사보(1641년), 임진보(1712), 을축대동보(1745), 임인보(1902), 을묘보(1915),
[조사]여주이씨사이버재실 여강경주파 명광이병구
[글]여주이씨사이버재실 재실장 李星衡
驪州李氏 문순공파 하음보에 세손은 대손과 동의어다.
天晟 鎭岑監務 配咸陽朴氏 父原從功 臣大休O 墓高芝山 尤庵宋先 生奉祀孫 宗洙治潭 陽時菊齋 公六世孫 世煥往于 高芝山數 月誠尋而 未見信跡 歔欷而歸 |
천성 진잠감무를이지냈다.배위는 함양박씨인데 아버지는 원종공신 대휴이다.묘는고지산인데 우암송선생의 봉사손 종수가 담양을 다스릴때에 국재공의 六세손세환이 고지산에 가 여러달을 정성껏 찾았으나 믿을만한 자취를 보지 못하고 탄식하며 돌아왔다 |
<①菊齋公(必益)→②宖→③惟吉→④景沆→⑤定相→⑥宗岳→⑦世煥>
위에 족보에는 국재공의 6세손 세환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대손법으로 헤아리면 7대이고 6대손이다, 세손법도 7세고 6세손이다,
확인하면 알 수 가있을 것이다. 세손과 대손이 같다.
세와 대 “이의어”로 주장자에 의하면 국재공의 7세며 7세손이 세환이다,
세와 대 “동의어”로 보면 국재공의 7세이고 6세손이다, 선조님께서는 그렇게 쓰셨다. 이제 선조님이 쓰셨던 용례를 찾아 후손들이 바로 써야 한다
여주이씨사이버재실 재실장 李星衡
晦齋先生 10世祖
[여주이씨 회재선생 계보]
十世祖 世貞→宗衍→稛→培→允芳→春彦→權→崇禮→壽會→蕃→彦迪
侍講院 官印이 찍혀있고 玄孫이 登載된 것으로 보아 歿後80-100년경에 侍講院 발행 公文書로 보임. (嘉靖元年 中宗十七年 壬午 先生三十二歲二月。除世子(後仁宗)侍講院說書 1553(명종8년)卒,1574(선조 7년)文集
[이하 세와 대 보충설명]
世貞부터 文元公(彦迪)까지 11세(11대)이며, 10대손 또는 10세손이며, 世貞은 문원공의 10대조 또는 10세조이다. 代祖나 世祖는 같고 主格(基準)문원공의 윗대부터 센 것을 알 수 있다.
여주이씨 문헌을 찾던중 世子侍講院 발행 회재선생 世系圖가 있어 발취하여 보내니 자료로 활용 바랍니다.
안동권문 진해 권 태 현
李佑成 박사님께 올립니다.
존경하옵는 족친 李佑成 박사님 안녕하십니까? 풍문에 건강이 염려된다고 들었습니다. 다름 아니라 저는 함안에 살며 여주이씨 校尉公후 尙書公후 司直公후손이며 28世 星衡(53세)입니다, 현재 “여주이씨 사이버재실”이란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름 아니라 “世와 代”에 같다고 하나 일부 어른들께서 동감을 갖지 못하니 안타가워하며, 저는 “世와 代”는 같고 기준을 뺀 世孫과 代孫은 같다는 것을 “여주이씨 역대인물지”를 통하여 백 여분의 선조님 비문 글에 세와 대를 같이 사용한 것을 통계를 내어 전국에 배포하였습니다만 박사님께서 근찬하신 수원 광교산에 校尉公 仁德 할아버지 단비에 “29世孫 李佑成 근찬”으로 되어 있어 저는 의아해 했습니다만 원문에 29世 李佑成 근찬으로 되어 있는 것을 누군가가 “孫” 을 삽입 한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듭니다. 단비의 새겨진 글은 먼 후대에 후손들의 문장에 표본이 될 것으로 사료되기에 정확한 계대법을 알고 싶으며 세와 대 조사보고서를 첨부하였습니다, “世와 代” “世孫과 代孫”에 대하여 여주이문의 후학에 도움을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연로하신 박사님 찾아 인사드리지 못한 점 이해하시고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경남 함안군 여항면 외암리 음촌 321-10번지
2007년 9월10일 李星衡 삼가올림
[답변] 世와代 아직까지 종중에서 논란입니까? 내가 글을 종중에 보냈는데, 전화로 답변 드립니다, 世와代는 같습니다, 世孫과 代孫은 같습니다, 世祖와 代祖도 같습니다, 世와 代에 손을 붙이면 기준조(1世)를 빼고, 祖를 붙이면 기준孫(1세)를 뺍니다. 5대조에 대하여 나는 5세손 5대손이고, 6세 6대이며, 9대조에 대하여 나는 9세손 9대손 10세 10대입니다. 민족문화 추진회 성백효씨께 자료를 받아보기를 바랍니다. 교위공 단비에 29세손 이우성 근찬은 내가 해준대로가 아니고 각자(刻字)한사람이 그렇게 각자했기에 나와 무관한 사실입니다.
그리고 보내준 성형께서 쓴 세와 대 글은 보았는데 잘 쓰고 조사 잘 하였습니다.
2007년 10월 3일 문학박사 이우성
韓國의 先正들께서 쓰신「世와 代」의 眞義
成均館典儀 淸雲 李柱燁
1. 세(世)와 대(代)의 해석에 대한 현황
지금 우리나라에는 <세와 대>에 대한 개념이 두 갈래로 혼선을 빚고 있다.
예컨대 세와 대에는 주격을 넣지 않는 동의로 해석하는 측면과 세에는 주격을 넣고 대에는 주격을 뺀다는 이의로 해석하는 측면이 있는 것이다.
2. 해석 차이에 따른 현실적 부작용
각 가문마다 성묘 시에 선조의 신도비명이나 묘갈명을 보면서 이론 이 무성하다. 예컨대 시제의 고축에 있어서 <00대조 모>와 <00세손모>라는 문제에 있어서 대와 세에 대한 동의와 이의의 타당성을 거론하면서 갑론을박의 토론이 난무하여 혼동과 당착이 야기되는 것이다. 결국 뚜렷한 해결책이 두절된 채 양측의 견해가 평행선을 달리다가 유야무야되고 마는 경우가 현실이다.
3. 선정들의 세와 대에 대한 사용사례 조사 분석
서울대학교 도서관에서 편찬한「국조인물고(상중하권)」에 나타난 김씨 이씨 박씨의 삼성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거 유들께서 집필하신 김 이 박 삼성의 비명을 비롯한 시장과 행장 등에서 '00세손 00세조'라고 표기된 사항을 표집한 후 각 문중의 실제 족보에 표기된 인물계대와 대조 검증하였다. 찬술선정들 중에는 독자 제현의 직조나 방조도 있을 것이고 평소 숭앙하는 사숙작자도 있을 것이다.
