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수유(山茱萸)〈東藥〉 //
1. 성질 : 맛이 시고 성질이 약간 따뜻하다.
2. 작용 : 간경(肝經)과 신경(腎經)에 작용하고, 간(肝)과 신(腎)을 보하고 유정을 낫게 하고 땀을 멎게
한다.
3. 효능 : 이뇨, 고혈압, 단백질 소화 작용, 항암, 억 균, 줄어든 백혈구 증식작용, 신허(腎虛)로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며 아픈 데, 유정, 음위증, 어지러움과 이명증(耳鳴症), 난청(難聽), 중풍,
식은 땀나는 데, 생리불순 등에 쓴다.
4. 방법 : 단방일 때, 1일 6~12g 달임 약, 알약, 가루약 형태로 복용.
▲ 內徑에서 이르기를「모든 가려운 증세는 허(虛)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니 혈(血)과 기부(肌膚ᆞ살과
피부)와 주리를 번영시키지 못 하기 때문에 가려운 것이다.」
이는 강장약인 숙지황, 산수유, 구기자 등으로 신음을 보(補)하는 약으로 음혈(陰血)을 길러주면 피가
온화하고 살이 윤택해져서 가려움증이 생기지 않는다.
몸이 허하고 가려운 데는, 사물탕(四物湯 : 천궁, 당귀, 숙지황, 백작약)에 황금 전수를 더하여
부평 가루를 타서 먹는다.《丹心》
몸이 가려워 벌레가 기는 것 같은 증세는 혈(血)이 허(虛)하기 때문이니, 이때는 대료사물탕을 먹고,
겸해서 조세약(위령선, 영릉황, 모향, 건하엽, 고본, 곽향, 백지, 감송)으로 목욕 한다.
풍조(風操)하고 가려운 증세를 치료한다.
2. 산수유 酒
1. 효능 : 신허요통(腎虛腰痛), 신허이명(腎虛耳鳴), 발기부전, 당뇨병, 성인병 등
2. 방법 : 깨끗이 손질하여 말린 산수유 150~200g, 소주 1.8ℓ, 설탕 적당량을 넣어 온도 변화가 적고
서늘한 곳에 5~6 개월이면 좋은 술이 된다.
3. 산수유 茶
1. 효능 : 이뇨, 고혈압, 소화, 항암, 억 균, 유정, 어지러움과 이명증(耳鳴症), 난청(難聽),
저절로 땀나는 데, 달거리 등.
씨를 빼는 방법은
위에 파란 표시 술에 담갔다가 씨를 버리고 약한 불에 말려 쓰며라고 했듯이 . . .
마른 것을 술에 담가두면 불어나잖아요?
그때 빼서 다시 불에 말려서 쓰시면 됩니다
산수유차 |
산수유 효능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산수유나무의 열매를 산수유라고 합니다. 가을에 익은 열매를 따서 씨를 뽑아버리고 햇볕에 말랍니다. 맛은 시고 성질은 약간 따뜻합니다. 한의학에서는 보양약으로서 간경, 신경에 작용하여 간신을 보하고 유정을 낫게 하며땀을 멈춥니다. 약리실험에서 뚜렷한 이뇨작용, 혈압을 잠시 낮추는 작용, 단백질 소화를 돕는 작용, 항암작용, 억균작용, 줄어든 백혈구 수를 늘리는 작용 등이 밝혀졌습니다. 신허로 인해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며 아픈데, 유정, 음위, 어지럼증 등에 사용할 수있습니다. 산수유는 약간 따뜻한 성질에 신맛을 갖고 있으며 간과 신장을 보호하고 몸을 단단하게 한다. 신맛은 근육의 수축력을 높여주고 방광의 조절능력을 향상시켜 어린 아이들의 야뇨증을 다스리며, 노인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요실금증상에도 효능이 있다. 노인이나 어린아이가 이런 증상을 보일 때 인삼과 오미자 진피 익지인을 함께 쓰면 잘 낫는다. 허리가 아픈 경우 산수유와 두충, 우슬, 지황, 산약 등을 배합해 가루내어 먹는다. 산수유의 가장 큰 약리작용으로는 허약한 콩팥의 생리기능 강화와 정력증강효과가 꼽힌다. 산수유를 장기간 먹을 경우 몸이 가벼워질 뿐만 아니라 과다한 정력소모로 인한 요통, 무기력증, 조로현상, 이명현상, 원기부족 등에도 유익하다. 정자수의 부족으로 임신이 안 될 때도 장기간 복용하면 치료효과가 있다. 육미지황탕은 산수유를 비롯한 보혈 보음제인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산수유다. 원기를 올려주고 신장기능을 강화해 정기를 돋워주기 때문이다. 이런 효능은 남성의 조루현상이나 발기부전, 또는 몽정이나 지나친 수음 행위 등으로정신이 산만하거나 집중력이 떨어졌을 때도 적용된다. 오래 두고 먹어도 부작용이 없고, 독특한 향기와 단맛을 지니고 있어 부담없이 차로 끓여 마시기에도 좋다. 다른 약재와 섞어 차로 끓여 장기간 마시는 것으로도 약효를 볼 수 있다. 수렴성강장약으로 신장의 수기를 보강하고 남성의 정수(精水)를 풍부히 하여 정력을 유지하는데 효능이 탁월하고 허리, 무릎 등의 통증 및 시린 데 효능이 높고 여성의 월경과다 조절 등에 좋다.
