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선의 최소 굵기 |
6 |
10 |
16 |
25 |
40 |
60 |
100 |
최대부하전류 (A) |
40 |
50 |
60 |
75 |
125 |
175 |
250 |
배선용차단기 (AT) |
40 30 |
50 40 |
60 50 |
75 |
125 100 |
175 150 |
250 200 |
(전선관 3가닥이하 배선을 기준으로 함)
8)도면에 표기되는 전기배선의 표기방법
HIV 2.5SQ×2 2.0(E) (ST16)-1
➊ ➋ ➌ ➍ ➎ ➏
➊전선의 종류 ➋전선의 굵기 ➌전선의 가닥 수 ➍접지선의 굵기
➎전선관 종류 및 굵기 ➏전선관의 수
5.전기 기초 이론 ―Ⅲ
1.직렬과 병렬의 이해
1)직렬
아래 그림은 정수장에서 각 가정집으로 수돗물이 공급되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정수장의 물이 수도관을 통해 각각 A, B, C의 가정집까지 공급되고 있다고 가정하자.
가)만약 가정집 A에서 수도꼭지를 잠그게 되면 B와 C의 집에도 수돗물이 끊길 것이다.
1개의 수도관이 모두 일직선으로 연결된 탓이다.
이번에는 B의 집에서 잠그면 A는 공급되지만, 역시 C는 공급이 되지 않는다.
<직렬 연결법>
나)직렬 법이 사용되는 경우
감지기는 DC24V가 공급되기 때문에 직렬 연결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와(-) 2가닥이 각 감지기를 직렬로 거쳐 수신반으로 다시 돌아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어느 지점의 감지기가 단선이나 쇼트 등 이상이 생기거나, 화재가 발생하면 수신반에 신호가 오게 된다.
2)병렬
이번에는 굵기가 굵은 수도관(간선 수도관)에서 각 가정집마다 별도의 수도관
(분기 수도관)을 따서 공급해 보자.
가)A에서 수도꼭지를 잠가도 B와 C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간선 수도관을 통해
여전히 수돗물이 공급되기 때문이다.
<병렬 연결법>
나)이제 수도관을 전선이고, 수돗물을 전기라고 생각해 보자. 우리가 접하고 있는
교류는 모두 병렬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니까 간선 수도관을 변전소에서 전주를 통해 변압기까지 오는 구간으로,
변압기에서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구간을 분기 수도관으로 보면 된다.
다)일반 사무실이나 공장도 마찬가지다. 건물에 설치된 전기실에서 각 층에 있는 분전함의 1차까지를
간선 수도관으로, 분전함의 메인차단기를 거쳐 설치된 누전차단기들을 분기 수도관으로 보면 된다.
라)예를 들면, 누전차단기 1개를 작동시키면 해당 범위만 전기가 차단될 뿐이다.
3.회로도 보는 법
자동제어에 대해 어느 정도 정리가 되었다면, 이제 회로도 보는 법에 익숙해져 보기로 하자.
1)단로 회로
아래 그림에서,
적색, 청색, 검은색이 전선이라고 생각하십시오.
그리고 (FL)은 형광등의 코일, 즉 전원단자입니다.
분전함의 차단기를 올리면 R과 N에 220V가 흐르게 됩니다.
가. 먼저 등공통인 N상을 볼까요. (2)번의 화살표를 따라가 형광등(FL)의 코일까지
아무 방해 없이 흐르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나. 이제 스위치 공통인 R상을 보겠습니다. (1)의 화실표를 따라 흐르다가
스위치의 접점까지 왔습니다.
근런데 불행히도 스위치가 꺼져 있기 때문에 더이상 흐르지 못하고 맙니다.
형광등이 켜질 수가 없지요.
다. 누군가 사무실 문을 열고 스위치를 켜면? R은 적색의 스위치 공통을 지나고,
다른 출력접점인 (3)번의 청색선을 지나 드디어 코일까지지 도착합니다.
그러면서 형광등이 켜지는 것이지요.
<단로 스위치 회로도>
<단로(가)와 3로(나)의 회로도>
2) 3로 회로
머리속에 다음 상황을 그려보자. 대학교 강의실 복도의 출입문이 왼쪽(S/W1)과
오른쪽에 (S/W2)가 있고, 복도에 형광등이 있다. 학생 한 명이 왼쪽으로 들어 오면서
S/W1 을 눌러 형광등을 켠 뒤, 오른쪽으로 나가면서 S/W2를 눌러 형광등을 끄는 것이다.
가) 3로 S/W의 원리
위 그림 <나>는 3로 S/W 2개를 이용해서 위의 상황을 회로도로 나타낸 것이다.
3로 S/W는 공통(Com)과 접점 2개 (A1,B1)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전기가 공통을 통해 A1이나 B1 어느 한곳으로 흐르는 구조이다.