4. 조사 분석의 검증결과
우리의 선정들은 한결같이「세와 대」를 주격을 뺀 동의로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세에는 주격을 넣고 대에는 주격을 뺀다.」는 허무맹랑한 이의에 집착하게 되면 계대에 차질이 발생하여 “아버지가 할아버지로 둔갑되는 수도 있고 할아버지가 아버지로 둔갑되는 망발”이 나타난다. 그 뿐만 아니라 거유선정이 작성하신 수많은 비석문과 금석문이 등재된 보고문헌을 일시에 폐기처분해야 한다는 해괴한 일이 뒤따를지도 모른다.
5. 조사 분석의 관련자료
1) 사전해석(辭典解釋)
(1) 대만발행 한문대사전 20책
* 世 : 父子相繼 曰 世... * 代 : 父子相繼 亦曰 代
(2) 일본발행 대한화사전 13책
* 世 : 父死子立 曰 世 .父死子繼 曰 世...父子相繼 曰 世 * 代 : 世
(3) 대만발행 대사전
* 世 : 自父到子爲一世. .* 代 : 父子相繼爲代
(4) 대만발행 사원
* 世 : 父子輩叫一世
(5) 대만발행 사휘
* 世 : 父子相繼爲一世
(6) 강희자전
* 世 : 代也...* 代 : 世也
2) 조사문헌상 동의실례
(1) 묘갈명 등 총 88수
全州李氏 20首 慶州李氏 9首 延安李氏 5首 全義李氏 5首 韓山李氏 5首 德水李氏 1首 眞寶李氏 2首 咸平李氏 1首 泗川李氏 1首 星山李氏 1首 廣州李氏 1首 驪州李氏 1首 遂安李氏 1首 安東金氏 2首 慶州金氏 5首 義城金氏 1首 高靈金氏 1首 淸風金氏 1首 禮安金氏 1首 潘南朴氏 4首 密陽朴氏 2首 尙州朴氏 1首 咸陽朴氏 1首 淸州韓氏 5首 東萊鄭氏 1首 海州鄭氏 1首 高靈申氏 1首 晋州姜氏 1首 中國巨儒 7首
(2) 찬술인 성명 : 동일인 수작 50인
許穆. 尹拯 崔ㅁ 宋時烈 趙希逸 朴世采.金尙憲.鄭述.趙顯命 宋煥箕.鄭摠 李愚冕 申用漑 宋在晟.崔錫鼎 李景奭 任憲瓚.趙翼 李學承 李이命 鄭ㅁ.李陸 李宜哲 朴世堂 金宗直 洪彦弼 奇大升 李滉 洪宇遠. 李宗城 權容稷 李濡 李廷龜 金柱臣 尹宣擧 趙絅 李沃 朴泰淳 宋秉璿.蘇世讓 朴弼周 金유 洪暹 鄭萬朝 鄭一夏 姜希孟 韓愈 蘇軾 朱熹
3) 이의에 근거한 관련문헌
(1) 한갑수 지은, 바른말 고운말 (1968), 1111-1112 쪽.
(2) 회상사 발행, 한국족보30년사 부록 (1984), 101 쪽.
(3) 장홍근 편저, 문사요람, 덕성문화사, 21-22 쪽.
(4) 유교신보(360호 362호) 지상례절문답, (1993)
4) 영국과 미국에서의 세의 뜻
[사례1] 영국 여왕의 경우 또는 로마 교황의 경우
영국 여왕의 경우 [Elizabeth Ⅰ]는 통상 [엘리자베스 1세]라고 번 역되는 경우가 있으나 [첫번째 엘리자베스]라고 번역하는 것이 옳고 [ Elizabeth Ⅱ]는 통상 [엘리자베스 2세]라고 번역되는 경우가 있으나 [두번째 엘리자베스]라고 번역하는 것이 옳다. 왜냐하면 영국의 여왕 중 공교롭게도 몇십년 후에 [동일 이름]의 여왕이 생겨났을 경우 로마수자로 세수를 표시하기 때문이다. 또한 교황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사례2] 미국 케네디 대통령의 아들인 경우
미국 J.F. Kennedy 대통령의 아들은 J.F. Kennedy Jr 또는 J.F. Kennedy Jun이라고 표기하는데 이는 J.F. Kennedy Junior를 간소화한 것이다. 여기서 Jr(Jun, Junior)는
- 아버지의 이름을 위주로 아들을 가리킬 때 쓰이고 [***의 아들]
- 형의 이름을 위주로 동생을 가리킬 때도 쓰인다.[***의 동생]
그러므로 J.F. Kennedy Junior 는 <J.F.케네디의 아들>이라고 번역되어야 정확한 것인데 통상 <J.F. 케데디 2세>라고 잘 못인 줄 모르고 번역되어 쓰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우리말로는 영식에 해당한다.
또한 케네디 대통령의 손자는 J.F. Kennedy Third 라고 표기되어야 하지만 미국에서 대체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2세]라는 번역은 서양인들이 대체로 자기위주로 발상하는 데 접착시킨 번역이 아니라면 우리 사회에서 세에 대한 개념을 혼동하고 있는 점에 기인된 듯하다.
제 언
<00세조 00세손>과 <00대조 00대손>에 대한 해석은 주격인 나를 넣지 않는 동의로 일원화해야 한다. 수백 년 동안 우리의 선정들께서 실용해 오신 동의를 계승해야 하겠다.
왜냐하면 「세에는 주격을 넣고 대에는 주격을 뺀다.」는 근원이 불확실하고도 허무맹랑한 이의에 집착하게 되면 계대에 차질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만「 父子相繼 曰 世, 父子相繼 亦曰 代 」에서 <亦>자에 주목하면 세가 선이고 대가 후인 듯 사료될 뿐이다.
따라서 一世 二世 三世와 一代 二代 三代 등은 단순히 순서를 의미하는 수사에 불과하다. 예컨대 조 부 손이 한 집에서 함께 사는 경우를 <三代同堂> 또는 <三世同堂>이라 한다.
그러나 세와 대에 조와 손이 붙은 < 00세조 00세손>과 < 00대조 00대손>의 복합명사의 해석은 주격을 넣지 않는 동의로 일원화해야 한다.
[글쓴이]: 成均館 典儀 淸雲 李柱燁
東國十八賢의 用例 調査表
안동권문 權 兌 鉉 조사
선조와 후손간의 呼稱에 관하여 成均館과 鄕校에서 가장 尊崇받는 十八賢의 撰文과 家例를 조사한바 五代(世)祖-五代(世)孫法{高祖의 父를 5(世)代祖로, 曾孫의 孫을 5代(世)孫으로 세는 法}으로 조상은 代祖와 世祖를, 자손은 代孫과 世孫을 혼용하였다.
