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범] 이는 모두 매우 정확하고 가치 있는 말이다. 과거에 일어났던 일들로 이를 검증해보겠다.
[양영의 조상은 배로 사람을 구하였다]
선인은 말하였다. “악한 일을 저지르려면 귀신이 알까 미리 막아야하고, 좋은 일을 하려면 주변 사람이 비웃을까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무릇 좋은 일을 할 때는 고생을 마다하지 않기가 쉽지 않고, 불평하지 않기는 더욱 어렵다. 또한 고생을 참아내기가 쉽지 않고, 번거로움을 참아내기는 더욱 어렵다.
[요범] 태자의 스승인 소사를 지낸 양영은 복건성 건녕 사람이었다. 그의 집안은 대대로 뱃사공 일을 생업으로 삼고 있었다.
[해설] 고대 황제의 스승은 구제 도로는 태사太師태부太傅·태보太保·소사少師·소부少傅·소보少保 등 여섯 등급의 직위가 있는데, 그 존위는 그 지위의 높이는 고위 관료인 삼공구경三公의 사이에 든다.
한번은 비가 너무 오래 내려서 계곡물이 불어 넘침에 맹렬한 물살이 밀어닥쳐 집들을 휩쓸어 버리자 물에 빠져 죽는 사람들이 물살을 따라 곧장 하류로 떠내려갔다. 다른 나룻배 선주들은 서로 앞다투어 강물 위로 떠내려오는 물건을 건져내어 배에 가득 실었지만, 오직 양소사의 증조부와 조부만은 강물 위로 떠내려오는 사람을 구하는 일에 힘쓰고 물건은 전혀 건져내지 않아 동네 사람들은 모두 자신의 재물도 못 챙기는 바보 멍청이라고 뒤에서 비웃었다.
그러나 양소사의 부친이 태어난 이후로 가계는 점점 넉넉해지기 시작하였다. 하루는 신령 한 분이 도사의 모습으로 나타나서 양영의 부친에게 말하였다.
[도사] "그대의 조부와 부친께서 큰 음덕을 쌓아 그대의 자손들이 입신 출세할 것이니, 그대의 부친을 모처에 이장하도록 하시오.”
[요범] 이에 양영의 부친은 도사가 지시해준 곳에 부친과 조부를 안장하였다. 후세 사람들은 그 묘가 있는 곳을 백토분墳이라 불렀다.
그 후 양영이 태어났다. 양영은 20세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이 삼공三公에 올랐다. 황제는 그의 증조부 조부 부친에게 모두 소사와 같은 관직을 추서하였다. 그의 후대 자손도 모두 번성하여 지금까지도 현자가 많이 나오고 있다.
[양자징 부부는 죄수에게 죽을 보시하였다]
죄수를 가엾이 여기는 것이 보살의 마음이다. 아무리 괘씸한 사람일지라도 반드시 가련한 부분이 있기 마련이다.
] 절강성 영파부 사람인 양자징은 처음에는 현아縣에서 좌리로 일했는데, 마음가짐이 매우 어질고 후덕하였으며, 법을 지킴에 공정하였다. 당시 현감(장관)은 사람에게 엄격하였다. 한번은 때마침 한 죄수를 심문하면서 유혈이 낭자하도록 매질을 하였는데 도화가 식지 않았다. 양자징이 무릎을 꿇고 죄수를 대신해 관대하게 처벌해주길 청하였다. 그러자 현감이 말하였다.
[요범
[현감] "이놈은 법을 지키지 않았고 도리를 어겼으며 잘못을 시인도 하지 않거늘 어찌 이런 놈에게 화를 내지 말라고 하는가?"
[요범] 양자징은 현관에게 머리를 조아리며 말하였다.自懲叩首曰。
[양자
징] "위정자가 탐욕에 물들고 부패하여 법에 따라 공정하게 일을 처리하지 않아 백성들은 준칙을 잃어버리고 인정과 괴리되어 민심이 흩어진지 오래입니다. 만약 진정으로 죄상을 심문한다면 그를 대신해 마음 아파하고, 그들이 사리에 밝지 않아 잘못 법규를 범한 사정이 밝혀지거든 가엾이 여겨야 하거늘 큰일을 한 건 했다고 기뻐해서는 안 됩니다. 기뻐해서도 안 되거늘, 하물며 분노할 수 있겠습니까?"
[해설] 만약 기뻐한다면 심문을 소홀히 취급하여 실수하기 쉽고, 화를 내면 범인이 매를 견디지 못하여 억지로 자백하여 억울한 죄를 입는 경우가 더 많아질 것입니다.
원왕생 원왕생 왕생극락 견미타 획목마정 수기별 원왕생 원왕생 원재미타 회중좌 수집향화 상공양 원왕생 원왕생 왕생화장 연화계 자타일시 성불도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극락도사 아미타여래불 🙏
첫댓글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