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뛰어난 인재들 덕분에 엔론은 짧은 기간 동안 고속 성장을 하였고 케네스 레이는 자신에게 부를 제공해준 이들에게 더욱 큰 권한을 부여했다.
그러자 이들은 더욱 과감한 상품 들을 개발하여 투자자들의 돈을 끌어 모우기 시작했다. 그들이 야심차게 추진한 프로젝트가 실패로 돌아가는 경우에도 그에 대한 책임을 느끼기 보다는 성공 과정에서 어쩔 수 없는 결과였다며 '한판 잘 놀았다'는 식의 사고가 만연 하지 시작했다 언론은 투자자들의 이익보다는 회사와 오너의 이익을 우선시했고회장으로부터 프로젝트 책임자들에 이르기까지 멘론 내부에는 도덕적인 불감증이 쌓여 갔다 이러한 도덕적 해이가 이어져 분식회계 사건으로 까지 이어졌고 엔론은 결국 해체되고 말았다 .
기업이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추구 하는 전략 방향에 맞게 조직문화를 바꿔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조직문화를 바꾸는 일은 사람의 성격을 바꾸는 일이나 마찬가지로 쉽지 않다. 성인의 성격이 쉽게 바뀌지 않는 것 처럼 한번 굳어진 조직 문화는 쉽게 바뀌지 않는다.
그래서 조직 문화는 바꾸는 일이 곡괭이로 콘크리트 덩어리를 깨는것 만큼이나 어렵다.
선택은 두가지중 하나다. 조직 문화에 맞는 전략을 선택하거나 비전을 달성할 수 있도록 조직 문화를 바꿔야 한다. 다행이도 조직문화가 기업의 성장에 도움이 되고 건전한 것이라면 문제 없지만 성장과정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면 그런 조직 문화는 과감하게 바꾸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 조직 문화로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영 환경에
적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직 문화를 바꾸는 일은 어렵기도 하거니와 오랜시간을 필요로 하는 일이다.
레고 블록을 쌓듯 단숨에 끝낼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우공이산(愚公移山)의 심정으로 조바심 내지 않고 천천히 바꾸어 나가야 한다.
바람직한 조직 문화의 이미지를 분명히 하고 필요한 일들을 하나 하나 실천해 나가야 한다.
바람직한 조직 문화의 이미지를 분명히 하고 필요한 일들을 하나씩 실천해 나가야 한다
愚 어리석을 우, 公 공평할 공, 移 옮길 이, 크게 할 치, 山 뫼 산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남이 보기엔 어리석은 일처럼 보이지만 한 가지 일을 끝까지 밀고 나가면 언젠가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