[ 㬢:햇빛 희. 賚:줄 뇌. 瑑:홀에 아로새길 전 ]
一蠹家上世 |
一蠹先生(鄭汝昌)世系源流 (一蠹續集卷之四) |
.......先生七世祖國龍 高麗高宗朝 密直副使...... <國龍 → 芝衍 → 宥 → 堅 → 之義 → 復周 → 六乙 → 汝昌 =8世=7世祖> |
一蠹家下 世 |
一蠹先生(鄭汝昌)世系源流 (一蠹續集卷之四) |
....五世孫光漢....< 汝昌 → 希參 → 彥男 → 大民 → 弘緖 → 光漢=6世(代)=5世孫 |
靜菴 家上代 栗谷撰上代 |
靜菴先生(趙光祖)墓誌銘 栗谷李珥撰 (靜菴集) |
高麗摠管良琪....是先生七代祖也 摠管曾孫諱溫.....於先生爲高祖.... <良琪 → 子 → 孫 → 曾孫(溫) → 玄孫 → 5世孫 → 6世孫 → 7世孫(光祖)> |
牛溪家上代 退溪撰 上代 |
聽松先生墓碣銘 退溪李滉撰 (聽松集卷二) |
先生字仲玉。昌寧人。六代祖汝完。佐我太祖。位至領議政 <汝完→石墦→抑→得識→忠達→世純→守琛>7世= 六代祖 |
牛溪家上世 |
聽松先生墓誌銘 高峯奇大升撰 (聽松集卷二) |
先生諱守琛 姓成氏。昌寧人。六世祖汝完。佐我太祖。策開國勳。位領議政 <汝完→石墦→抑→得識→忠達→世純→守琛>7世= 六世祖 |
牛溪家下代 栗谷撰下代 |
聽松先生(成守琛)行狀栗谷李珥撰 (聽松集卷二) |
....我朝初 有諱汝完 位領議政....先生其六代孫也 <汝完→石墦→抑→得識→忠達→世純→守琛>7世= 六代孫 |
牛溪家下世 牛溪攢下世 |
感先祖(汝完)手澤文 (牛溪續集卷之六) |
.....豈非幸哉。萬曆丙子( 1576) 十月二十七日。七世孫渾謹志 <汝完→石墦→抑→得識→忠達→世純→守琛→渾>8世=7世孫 |
退溪家 上世 退溪撰 上世 |
李瀣(退溪仲兄)墓碣銘(世와 代는 同義語-薛宗潤) |
....6世祖碩.... <碩 → 子脩 → 云侯 → 禎 → 繼陽 → 埴 → 瀣>7世=6世祖 |
晦齋撰 上世 |
訓導金君墓碑銘 李彦迪撰 (晦齋集卷十一) |
君諱嗣...號楊谿....水原金氏 ...五世祖諱曰桂 仕高麗。官至版圖判書。<桂 → 漢眞 → 尙旅 → 禮中 → 叔男 → 嗣>6世(代)=5世祖 |
沙溪撰 上代 |
僉知中樞府事曹公墓誌銘金長生撰(沙溪遺稿卷六) |
..公諱某..曹出昌寧其後有諱益淸官左政丞諡襄平於公爲 七代祖 曾大父諱九敍贈左贊成 祖諱某右贊成昌寧君 考諱某判敦寧府事昌陽君 |
沙溪撰 上代 |
榮川郡守宋公(爾昌)行狀金長生撰(沙溪遺稿卷六) |
入我朝有諱愉。隱德不仕。號雙淸堂。生諱繼祀。司憲持平。寔公 五代祖 也。高祖諱遙年。軍資正。。 |
愼獨撰上世 |
月塘先生(姜碩期)行狀金集撰 (月塘集六) |
....山陰生吏曹正郞曦 寔公五世祖也.... <㬢 → 叔突 → 賚 → 惟慶 → 燦 → 碩期>6世(代)=5世祖 |
重峯家 上代 |
重峯(趙憲)集 世德編(附錄) |
五代祖諱環 字義方。號象山....高祖諱順達。號石淵....官至左通禮 贈大司憲。<5代祖次高祖> |
河西撰上世 |
察訪李公(汝寅)墓碣銘 金麟厚撰 (沙溪遺稿卷六) |
公延安人。五世祖石亨。策佐理勲府院君..... <石亨→渾→壽長→嶬→廷顯→汝寅>6世(代)=5世(代)祖 |
同春家 下代 同春撰 下代 |
家廟告祝文(己酉 (同春堂集十六) |
....今以五代孫炳遠幸參生員試三等第二十二人...曾孫浚吉前秋赴朝....< 世英 →應瑞→爾昌→俊吉→ 光栻 →炳遠>6代(世)=5代孫 |
河西家下代 |
河西先生(金麟厚)家狀 梁子澂撰 (河西集附錄一) |
....德摯 十七代孫穏..... |
河西家下代 |
河西先生(金麟厚)墓誌 金鍾厚撰 (河西集附錄一) |
....先生之六代孫直賢等.... |
尤菴撰上代 |
溪隱(李廷立)諡狀宋時烈撰 (溪隱集附錄) |
公諱 廷立... 號溪隱廣州人 八代祖集 世號遁村先生...< 集(元齡)→之直→OO→OO→世忠→守謙→以乾→時茂→廷立>9代=8代祖 |
尤菴撰上世 |
重峯趙憲行狀 宋時烈撰 (重峯集附二} |
先生諱憲。號重峯者。晩歲所稱也.....入我朝有諱環....官至羅州牧使 於先生爲五世祖....<環→OO→璜→世佑→應祉→憲>6世=5世祖 |
尤菴撰下代 |
縣令朴公(興生)墓表宋時烈撰(菊堂遺稿三) |
今公七代孫生員承禧,八代孫生員萬亨,及第益茂,九代孫生員濬哲托余爲銘云。崇禎紀元後癸亥十月十五日恩津宋時烈謹撰 |
尤菴撰下世 |
義士金聲遠傳 (世와 代는 同義語-薛宗潤) |
.....聲遠 淨之三世孫....<金聲遠:壬辰倭亂때 錦山戰에서 殉死> <淨→哲→益諫→聲遠>4世=3世孫=曾孫 |
南溪撰上世 |
畸庵鄭公(弘溟)墓誌銘 朴世采撰 (畸庵集附錄) |
.....六世祖諱洪。知議政府事。諡恭簡....崇禎後辛酉十月日 <洪 → 淵 → 自淑 → 潙 → 惟沈 → 澈 → 弘溟>7世=6世祖 |
南溪撰上世 |
魯西先生尹公(宣擧)行狀朴世采撰 (魯西遺稿附錄) |
.....汔于本朝。五世祖諱倬。官至同知成均館事。<倬 → 克新 → 暾 → 昌世 → 煌 → 宣擧>6世=5世祖 |
南溪撰下世 |
李瑑墓碣銘 朴世采撰(世와代는 同義語-薛宗潤) |
....恭定大王七世孫也....<恭定大王(定宗)→德泉君→新宗君→長淵令→順安副令→贇→之綱→瑑>8世=7世孫 |
2. 퇴계는 上代와 上世, 下代와 下世를 번갈아 지었으며,
3. 우계 가문은 上代와 上世, 下代와 下世가 공존한다. 아버지 聽松선생의 墓碣은 퇴계가 上代로, 墓誌는 奇大升이 上世로, 行狀은 栗谷이 下代로, 感先祖記文은 자기가 下世로 지었다.
