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A UMNS photo reproduced with permission from the Methodist Collection of |
그러나 원어 '메도디스트- Methodist'는 1729년부터 옥스퍼드 대학에서 웨슬리 형제가 'Holy Club'(神聖會) 운동을 시작하면서 주어진 이름이었습니다. 이들이 정기적으로 경건모임을 가지면서 규칙적이고 조직적인 성결운동에 집착하자 여러 가지 멸시와 조롱 섞인 별명들이 붙기 시작했는데, 그 중에 오늘까지 살아남은 용어가 '규칙쟁이'라는 뜻의 메도디스트(Methodist)였습니다. 이 명칭은 1732년 중반 옥스퍼드대학의 크라이스트 처치 대학 학부생이었던 존 빙햄(John Bingham)이 "우리 중에 새로운 메도디스트들이 출현했다"고 말했을 때 웨슬리와 관련되어 처음 세인들 속에 유포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신성회의 주요 멤버 중 한 사람이었던 옥스퍼드 학생 존 클레이톤(John Clayton)이 1732년 8월 웨슬리에게 보낸 서신에서 메도디스트라는 단어를 웨슬리에게 적용하기 시작한 기록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그 후 이 이름은 때론 조롱조나 경멸적인 의미로, 혹은 외경스러운 칭호로서 웨슬리를 따르는 웨슬리안들을 지칭하는 이름으로서 자리를 잡아갔습니다.
웨슬리 이전에 '메도디스트 - Methodist'라는 이름은 17세기 칼빈주의자들이 인간의 자유 의지를 인정하는 아르미니우스주의자들을 폄하해서 불렀던 말이었습니다. 오직 하나님의 절대 주권만 붙들려고 했던 칼빈주의자들이 볼 때 이들이 인간의 자유의지와 윤리적 책임을 강조하고, 여러 가지 인위적인 성결의 방법들을 추구하는 것이 위험스럽게 보였기 때문에 'New Methodists', 즉 '신(新)방법주의자, 규칙쟁이들' 이라고 경멸했던 것이지요. 이런 견지에서 볼 때 웨슬리의 신성회 멤버들 역시 기독자의 완전(Christian Perfection)에 이르기 위하여 갖가지 효율적인 성결의 수단과 방법들을 모색한다는, 다분히 경멸적인 의미에서 이 칭호를 얻게 된 것이 역사적 사실입니다.
한 때 웨슬리는 자신의 설교에서 메도디스트 - Methodist 운동의 시원을 회상한 적이 있습니다. 여기서 그는 메도디스트라는 말을 "특별한 식이요법이나 운동 방법 등에 의해 모든 질병을 고칠 수 있다"고 믿은 고대 로마 네로 황제 시대의 한 의사그룹과 연관시키고 있습니다. 의사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식이요법이나 다양한 운동 방법을 강구했던 것처럼 웨슬리와 메도디스트들이라고 불린 사람들 역시 성결과 기독자의 완전에 이르기 위한 각종 방법들에 깊이 몰두했기 때문에 메도디스트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음을 확인시켜주는 대목이기도 합니다.
일찍이 웨슬리는 메도디스트라는 말과 관련해서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메도디스트'라는 이름이 더 이상 언급되지 않고 영원한 망각 속에 파 묻혀버린다고 할지라도 저는 여전히 기뻐할 수밖에 없습니다(저는 어떤 종파나 당파의 우두머리가 되고 싶은 야심은 하나도 없습니다). 그러나 만일 그렇게 된다 할지라도, 적어도 이 이름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이 말의 의미는 바로 알도록 합시다." 웨슬리의 말처럼 메도디스트라는 이름이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그 이름을 얻게 된 배경을 바로 아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다시 말해 메도디스트라는 단어의 기원과 관련해서 우리가 잊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사실은 초기 웨슬리안들이 성결에 이르기 위하여 여러 가지 실천 행위와 방법, 그를 위한 노력에 치중했다는 점입니다. 칼빈주의자들은 이것을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침해할 여지가 있다면서 의혹의 눈초리로 보았지만, 성결 혹은 성화야말로 웨슬리안들이 메도디스트라는 이름을 얻은 결정적인 동기가 되었던 것입니다.
기획소개 덧글: 기독교대한감리회의 교단주간지 기독교타임즈(편집국장: 박영천 목사)는 '감리회 신앙전통 세우기' 연중기획을 진행하고 있다. 감리교회의 역사와 전통에 대한 질문과 답글 형식으로 새신자와 독자들에게 감리교회를 알기 쉽게 소개하고 있는 이번 기획에서 연합감리교회와 연관이 많은 주제를 www.KoreanUMC.org 를 통해 함께 나누게 된다.
* 기독교타임즈 집필진: 고신일 목사, 권오서 감독, 김기석 목사, 김영헌 목사, 김홍규 목사, 신용대 목사, 이기복 감독, 임영택 목사, 임정덕 목사, 장석재 목사, 전용재 목사, 홍은파 목사
엮은이: 기독교타임즈 편집부 www.kmctimes.com
올린 날: 2007년 9월 6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