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 분 |
진달래 |
철 쭉 |
1.잎과 꽃 |
진달래와 철쭉을 쉽게 구별하는 방법은 꽃과 잎이 같이 피었느냐로 구분하는 방법이다. 진달래는 앙상한 가지에 꽃이 먼저 피고 꽃이 지면서 잎이 나온다. |
철쭉은 잎이 먼저 나오고나서 꽃이 피거나 꽃과 잎이 같이 핀다. |
2.개화기 |
진달래는 보통 4월 |
철쭉은 5월에 개화 |
3.서식 환경 |
진달래는 산정상에서 봤을때 북쪽 음지에 많이 자람. |
철쭉은 산정상부근이나 양지바른 곳에 많아요 . |
4.꽃 모양 |
진달래 꽃의 화관은 깔대기 모양으로 붉은 빛이 도는 자주색으로 겉에 털이 있다. 잎 표면에는 비늘이 있고 뒤편은 털이 없다. |
철쭉은 연분홍색으로 꽃받침은 작은 꽃줄기와 함께 선모가 난다. 철쭉은 꽃은 위쪽에 적갈색의 반점이 있으며 열매는 타원형이다. 철쭉은 가지 끝에 작은 주걱모양으로 매끈하게 생긴 잎이 너댓장 돌려 나며 꽃빛깔이 아주 연한 분홍빛이어서 오히려 흰 빛깔에 가깝다. 그래서 남부지방에서는 색이 연한 진달래란 뜻으로 '연달래'라고도 한다. |
5.잎 모양 |
진달래잎은 피침형이다. |
철쭉은 잎이 진달래에 비해 둥굴다. |
6.나무 높이 |
진달래 높이는 2-3미터 정도이고 |
철쭉 높이는 3-5미터 정도다. |
7.독성 유무 |
선조들은 단맛이 나는 진달래는 참꽃이라 했고 독성이 없다. |
독성이 있어 먹지 못하는 철쭉을 개꽃이라 블렀다 |
<진달래>
-중국에선 두견화라고 불리운다. 청주에선 진달래꽃을 넣어 술을 빚고 두견주라고 하여 판매.. 진통, 해열, 류머티즘의 치료약으로 쓰였다.
-지아비의 무덤을 지키던 여인의 피맺힌 슬픔이 꽃잎에 닿아 붉은색이 되었다는 '이별의 한'을 상징한다고 해서 <귀촉화>라고도 한다.
-음력 3월3일 (삼짇날)은 제비가 돌아오는 날이라고 하여 봄을 맞는 마음으로 꽃화전을 붙여먹는 풍습이 있다.
(고려시대부터시작 조선시대에는 비원에서 중전이 삼짇날 궁년들과 화전을 부쳐먹는 행사를 치르기도 하였다.)
- 진달래 꽃잎을 녹말가루를 씌워 오미자 즙에 띄운 진달래 화채 역시 삼짇날의 절식이다.
-진달래는 한때 북한의 국화로 알려져 공산당을 상징하는 붉은 꽃빛과 함께 금기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김일성이 좋아했으며 과거 항일 빨치산 활동을 상징하는 꽃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최근 함박꽃나무가 북한의 국화임이 알려졌다.
-먹을 수 있는 꽃이라 하여 '참꽃', 철쭉은 먹지 못한다 하여 '개꽃' 이라한다.
-진달래 꽃술은 머리가 아프고 눈에 해롭다 한다.
-꽃말은 '절제'이다.
<철쭉과 진달래와 영산홍>
-꽃모양이 비슷해서 혼란스러워 하는데
진달래는 꽃이 먼저 핀 다음에 잎이 나오므로(3.4월) 철쭉은 꽃과 잎이 함께 피어 쉽게 구분할 수 있다.(5월 )
-진달래 꽃은 진하고, 철쭉은 가지 끝에 작은 주걱모양으로 생긴 잎이 너댓장 돌려 나며
꽃 빛깔이 아주 연한 분홍빛이어서 흰색에 가깝다.
-산철쭉은 색이 붉다. 영산홍은 산철쭉과 비슷한 품종이 많아 구분하기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그래서 갸름한 좁은 잎사귀에 진 달래처럼 생긴 꽃이 피는 자그만 나무가 산에 자라면 산철쭉,
정원에 심어진 것은 영산홍으로 아는 수밖에 없다.
-옛날에 철쭉을 척쪽이라고 하였다. 지나가던 나그네 발걸음이 자꾸 멈추어 철쭉역자에 머뭇거릴 촉자를 썼다.
-영산홍이 기록처럼 조선왕조 이전에 일본에서 수입된 꽃나무인지,
아니면 우리의 산에 흔히 자라는 산철쭉이나 철쭉을 말하는 또 다른 이름인지 명확히 알 수가 없다.
오늘날도 영산홍만은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고 교과서에도 적혀 있을 정도다.
-철쭉꽃에는 마취성분을 포함한 유독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먹으면 상을 당한다.
무학산 진달래촌
|
첫댓글 영변에 약산(藥山)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흑흑!! 가시는 걸음 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확실히 구분하겠습니다.
이거는 5학년 자연시험에 나왔능디.... 또..... 그만 실수로 다 맞아뿌었요..... ㅁ은 그때부터 잘나서 지금까정 잘난 맛에 .....
근디, 이게모야? 조회수가 와 이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