4. 沙溪(金長生)와 愼獨齋(金集)는 父子間인데 사계는 宋爾昌의 行狀을 上代로, 신독재는 姜碩期의 행장을 上世로 지었다.
(羅麗 四賢 및 寒暄堂(金宏弼)의 撰文과 家例는 아직 찾지 못하였음.)
代不及身, 上代下世에 倒錯된 儒者님들!
世代異義(5代祖=6世祖, 5代孫=6世孫)로 된 先賢의 撰文이나 家例가 있으면 揭示하고 世代 異義(6世孫法)가 開化期의 新 學說이라면 地動說과 같은 典據를 제시하기 바랍니다.
東 國 十 八 賢
順番 |
姓 諱 |
本 貫 |
號 |
諡 號 |
摘 要 |
1 |
薛 聰 |
慶 州 |
雨 堂 |
弘儒侯 |
新羅文武 ~ 聖德王때 |
2 |
崔致遠 |
慶 州 |
孤 雲 |
文昌侯 |
857 ~ 9??年 |
3 |
安 裕 |
順 興 |
晦 軒 |
文成公 |
1243 ~ 1306年 一名 安珦 |
4 |
鄭夢周 |
延 日 |
圃 隱 |
文忠公 |
1337 ~ 1392年 |
5 |
金宏弼 |
瑞 興 |
寒暄堂 |
文敬公 |
1454 ~ 1504年 |
6 |
鄭汝昌 |
河 東 |
一 蠹 |
文獻公 |
1450 ~ 1504年 |
7 |
趙光祖 |
漢 陽 |
靜 菴 |
文正公 |
1482 ~ 1519年 |
8 |
李彦迪 |
驪 州 |
晦 齋 |
文元公 |
1491 ~ 1553年 |
9 |
李 滉 |
眞 城 |
退 溪 |
文純公 |
1501 ~ 1570年 |
10 |
金麟厚 |
蔚 山 |
河 西 |
文正公 |
1510 ~ 1560年 |
11 |
李 珥 |
德 水 |
栗 谷 |
文成公 |
1536 ~ 1584年 |
12 |
成 渾 |
昌 寧 |
牛 溪 |
文簡公 |
1535 ~ 1598年 |
13 |
金長生 |
光 山 |
沙 溪 |
文元公 |
1548 ~ 1631年 |
14 |
趙 憲 |
白 川 |
重 峯 |
文敬公 |
1544 ~ 1592年 |
15 |
金 集 |
光 山 |
愼獨齋 |
文敬公 |
1574 ~ 1656年 |
16 |
宋時烈 |
恩 津 |
尤 菴 |
文正公 |
1607 ~ 1689年 |
17 |
宋浚吉 |
恩 津 |
同春堂 |
文正公 |
1606 ~ 1672年 |
18 |
朴世采 |
潘 南 |
南 溪 |
文順公 |
1631 ~ 1695年 |
동국십팔현의 용례 조사표 한글변경
동 국 십 팔 현
일두가상세 |
일두선생(정여창)세계원류 (일두속집권지사) |
.......선생칠세조국룡 고려고종조 밀직부사...... <국룡→지연→유→견→지의→부주→륙을→ 여창 =8세=7세조> | ||||||||||||||||||||||||||||||||||||||||||||||||||||||||||||||||||||||||||||||||||||||||||||||||||||||||||||||||||
일두가하세 |
일두선생(정여창)세계원류 (일두속집권지사) |
..오세손광한.< 여창 →희참→언남→대민→홍서→광한=6세(대)=5세손 | ||||||||||||||||||||||||||||||||||||||||||||||||||||||||||||||||||||||||||||||||||||||||||||||||||||||||||||||||||
정암가상대 율곡찬상대 |
정암선생(조광조)묘지명율곡이이찬 (정암집) |
고려총관량기....시선생칠대조야 총관증손휘온.....어선생위고조.... <양기→자→손→증손(온)→현손→5세손→6세손→7세손(광조)> | ||||||||||||||||||||||||||||||||||||||||||||||||||||||||||||||||||||||||||||||||||||||||||||||||||||||||||||||||||
우계가상대 퇴계찬상대 |
청송선생묘갈명 퇴계리황찬 (청송집권이) |
선생자중옥。창녕인。륙대조여완。좌아태조。위지령의정 <여완→석번→억→득식→충달→세순→수침>7세= 륙대조 | ||||||||||||||||||||||||||||||||||||||||||||||||||||||||||||||||||||||||||||||||||||||||||||||||||||||||||||||||||
우계가상세 |
청송선생묘지명 고봉기대승찬 (청송집권이) |
선생휘수침 성성씨。창녕인。륙세조여완。좌아태조。책개국훈。위령의정 <여완→석번→억→득식→충달→세순→수침>7세= 륙세조 | ||||||||||||||||||||||||||||||||||||||||||||||||||||||||||||||||||||||||||||||||||||||||||||||||||||||||||||||||||
우계가하대 율곡찬하대 |
청송선생(성수침)행장율곡 리이 찬(청송집권이) |
....아조초 유휘여완 위령의정....선생기륙대손야 <여완→석번→억→득식→충달→세순→수침>7세= 륙대손 | ||||||||||||||||||||||||||||||||||||||||||||||||||||||||||||||||||||||||||||||||||||||||||||||||||||||||||||||||||
우계가하세 우계찬하세 |
감선조(여완) 수택문 (우계속집권지륙) |
.....기비행재。만력병자( 1576) 십월이십칠일。칠세손혼근지 <여완→석번→억→득식→충달→세순→수침→혼>8세=7세손 | ||||||||||||||||||||||||||||||||||||||||||||||||||||||||||||||||||||||||||||||||||||||||||||||||||||||||||||||||||
퇴계가상세 퇴계찬상세 |
이해(퇴계중형)묘갈명(세와 대는 동의어-설종윤) |
....6세조석.... <석→자수→운후→정→계양→식→해>7세=6세조 | ||||||||||||||||||||||||||||||||||||||||||||||||||||||||||||||||||||||||||||||||||||||||||||||||||||||||||||||||||
회재찬상세 |
훈도금군묘비명 이언적찬 (회재집권십일) |
군휘사...호양계....수원금씨 ...오세조휘왈계 사고려。관지판도판서。<계→한진→상여→예중→숙남→사>6세(대)=5세조 | ||||||||||||||||||||||||||||||||||||||||||||||||||||||||||||||||||||||||||||||||||||||||||||||||||||||||||||||||||
사계찬상대 |
첨지중추부사조공묘지명김장생찬(사계유고권륙) |
