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 계통
소화기 계통
; 소화, 흡수.. 구강(타액), 위벽(위액), 췌장(췌액),
(1) 입과 구강
; 입은 저작, 소화, 미각기관, 발성의 보조기관
; 위쪽은 경구개(hard palate), 연구개(soft palate)로, 아래는 혀를 포함한 구강바닥으로 구성
; 외측벽은 피부,안면근과 볼점막으로 이루어짐.
; 뒤쪽은 pharynx 와 연결.
1) 입(mouth)
① 구륜근(orbicularis oris m) , 양쪽끝은 구각을 이룸.
② 구강전정(oral vestibule) 와 고유구강으로 구분 ; 치열을 교합한 상태에서 제 3대구치
(셋째어금니)뒤에서 서로 교통
- "구치후삼각(retromolar triangle) ; 인공적으로 튜브를 삽입, 영양공급
③ 뒤쪽은 구협(faucial isthmus ; 구강의 마지막) 에 의해 인두와 연결.
2) 구개(입천장, palate) ; 상악골 + 구개골
① 비강의 바닥부위인 동시에 구강의 천장을 이루는 부위.
② 경구개 ; 뼈로 되어 있어 단단, 주름
③ 연구개 ; 점막으로 덮인 횡문근
④ 연구개의 끝은 구개수(목젓 uvula) 라는 돌기 ; 음식을 삼킬 때 이것이 뒤로 뻗쳐져 비인두
와 구인두 사이를 가로막음
→ 구개파열 ( 입천장이 봉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
3) 설(혀 tongue)
① 구강 바닥에 놓여있는 골격근
② 소화기계통, 미각, 발성
③ 설체, 설첨, 설근(분계구 의 뒤쪽)
④ 위쪽에 설유두(lingual papilla; 작은돌기)
㉠ 사상유두, 심상유두, 유곽유두(미뢰가 가장 많다)
⑤ 설근부에 편평한 원형 융기의 림프조직인 설편도(lingual tonsil)
㉠ 설소대(혀밑주름 lingual frenulum) ; 혀 바닥면 정중부 - 발음에 관여
㉡ 설하소구 (혀밑언덕 sublingual caruncle) ; 설소대 양쪽에 - 설하선, 악하선
(2) 치아
1. 상,하악골의 치조(이틀)내에 박혀 있다.
2. 치근 (치아뿌리 root)
3. 치은(잇몸, gum) gingiva ; 치근과 치관 사이의 점막
4. 치경(치아목, neck) ; 치은에 싸인 부위
5. 치수강 둘레는 상아질(dentine)이 에워싸고 있다.
6. 상아질 바깥층의 치근부; 백악질(시멘트질)로 덮이고, 치관부; 법랑질(에나멜질)이 덮임
7. 경도는 에나멜질 - 상아질 - 시멘트질
8. 치근관을 출입하는 상,하치조동 정맥, 삼차신경의 가지인 상,하치조신경
9. 에나멜질에는 신경이 들어가지 않는다.
10. 절치(앞니), 견치(송곳니),= 음식물을 절단, 소구치(작은어금니),
대구치(큰어금니) = 연마, 분쇄
11. 상악 대구치(위어금니 뿌리)의 치근은 상악동 아래벽에 근접 ; 우식치로 인해 상악동염
발생. - 치통
12. 유치, 영구치 모두 하악치가 상악치보다 먼저 맹출.
(3) 타액선(침샘, salivary gland)
1) 이하선(귀밑샘 parotid gland)
① 귀의 아래쪽에 위치. 가장 큰 타액선.
② 이하선관(귀밑샘관)은 교근(깨물근)표면을 가로질러 앞쪽끝에서 구강내로 90°구부러져
상악 2대구치(위쪽 둘째어금니)와 마주보는 구강전정 부위에 열린다.
③ 유행성 이하선염(볼거리)
④ 안면신경이 신경얼기를 이룸.
2) 악하선(턱밑샘, Submandibular gland)
① 하악골의 아래모서리, 하악각(아래턱뼈각)내측에 위치
② 악하선관(턱밑샘관)은 혀밑부분 중 설소대(혀밑주름,)의 양측에서 설하소구(혀밑언덕)에
열린다.
3) 설하선(혀밑샘, sublingual gland)
① 혀밑의 양측 구강점막 아래.
② 소설하선관(작은혀밑샘관)과 대설하선관(큰혀밑샘관).
③ 악하선관과 함께 설하소구에 개구.
(4) 인두(pharynx)
① 12cm 의 근육성 관.
② 비인두(nasopharynx)
㉠ 인두의 가장 윗부분, 중이의 고실로 통하는 이관이 열려있다.