나) 동작
■차단기를 올리면 N상은 곧바로 램프에 투입 된다. R상은 3로 S/W1 의 공통과 A1,
그리고 S/W2의 A2까지 밖에 흐르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형광등이 켜지 않는다.
■이제 학생이 왼쪽 출입문으로 들어서면 S/W1 를 누르면 접점이 A1 → B1 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전기는 공통에서 S/W1의 B1과 S/W2의 B2로 연결되어 형광등이 켜지게 된다.
■오른쪽의 출입문으로 나가면서 S/W2를 누르면 접점이 B2 → A2로 이동하 면서 전기가 끊기게
되므로 형광등이 꺼지게 된다.
1)릴레이의 구조
< 8핀 짜리 릴레이랍니다. 용량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가 있죠.
이 녀석은 소형입니다. 코일하고 핀이 보이죠?
일단 코일에 220V가 흐르면 접점이 붙는답니다. 사진에 동편이 보이죠.
동편이 처음에는 상단에 붙어(b접점) 있습니다. 그러다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석의 힘에 의해 동편이 아래로 붙는(a접점) 답니다.
그리고 전원이 끊기면 스프링에 의해 접점은 원상복귀... 접점은 푸시버튼과
같은 요령이란 걸 아실거라 믿습니다.
단지 버튼은 손으로 눌러서 a, b접점이 바뀌는 것이고,
릴레이는 코일에 전류가 흘러 생기는 전자석의 힘에 의한 차이죠.>
<위에서 본 모습. 코일에 전류가 흘러 릴레이가 작동하면 적색의 LED가 켜집니다.
왼쪽 케이스에 그려진 것은 8핀에 대한 회로도입니다.
전원이 필요한 2개의 코일은 몇 번 핀이다. 접점의 공통과 a, b접점의 번호는
몇 번이다...하는 식의 회로도죠.>
<릴레이를 꽂는 소켓입니다. 릴레이의 핀에 직접 전선을 물릴수가 없기 때문이죠.
릴레이를 꽂으면 8개의 핀이 속에서 연결되어 각각 번호가 쓰여진 단자와 연결됩니다.
#사진에서는 하단 위의 2개가 전원입니다.
##그리고 하단 밑의 좌우측이 접점의 공통이구요.
###상단의 위의 좌우측이 b접점, 밑의 좌우측이 a접점이랍니다.
####그러니까 a접점2개, b접점2개이니까 2a 2b라고 합니다.>
#####아래 사진은 릴레이의 전원 및 접접 상태를 그려놓은 것입니다.
번호가 써 있죠? 소켓의 단자에도 해당 번호가 써 있답니다.
예를 들면, 전원은 13, 14번이죠.
제가 위의 설명에서 전원은 소켓의 하단 위의 2개라고 했는데,
바로 회로에 써 있는 13, 14번이 그곳에 써 있기 때문에 안 거랍니다.
2)릴레이를 이용한 회로도(1)--ON 스위만 사용하기
가.회로도를 볼 때 주의할 점
#아래 그림에서 적색을 살펴보기로 합니다.
차단기의 부하측에서 나온 적색이 어디로 갔는지요.
선을 따라가 보면 됩니다. 릴레이의 접점과 버튼의 접점으로 갔습니다.
적색이 서로 만나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려는 목적입니다.
그곳은 서로 연결된다는 뜻입니다. 즉, 서로 쪼인을 해주면 되죠.
만약, 차단기와 릴레이, 그리고 버튼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면? 마찬가지랍니다.
3가닥을 어느 한곳에 모아 쪼인을 해 주면 끝입니다.
복스에서 해 주든, 판넬 안에 단자대를 취부하고 거기서 물려주든....
##그 다음 청색도 마찬가지입니다.
릴레이 접점, 버튼 접점, 릴레이 전원, 램프 전원을 서로 연결합니다.
순서는 상관없습니다. 서로 연결만 되면....
###역시 등공통도 마찬가지겠죠
나.실제 결선도
<차단기를 올리고 푸시버튼을 누르면 릴레이가 작동하여 계속 램프가 켜지는
회로도의 결선 모습니다. 앞서 회로도를 볼 때 주의할 점을 상기하면서
결선 모습을 보면 금방 이해가 되리라 생각됩니다.
#먼저 등공통인 백색은 코릴레이의 코일 전원과 할로겐 안정기의 코일 전원으로 갔습니다.
##그리고 스위치공통인 적색은 푸시버튼의 a접점을 거쳐 릴레이 a접점으로 갔죠(청색선)
###푸시버튼의 반대편에서 나온 노란선은 릴레이의 전원을 거쳐 반대편 a접점에 연결.
동시에 할로겐 안정기의 다른 전원선도 노란색에 연결되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