..공휘모..조출창녕기후유휘익청관좌정승시양평어공위 칠대조 증대부휘구서증좌찬성 조휘모우찬성창녕군 고휘모판돈녕부사창양군 | ||||||||||||||||||||||||||||||||||||||||||||||||||||||||||||||||||||||||||||||||||||||||||||||||||||||||||||||||||
사계찬상대 |
영천군수송공(이창)행상 김장생찬(사계유고권륙) |
입아조유휘유。은덕불사。호쌍청당。생휘계사。사헌지평。식공 오대조 야。고조휘요년。군자정。。 | ||||||||||||||||||||||||||||||||||||||||||||||||||||||||||||||||||||||||||||||||||||||||||||||||||||||||||||||||||
신독찬상세 |
월당선생(강석기)행장 김집찬 (월당집육) |
....산음생리조정랑희 식공오세조야.... <㬢→숙돌→뢰→유경→찬→석기>6세(대)=5세조 | ||||||||||||||||||||||||||||||||||||||||||||||||||||||||||||||||||||||||||||||||||||||||||||||||||||||||||||||||||
중봉가상대 |
중봉(조헌)집 세덕편(부록) |
오대조휘환 자의방。호상산....고조휘순달。호석연....관지좌통례 증대사헌。<5대조차고조> | ||||||||||||||||||||||||||||||||||||||||||||||||||||||||||||||||||||||||||||||||||||||||||||||||||||||||||||||||||
하서찬상세 |
찰방리공(여인)묘갈명 김인후찬 (사계유고권륙) |
공연안인。오세조석형。책좌리훈부원군..... <석형→혼→수장→의→정현→여인>6세(대)=5세(대)조 | ||||||||||||||||||||||||||||||||||||||||||||||||||||||||||||||||||||||||||||||||||||||||||||||||||||||||||||||||||
동춘가하대 동춘찬하대 |
가묘고축문(기유) (동춘당집십륙) |
....금이오대손병원행참생원시삼등제이십이인...증손준길전추부조....< 세영 →응서→이창→준길→광식→병원>6대(세)=5대손 | ||||||||||||||||||||||||||||||||||||||||||||||||||||||||||||||||||||||||||||||||||||||||||||||||||||||||||||||||||
하서가하대 |
하서선생(김인후)가상 량자징찬 (하서집부록일) |
....덕지 십칠대손온..... | ||||||||||||||||||||||||||||||||||||||||||||||||||||||||||||||||||||||||||||||||||||||||||||||||||||||||||||||||||
하서가하대 |
하서선생(김인후)묘지 김종후찬 (하서집부록일) |
....선생지륙대손직현등.... | ||||||||||||||||||||||||||||||||||||||||||||||||||||||||||||||||||||||||||||||||||||||||||||||||||||||||||||||||||
우암찬상대 |
계은(이정립)시상송시열찬 (계은집부록) |
공휘정립...호계은광주인 팔대조집 세호둔촌선생...<집(원령)→지직→OO→OO→세충→수겸→이건→시무→정립>9대=8대조 | ||||||||||||||||||||||||||||||||||||||||||||||||||||||||||||||||||||||||||||||||||||||||||||||||||||||||||||||||||
우암찬상세 |
중봉조헌행장 송시열찬 (중봉집부이} |
선생휘헌。호중봉자。만세소칭야.....입아조유휘환....관지라주목사 어선생위오세조....<환→OO→황→세우→응지→헌>6세=5세조 | ||||||||||||||||||||||||||||||||||||||||||||||||||||||||||||||||||||||||||||||||||||||||||||||||||||||||||||||||||
우암찬하대 |
현령박공(흥생)묘표 송시열찬 (국당유고삼) |
금공칠대손생원승희,팔대손생원만형,급제익무,구대손생원준철탁여위명운。숭정기원후계해십월십오일은진송시열근찬 | ||||||||||||||||||||||||||||||||||||||||||||||||||||||||||||||||||||||||||||||||||||||||||||||||||||||||||||||||||
우암찬하세 |
의사김성원전 (세와 대는 동의어-설종윤) |
.....성원 정지삼세손....<김성원:임진왜난때 금산전에서 순사> <정→철→익간→성원>4세=3세손=증손 | ||||||||||||||||||||||||||||||||||||||||||||||||||||||||||||||||||||||||||||||||||||||||||||||||||||||||||||||||||
남계찬상세 |
기암정공(홍명)묘지명 박세채 찬 (기암집부록) |
.....륙세조휘홍。지의정부사。시공간....숭정후신유십월일 <홍→연→자숙→위→유심→철→홍명>7세=6세조 | ||||||||||||||||||||||||||||||||||||||||||||||||||||||||||||||||||||||||||||||||||||||||||||||||||||||||||||||||||
남계찬상세 |
로서선생윤공(선거)행상 박세채 찬 (로서유고부록) |
....흘우본조。오세조휘탁。관지동지성균관사。 <탁→극신→돈→창세→황→선거>6세=5세조 | ||||||||||||||||||||||||||||||||||||||||||||||||||||||||||||||||||||||||||||||||||||||||||||||||||||||||||||||||||
남계찬하세 |
이전묘갈명 박세채찬(세와 대는 동의어-설종윤) |
|
1.梧齋趙公行狀 海左先生文集卷之三十六
公姓趙氏。諱光世。字元明。咸安人也。高麗大將軍諱鼎。爲始祖而世顯。至我朝。有漁溪處士諱旅。世稱生六臣之一是已。國有贈褒。鄕有祀祭。爲公十世祖。有諱應卿。用孝行薦。屢試外邑。著聲績。諸名公爲誌銘若贊。有諱宗道。號大笑軒。値倭難。死王事。謚忠毅。世稱三壯士之一是已。爲公五世祖。諱英海。官司僕寺判官。諱徵宋。諱㻶。別提。爲公高,曾,祖三世。考諱命圭...公之四世孫廉。具公事行。詣不佞。請狀德之文。謹叙次爲狀如此。以俟世之立言者 함안조씨<鼎⇝⇝ 宗道 →英海→徵宋→㻶→命圭→ 光世 →慶運→瀗/滃→養愚→廉> 光世五世祖宗道/光世四世孫廉 = 父를 1世祖로. 子를 1세손으로 세었음.