③ 구인두(oropharynx)
㉠ 앞쪽으로 구강과 연결, 아래는 설골 높이
④후두인두(laryngopharynx)
㉠ 전하방은 후두강으로 통하고, 후하바은 식도로 이행하는 가장 아랫부분
⑤ 인두편도 ; 점막내에 발달된 림프조직
㉠ 구개편도(목구멍편도 , palatine tonsil), 설편도(혀편도,lingual tonsil)
㉡ 인두의 위를 원형으로 둘러싸는데 "발다이어의 인두륜(편도고리)라 함; 음식물을 삼킬
때 후두와 함께 위로 끌어올려지고 후두구는 좁혀지면서 음식물이 기도로 가는 것을 방지
(5) 식도(esophagus)
① 위쪽으로 인두와 연결, 기관의 뒤쪽, 척주 앞쪽을 지나는 근육성 관. - 25cm
② 식도의 경부 ; 6경추 높이에서 시작, 1늑골 높이
③ 식도의 흉부 ; 기관이 좌우 기관지로 분지되는 높이(흉골각 높이)에서 시작, 좌측기관지의
뒤쪽을 따라 이행
- 위의 위치가 복부의 좌측에 있기 때문
④ 식도의 복부 ; 횡격막을 통과한 후 복강내를 지나는 부분 약 1cm 짧은 부분.
⑤ 식도의 좁은 부분
㉠ 식도가 시작하는 부분(C6); 가장 위쪽
㉡ 좌우 기관지로 분지되는 부분(T4-T5) ; 중간
㉢ 아래쪽의 좁은 부분(T11) ; 횡격막을 관통하는 부위 (식도열공)
⑥ 근육
㉠ 위쪽 1/3은 인두에 연속되는 골격근
㉡ 중간 1/3은 골격근과 평활근
㉢ 아래 1/3은 평활근
⑦ 강한 중층편평상피
(6) 위 (stomach) ; 저장, 혼합, 흡수, 소화.
① 근육성
② 복강 위쪽부분에서 정중선보다 좌측으로 치우침.
③ 식도가 횡격막의 식도열공을 관통후 분문(cardia)으로 시작. - 분문괄약근 있음
④ 위저 ; 횡격막을 향해 위쪽으로 팽대된 부분. - 횡격막과 접하고 있다.
⑤ 위체 (몸통)
⑥ 유문(pylorus) ; 위가 끝나는 부분 - 십이지장과 연결.- 유문괄약근
⑦ 각절흔(각패임) ; 위체와 유문의 경계
⑧ 대만(큰굽이) ; 횡행결장에 접근. 소만(작은굽이) ; river 와 접한다.
⑨ 위하수증이 있을 때 배꼽 하방까지 내려감.
⑩ 위벽 ; 점막층 - 점막하층 - 근층 - 장막층(위의 표면전체를 완전히 싸고 있다.)
⑪ 위점막 ; 위선(위샘)을 형성
㉠ 분문선 ; 분문부의 점막에 위치
㉡ 유문선 ; 유문부 - 점액(알칼리성)만을 분비
㉢ 고유위선(고유위샘) ; 위저로부터 위체에 걸쳐있음
ⓐ 주세포 ; 펩신분비
ⓑ 벽세포(parietal) ; HCl (염산)을 분비
ⓒ 경점액세포 ; 점액을 분비
(7) 소장(small intestine)
1) 십이지장(샘창자 duodenum)
① 25cm , 복막에 싸여 있지 않은 복막후장기(배막뒤기관).
② C 자 모양으로 췌장의 머리부분을 둘러쌈.
③ 상부 - 하행부 - 수평부 - 상행부
④ 하행부(descending portion) ; 내벽에는 대십이지장유두(큰샘창자유두) 총담관(담석이
잘 생김),췌관이 동시에 열림.
⑤ 대십이지장유두 ; 유문으로부터 10cm , 절치로부터 75cm
⑥ 상행부 ; 십이지장의 끝부분으로 공장과 연결 - 십이지장공장곡(샘빈창자굽이)
= 경계가 되는부분(구부러짐)
⑦ 췌관 (췌액이동(95%) - 대십이자장유두로
⑧ 담낭(답즙) - 총담관 - 대십이지장 유두로
⑨ 부췌관 (췌액이동 5%) - 대십이지장 유두로
2) 공장과 회장(jejunum and ileum 빈창자, 돌창자)
1. 공장 ; 십이지장에서 연속 / 회장 ; 오른쪽 아랫부분
2. 공장과 회장의 차이점
① 회장보다 더 굵다
② 혈관이 많아서 색이 진하다.
③ 점막의 주름이 촘촘하다.
④ 현미경으로 보면 집합 림프소절이 회장(면역기능에 관여)에만 있다.