| |
산약산수유차의 효능 |
산약은 참마를 가리키는 한방명으로 노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신장을 보호해 주므로 노화 방지에 특히 효과적이다,
불로 장생죽으로 손꼽히는 참마죽의 재료가 바로 산약이다.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고 신경통이나 산후풍, 빈혈, 거친 피부에 효과적이다,
또한 감기 예방, 정력 증진, 귀울음, 식은땀에도 효과가 있다.
|
산약산수유차의 재료 |
산약(건조시킨 참마) 30g, 산수유 15g, 물 600㎖, 꿀 이나 설탕 약간
|
산약산수유차 끓이는 법 |
1. 산약과 산수유를 물에 씻어 물기를 뺀다. 2. 차관에 재료를 넣고 물을 부어 끓인다, 3.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인 후 은근하게 오랫동안 달인다. 4. 건더기는 체로 걸러 내고 국물만 찻잔에 따라 낸 다음 꿀이나 설탕을 타서 마신다. |
참고사항 |
여름철에는 냉장고에 넣어 차게 마셔도 좋다
산수유에는 주석산, 사과산등 각종의 유기산, 비타민 등이 풍부하여
건강식품으오는 물론이고 미용식품으로도 매우큰 가치가 있다.
동의보감에 보면 산수유 열매는 당뇨병, 고혈압, 관절염, 부인병, 신장계통에 좋고
정신 진정효과에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산수유의 가장 큰 약리작용은 허약한 콩팥의 생리기능을 강화시켜주는 것을 꼽을 수 있다.
산수유를 장기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조로현상, 이명현상, 원기 부족등에 효과가 있다.
산수유의 신맛은 근육의 수축력을 높여주어 어린이들의 야뇨증과 노인들의 요실금에 효과가 있음
산수유의 복용방법
10월 이후에 수확하여 육질과 씨를 분리하여 육질만 사용한다.
산수유차 : 약한 불로 1시간 정도 달여서 껍질등은 버리고 꿀등을 타서마심
말린 다음 가루내어 차로 끓여먹거나 그냥먹기도 함
산수유술 : 육질에 소주 등을 부어서 약100일 후에 드시면된다.
약주를 이용해도 좋음.
[산수유 효능 및 산수유 먹는 방법 소개]
산수유는 층층나무과에 속한 낙엽 교목으로
키는 7m 가량이고, 잎은 마주나며 긴 달걀 모양으로 끝이 뽀족한게 특징입니다.
3-4월에 노란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열매는 길고 둥근 모양으로 10월에 붉게 익습니다.
산수유 효능 7가지 1. 남성의 정력강화에 효과 2. 여성의 월경과다 조절 효과 3. 어르신들의 무릎 및 허이통 치료 효과 4. 아이들 집중력 강화에 도움 5. 눈이 맑아지는 효과 6. 요실금 및 야뇨증 치료 효과 7. 고혈압 예방 효과
산수유 먹는 방법
● 산수유차 달이는 법 하루용량 : 6-12g, 2-3잔 배합가능 : 인삼, 당귀, 두충, 오미자, 복분자, 차전자, 구기자, 맥문동, 감국, 산약
산수유차의 고유의 맛과 향을 즐기기 위해서는 잘 익은 산수유 과실을 채취하여
깨끗이 잘 씻고 일차 로 햇볕에 약 일주일정도 말린 산수유를 씨를 제거 한 다음
다시 햇볕에 완전히 말려 사용하면 산수유 특유의 효능을 즐길 수 있다.
산수유 150g 을 맑은물 10리터(5되)에 넣고 높은불에 1시간 낮은불에 2시간정도 끓인다.
차가 3리터정도 남았을때 건데기를 건져낸다.
설탕또는 꿀을 입에 맞게 넣어 복용한다. - 냉장고에 보관하여 차게드시면 좋습니다.
◆ 산수유술 담그는 법 잘 건조된 산수유 1근(600g)을 소주 5~6ℓ(됫병 3병)정도를 적당한 용기에 부은 후
산수유를 혼합하여 잘 밀봉하였다가 3개월정도 지난 후
붉으레한 색이 나타날 때 일일 3~5회 정도 적당량을 복용한다.
◆ 양고기 볶음 구기자와 산수유를 넣은 복분자물로 맛을 낸 양고기 보양요리 양고기 300g, 죽순 1/3순, 풋고추 5개, 대파 1뿌리, 달걀 1개,
밤가루 1큰술, 간장 2큰술, 설탕 1작은술, 술 1큰술, 참기름 2작은술,
식용유 3∼4큰술, 양파 1/2개, 마늘 2쪽, 생강즙 1작은술, 후춧가루 약간,
소금 약간, 한약재 : 구기자 20g, 산수유 20g, 복분자 20g
◆ 산수유떡 산수유가루2C, 맵쌀2되, 소금, 설탕
1. 맵쌀을 7∼8시간 정도 불려 절구통에 곱게 빻는다. 2. 빻은 맵쌀을 체로 2번 정도 내린 후 소금과 설탕을
섞어 시루에 담아 산수유가루로 층을 낸다. 3. 중간 불에 1시간 정도 쪄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