2. 先府君墓碣銘 (澗松先生(趙任道)文集卷之五) 嗚呼 。此我先考立巖府君之墓也。我趙氏出咸安。高麗元尹諱丹碩之後也。 十世祖曰三司政堂諱烈 [6世]。 六世祖曰工曹典書諱悅 [10世]。高祖諱旅[12世]
<鼎→幹→丹碩→時雨→錫和→ 烈 →禧→之興→天啓→悅→安→旅(生六臣)→銅虎→淵→庭彥→埴→任道>
。進士。贈都承旨。號漁溪處士。曾祖諱銅虎。郡守。贈參判。祖諱淵。經歷。贈參議。考諱庭彥。副司直。贈參判。妣星山李氏。都摠管靖武公諱好誠之曾孫。署令諱依仁之孫。萬戶諱希祖之女也。以嘉靖己酉六月二十三日辛酉。生府君于劍巖里第。諱埴[16世]。字克成 함안조씨 <埴[16世]-悅[10世]>=6世祖 . < 埴[16世]-烈[6 世]>=10世祖. 父를 1世祖로 세었음.
3. 澗松先生이 지은 雲圃李公達 墓碣銘 (澗松先生續集卷之四)
公姓李諱達字明叔。系出咸安。十世祖曰侍中諱弘。九世祖曰檢校護軍諱滋秀。八世祖曰成均直講諱云吉。七世祖曰贈司僕寺正行大邱懸令諱騭。六世祖曰成均生員贈戶曹參判諱元老。 五世祖 曰贈兵曹參判行鎭海縣監諱美。 高祖諱義亨 。司憲府執義號杏軒。公自晉州移居固城。遂爲縣人。曾祖諱詡生員。祖諱千齡參奉。考諱世廉 <美→義亨→詡→千齡→世廉→達> 父를 1世祖로 세었음.
4. 祖考贈參判府君祖妣贈貞夫人星山李氏合墓銘 (澗松先生集)
公諱庭彥字士俊。我趙氏出咸安。其始也有大將軍諱鼎。元尹諱丹碩。肇顯麗朝。由元尹四世有諱烈。三司政堂。政堂之後有諱禧。密直使三司左尹。密直之後有諱之興。登文科官至鷄林參軍。參軍之子諱天啓。判圖判閣。判閣之子諱悅。工曹典書。 寔公之五世祖也 。曾祖諱旅。進士贈都承旨號漁溪處士。隱德潛光。詳見成滄浪文濬所著傳。大父諱銅虎。郡守贈戶曹參判。父諱騫 <悅→安→旅→銅虎→淵→庭彥>淵 을 1世祖로 세어서 悅이 5世祖가 됨.
5. 祭 五世祖進 士贈都承旨府君墓文 (澗松先生集)
<旅→銅虎→淵→庭彥→埴→任道(澗松先生)>旅↔任道는 6代인데 5世祖라 함 .
윗글 한글 번경
1. 오재조공행장 해좌선생문집권지삼십육
공성조씨。휘광세。자원명。함안인야。고려대장군휘정。위시조이세현。지아조。유어계처사휘려。세칭생륙신지일시이。국유증포。향유사제。위공십세조。유휘응경。용효행천。루시외읍。저성적。제명공위지명약찬。유휘종도。호대소헌。치왜난。사왕사。익충의。세칭삼장사지일시이。위공오세조。휘영해。관사복사판관。휘징송。휘㻶。별제。위공고,증,조삼세。고휘명규...공지사세손렴。구공사행。예불녕。청상덕지문。근서차위상여차。이사세지립언자 함안조씨<정⇝⇝ 종도 →영해→징송→㻶→명규→ 광세 →경운→헌/옹→양우→렴> 광세오세조종도/광세사세손염 = 부를 1세조로. 자를 1세손으로 세었음.
2. 선부군묘갈명 (간송선생(조임도)문집권지오) 오호 。차아선고립암부군지묘야。아조씨출함안。고려원윤휘단석지후야。 십세조왈삼사정당휘렬 [6세]。 육세조왈공조전서휘열 [10세]。고조휘려[12세]
<정→간→단석→시우→석화→열→희→지흥→천계→열→안→여(생육신)→동호→연→정언→식→임도>
。진사。증도승지。호어계처사。증조휘동호。군수。증참판。조휘연。경력。증참의。고휘정언。부사직。증참판。비성산리씨。도총관정무공휘호성지증손。서령휘의인지손。만호휘희조지녀야。이가정기유륙월이십삼일신유。생부군우검암리제。휘식[16세]。자극성 함안조씨 <식[16세]-열[10세]>=6세조 . < 식[16세]-열[6 세]>=10세조. 부를 1세조로 세었음.
3. 간송선생이 지은 운포리공달 묘갈명 (간송선생속집권지사)
공성리휘달자명숙。계출함안。십세조왈시중휘홍。구세조왈검교호군휘자수。팔세조왈성균직강휘운길。칠세조왈증사복사정행대구현령휘즐。륙세조왈성균생원증호조참판휘원로。 오세조 왈증병조참판행진해현감휘미。 고조휘의형 。사헌부집의호행헌。공자진주이거고성。수위현인。증조휘후생원。조 휘천령참봉。고휘세렴 <미→의형→후→천령→세렴→달> 부를 1세조로 세었음.
4. 조고증참판부군조비증정부인성산리씨합묘명 (간송선생집)
공휘정언자사준。아조씨출함안。기시야유대장군휘정。원윤휘단석。조현려조。유원윤사세유휘렬。삼사정당。정당지후유휘희。밀직사삼사좌윤。밀직지후유휘지흥。등문과관지계림참군。참군지자휘천계。판도판각。판각지자휘열。공조전서。 식공지오세조야 。증조휘려。진사증도승지호어계처사。은덕잠광。상견성창랑문준소저전。대부휘동호。군수증호조참판。부휘건 <열→안→여→동호→연→정언> 연 을 1세조로 세어서 열이 5세조가 됨.
5. 제 오세조진 사증도승지부군묘문 (간송선생집)
<여→동호→연→정언→식→임도(간송선생)>여↔임도는 6대인데 5세조라 함 .