3. 윤상주름(돌림주름) ; 장윤모가 있어서 흡수
4. 근육층 ; 2층
5. 바깥은 장막으로 싸임 ; 2중의 장간막
(8) 대장 (큰창자 large intestine)
1. 소장으로부터 연속, 1.5 m
2. 수분을 흡수, 배설물을 내려보냄
3. 맹장(막창자, cecum), 결장(colon, 주름창자) , 직장(rectum ,곧창자), 항문관(anal)으로
연결
1) 맹장(막창자, cecum)
1. 회맹판 ; 회장과 맹장의 연결부위 - 대장의 내용물이 소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
2. 충수(vermiform appendix ) ; 개구부위, 형태, 주행방향은 개체에 따라 차이가 많다.
3. 맥버니점 ; 맹장과 충수의 연결부를 진단시.
2) 결장(주름창자, colon)
1. 상행결장 ; 맹장의 연속, 복부의 오른쪽 가장자리. 간의 아래쪽에서 구부러짐
2. 횡행결장 ; 복부의 왼쪽에서 다시 아래로 구부러짐
3. 하행결장 ; 비장과 붙어있음
4. S상결장 ; 직장으로 연속
5. 소장과 다른점
① 결장띠(주름창자띠) ; 원래의 결장길이보다 짧다.
② 결장팽대(주름창자팽대)
③ 복막수(배막주렁) ; 안에는 지방
3) 직장과 항문
1. 20cm , 천골앞쪽을 따라 골반을 지나 항문으로 곧게 뻗어 있다.
2. 항문관 ; 항문의 바로 위쪽
3. 직장팽대부 ; 항문관의 바로 위쪽 - 변이 쌓이는 곳
4. 직장횡주름 ; 변이 내려올 때 속도를 늦추게 함
5. 치대, 치륜 ; 항문관 하단의 피부와 점막의 이행부 - 직장정맥총(하직장정맥총)이 발달해
서 치질호발 부위.
6. 내항문괄약근(변의를 느낌, 내장근, 불수의근) / 외항문괄약근(조임근, 수의근)
(9) 간 (liver)
1. 1500g , 담즙생산
2. 간의 내부 ; 간세포판 + 동양혈관(동굴모세혈관)
3. 위치
① 횡격막의 바로 아래에 위치 (T 5~10 , 오른쪽에)
② 위쪽 ; 겸상건막에 의해 좌, 우엽으로 구분.
③ 아래쪽 ; 방형엽, 미상엽으로 4개의 엽으로 구분.
④ 아래의 중간 ; 간문 - 좌,우간관, 고유간동맥, 문맥, 신경, 림프관 등이 출입
⑤ 우엽과 미상엽 사이에 하대정맥, 좌엽과 방형엽 사이에 태생기 제대정맥의 흔적인
" 간원삭" / 좌엽과 미상엽 사이에는 "정맥관삭" 이 위치.
4. 구조
① 간소엽의 집합.; 간세포 + 모세혈관
② 모세담관 - 소엽간담관 - 2개의 좌우 간관.
③ 좌우간관 - Y자 모양으로 합쳐져 하나의 "총간관"
- 담낭의 담낭관과 합쳐져 "총담관" + 췌관 = 십이지장으로 열림
④ 간내담로 ; 담즙의 통로중에서 모세담관~소엽간담관까지.
⑤ 간외담로 ; 좌우간관~총담관~십이지장유두로 배출되는 경로
5. 혈관의 종류
① 간동맥과 문맥에 의해 혈액을 공급.
② 간동맥 + 문맥 = 간 - 동양혈관을 형성 - 중심정맥으로 연결
③ 여러개의 중심정맥 - 간정맥 - 하대정맥과 문합.
④ 동양혈관의 벽에는 이물질을 포식하는 "쿠퍼세포"가 있다.
(10) 담낭 (쓸개, gallbladder)
1. 간에서 생산된 담즙을 농축하여 저장.
2. 담낭관, 총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보낸다.
3. 담낭관의 점막주름은 "나선주름"으로 되어있어 담즙이 출입하는데 편리.
4. 총담관은 췌관과 합류하여 "담췌관팽대부" - 대십이지장유듀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열림
(11) 췌장 (이자, pancreas)
1. 복막후장기. C 자 모양
① 외분비부분 ; 췌장액(트립신, 키모트립신, 카르복시펩티다제, 아밀라제, 리파제 등의
소화효소를 분비
- 췌관보다 2cm 위에서 열리는 부췌관을 통하여 분비.
② 내분비부분 ; 호르몬을 분비 - 십이지장유두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분비
- 랑게르한스섬 (글루카곤의 A 세포, 인슐린의 B세포(60-80%로 가장 많음),
소마토스타틴의 D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