함안조씨 마산화수회(청․장년회) 홈페이지 http://www.hamancho.net/ 사이버족보
* 무과공파(武科公派)
함안 조씨 지파 분류로 26번째 지파인 무과공파(武科公派) 문중은
충장공(忠壯公) 휘(諱) 정(鼎) 의 11세손(12대)이신
함안조씨 중시조 정절공 휘(諱) 려(旅) 어계선생(漁溪先生)의
셋째손자 집의공(執義公) 휘(諱) 삼(參) 무진정 선생(無盡亭 先生)의 증손자 이신 17대 무과공(武科公) 휘(諱) 검개(儉凱)를 76지파 中 26번째 지파의 파조로 합니다.
25. 방호공파(方壺公派)는
함안 조씨 시조이신 충장공(忠壯公) 휘(諱) 정(鼎) 의 11세손(12대)이시며 ,
함안 조씨 중시조(中始祖)이신 정절공(貞節公) 휘(諱) 려(旅) 어계 선생(漁溪 先生) 의 셋째 손자인 집의공(執義公) 휘(諱) 삼(參) 무진정 선생(無盡亭 先生)을 21원파 中 9 번째 문파인
집의공파(執義公派) 파조(派祖)로 하며, 선생(先生)의 후손(後孫)에서 5개 지파로 분파 되었습니다 함안 조씨 시조이신 충장공(忠壯公) 휘(諱) 정(鼎) 의 11세손(12대)이시며 ,,,,,
안동권씨 진해 권 태 현
代와 世 동의어
함안조씨는 족보에 代로 사용하였고 여주이씨는 족보에 世 로 사용하였기에 세와 대는 똑 같은 뜻이다.
世 와 代 동의어 | |||||
咸 安 趙 氏 |
驪 州 李 氏 | ||||
족보대로 |
시조의 후손 |
12대 려 의 |
족보대로 |
시조의 후손 |
12세 영효의 |
1대:정(鼎) |
0 |
11대조 |
1세: 인덕 |
0 |
11대조/세조 |
2대:간(幹) |
1대손/세손 |
10대조 |
2세: 원걸 |
1세손/대손 |
10대조/세조 |
3대:단석(丹錫) |
2대손/세손 |
9대조 |
3세: 효온 |
2세손/대손 |
9대조/세조 |
4대:시우(時雨) |
3대손/세손 |
8대조 |
4세: 교 |
3세손/대손 |
8대조/세조 |
5대:석화(錫和) |
4대손/세손 |
7대조 |
5세: 수해 |
4세손/대손 |
7대조/세조 |
6대:렬(烈) |
5대손/세손 |
6대조 |
6세: 겸 |
5세손/대손 |
6대조/세조 |
7대:희(禧) |
6대손/세손 |
5대조 |
7세: 윤방 |
6세손/대손 |
5대조/세조 |
8대:지흥(之興) |
7대손/세손 |
4대조 |
8세: 고 |
7세손/대손 |
4대조/세조 |
9대:천계(天啓) |
8대손/세손 |
3대조 |
9세: 심 |
8세손/대손 |
3대조/세조 |
10대:열(悅)- |
9대손/세손 |
2대조 |
10세: 백견 |
9세손/대손 |
2대조/세조 |
11대:안(安)- |
10대손/세손 |
1대조 |
11세: 현손 |
10세손/대손 |
1대조/세조 |
12대:려(旅) |
11대손/세손 |
려 본인 |
12세: 영효 |
11세손/대손 |
영효본인 |
파 조 중 시 조 개 념 | |||||
12대:려 1대 |
휘 려 의 |
8대조 |
12세:영효 1세 |
휘 영효의 |
8대조/세조 |
13대:동호 2대 |
1대손/세손 |
7대조 |
13세:란 2세 |
1세손/대손 |
7대조/세조 |
14대:연 3대 |
2대손/세손 |
6대조 |
14세:승춘 3세 |
2세손/대손 |
6대조/세조 |
15대:정언 4대 |
3대손/세손 |
5대조 |
15세:극 4세 |
3세손/대손 |
5대조/세조 |
16대:식 5대 |
4대손/세손 |
4대조 |
16세:익형 5세 |
4세손/대손 |
4대조/세조 |
17대:임도 6대 |
5대손/세손 |
3대조 |
17세:경번 6세 |
5세손/대손 |
3대조/세조 |
18대 7대 |
6대손/세손 |
2대조 |
18세:동식 7세 |
6세손/대손 |
2대조/세조 |
19대 8대 |
7대손/세손 |
1대조 |
19세:성 8세 |
7세손/대손 |
1대조/세조 |
20대 길동9대 |
8대손/세손 |
길동본인 |
20세:한경 9세 |
8세손/대손 |
한경본인 |
驪州李氏 사이버재실 재실장 李星衡
權兌鉉 보학연구가 글
世.代 異義(5代祖-6世孫法)論에 敎典처럼 引用하는 世代解說文 이 있는데 그 虛構性(허구성)을 지적하면
가) “父子가 世로는 2世이고 代로는 1代라” 하나, 過去 大家族時代에는 祖,子,孫이 한집에 살았는데 이를 三代同堂 혹은 三世同居라 하였고 또 三世한의원=三代한의원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나) “世와 代가 嚴然히 區別되어 있다”는데 1968년에 간행된 韓甲洙 著 ‘바른말 고운 말’ 외에는 韓,中,日 어느 字典,사전(辭典)에도 世와 代는 같다고 되어있지 다르게 풀이 한데는 없으며, 移民 2世라 하다가 근자에 와서는 移民 2世代라 하는데 둘 다 移住者의 아들을 뜻하는 것이며 創業者의 아들이 繼承한 것을 2世經營 혹은 2世代經營이라 하는바 世와 代를 합쳐 한單語로 쓰는데 世와 代가 뜻이 다르면 ‘世=世代’가 成立될수 없을 것입니다.
또 世를 안 쓰고 1) 代로 쓴 族譜도 많이 있습니다.
다) “高祖가 世로는 五世祖이나 가까운 先祖에게는 世를 쓰지 아니하므로 五世祖(高祖)는 四代祖라 한다.”하는데, 儒家에서 金科玉條로 삼는 朱子家禮(抄解)先祖祭編에 ‘高祖之父爲五世祖’ (고조의 아버지가 5세조가 된다)라 明示되어 있을 뿐 아니라 五代祖를 五世祖, 高祖를 四世祖라 한 用例는 많이 있지만 高祖를 五世祖, 十代祖를 十一世祖라 한 用例는 별로 보지 못했습니다.
또 世.代 異義의 根據가 전연 없습니다.
(가) 世.代 異義의 근거를 ‘代不及身’이라 하는데 宗報(陵洞春秋)편집인 權五焄씨도 世와 代의 해설에서 “근래에 지어낸 말”이라고 說破했듯이 韓․中․日어디를 찾아도 出典이 없으며 開化期이전의 용례(用例)도 없습니다.
(나) 世.代 異義論이 개화기 이후의 新學說이라면 天動說을 대체한 地動說과 같이 이에 준(準)하는 전거(典據)가 없을 뿐 아니라 自己를 자기의 1世孫으로 세는 수리적 모순(矛盾) 을 극복(克服)할 수 없습니다.
(다) 성균관의 홈페이지<자주 하는 질문>에 世.代 異義(6世孫法)의 근거는 代不及身이며 代不及身의 근거로 說文의 “父子相對亦一代”를 인용하였는데 許慎撰 段玉裁註 說文解字에 父子相對亦一代라는 말이 없습니다. (曲學阿世라 지적하였더니 10여년 게재하여 오던<자주 하는 질문>欄 全體을 폐쇄하였습니다. 2007. 9월)
世와 代 기준도표 | |||
차 례 순서 |
기준과 관계 |
己 와 관계 |
차례와 己 관계 |
1세(대) 기준 |
기준본인 |
27대조/세조 |
27세손/대손 |
2세/대 |
1세손/대손 |
26대조/세조 |
26세손/대손 |
3세/대 |
2세손/대손 |
25대조/세조 |
25세손/대손 |
4세/대 |
3세손/대손 |
24대조/세조 |
24세손/대손 |
5세/대 |
4세손/대손 |
23대조/세조 |
23세손/대손 |
6세/대 |
5세손/대손 |
22대조/세조 |
22세손/대손 |
7세/대 |
6세손/대손 |
21대조/세조 |
21세손/대손 |
8세/대 |
7세손/대손 |
20대조/세조 |
20세손/대손 |
9세/대 |
8세손/대손 |
19대조/세조 |
19세손/대손 |
10세/대 |
9세손/대손 |
18대조/세조 |
18세손/대손 |
11세/대 |
10세손/대손 |
17대조/세조 |
17세손/대손 |
12세/대 |
11세손/대손 |
16대조/세조 |
16세손/대손 |
13세/대 |
12세손/대손 |
15대조/세조 |
15세손/대손 |
14세/대 |
13세손/대손 |
14대조/세조 |
14세손/대손 |
15세/대 |
14세손/대손 |
13대조/세조 |
13세손/대손 |
16세/대 |
15세손/대손 |
12대조/세조 |
12세손/대손 |
17세/대 |
16세손/대손 |
11대조/세조 |
11세손/대손 |
18세/대 |
17세손/대손 |
10대조/세조 |
10세손/대손 |
19세/대 |
18세손/대손 |
9대조/세조 |
9세손/대손 |
20세/대 |
19세손/대손 |
8대조/세조 |
8세손/대손 |
21세/대 |
20세손/대손 |
7대조/세조 |
7세손/대손 |
22세/대 |
21세손/대손 |
6대조/세조 |
6세손/대손 |
23세/대 |
22세손/대손 |
5대조/세조 |
5세손/대손 |
24세/대 |
23세손/대손 |
4대조/세조 |
4세손/대손 |
25세/대 |
24세손/대손 |
3대조/세조 |
3세손/대손 |
26세/대 |
25세손/대손 |
2대조/세조 |
2세손/대손 |
27세/대 |
26세손/대손 |
1대조/세조 |
1세손/대손 |
28세/대 나 1세/대 |
27세손/대손 |
나 /0 |
나 /0 |
29세/대 2세/대 |
28세손/대손 |
1세손/대손 |
1대조/세조 |
30세/대 3세/대 |
29세손/대손 |
2세손/대손 |
2대조/세조 |
31세/대 4세/대 |
30세손/대손 |
3세손/대손 |
3대조/세조 |
32세/대 5세/대 |
31세손/대손 |
4세손/대손 |
4대조/세조 |
33세/대 6세/대 |
32세손/대손 |
5세손/대손 |
5대조/세조 |
34세/대 7세/대 |
33세손/대손 |
6세손/대손 |
6대조/세조 |
35세/대 8세/대 |
34세손/대손 |
7세손/대손 |
7대조/세조 |
작성/驪州李氏 사이버재실 재실장 李星衡 |
제 목/ 世 와 代 발행인/ 이성형(李星衡) 여주이씨사이버재실장 편 저/ 이성형(李星衡) 전 재/ 이주엽(李柱燁) 성균관전의 성백효( 成百曉)한국고전번역교육원 이우성(李佑成)전 성균관대학교 교수 이병혁(李炳赫) 부산대학교 교수 권태현(權兌鉉) 보학연구가 발행일/ 2008년5월3일 재발행/ 2008년12월25일 전 화/ 011-843-2543 발행소/ 함안군 杜谷山堂 |
1) 代로 쓴 族譜: 全州李氏 璿源先系錄(1603) , 文化柳氏嘉靖譜(1562), 眞城李氏陶山譜(1600), 廣州李氏甲辰譜(1724), 碧珍李氏壬辰譜(1652), 慶州李氏甲子譜(1684), 延日鄭氏癸丑譜(1553), 咸安趙氏己未譜(1739), 淸州鄭氏丁亥譜(1827), 晋陽河氏己亥譜(1719)
첫댓글 아직도 父子 1代, 父子 2世라고 주장하는 분이 많이 있읍니다. 저도 代不及身 과 “父子相對亦一代”를 인용하여 유식하게 평생 주장하면서 지내왔는데 아닌 것을 확인 했읍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함안조씨 족보는 1代 鼎 2代幹 3代 丹錫 ... 함양박씨 족보는1世善 - 2世仁挺 ...으로 합니다. 함안조씨는 외 代로 쓸까요... 바로 위에 있는 한자 代로 쓴 족보를 확인해 보시면 어떠실런는지? 代=世이기 때문입니다. 世와 代는 혈통(血統)의 차례이고 世孫(=代孫)과 代祖(=世祖)는 先祖와 後孫間의 관계(關係)이고 호칭(互稱)입니다.
백연재 어르신의 견해에 동의합니다.나는(박노근) 함양박씨 31代(=世)입니다.나는 함양박씨 (상서공의)30代孫=30世孫입니다.하루빨리 대와세의 개념을 정립합시다.
함양박씨는 족보에 세를 기본으로 하여서 31세이면 31세손이다.
대는 아버지와 아들의 간격을 말함으로 아들이 1대가 된다.
시조1세 아들2세 손자는 3세이고 3세손이되니 이하는 동일하다.
기준은 1이지만 대는 간격을 말하기때문에 아들이 1대가 되는것이며
우리 대종회에서도 그렇게 사용을 해 오고있으니 아무런 불편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