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 사 변 형 1. 기본 변형
◎ 형용사어간 + 접미사 み + する : み는 음편화하여 ん으로 되고 する는 ずる가 된다. 甘(あま)い(달다)→甘み(단 맛)→甘んずる(감수하다) ◎ 명사 + 조사 に する : に는 ん으로, する는 ずる로 음편화한다. 先(さき) + ん(←に) + する → 先んずる(앞서가다) ◎ 한자어 + する : 두자 이상의 한자어에 する가 붙는 경우, ‘~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한자어 + できる가 된다. 2. 5단 동사변화(음편형 도표) : 원형 어미에 탁음이 있을 경우와 음편이 ‘ん’일 경우 뒤에 오는 활용어미에는 반드시 탁음이 붙음
3.가능의 표현 1)가능 동사 : 5단 활용 동사의 어미う단을 え단으로 바꾸고 る를 붙이면 ‘~할 수 있다.’는 가 능동사가 되고, 목적격 조사 を는 が로 된다. 例) 日本語+を+話(はな)す。 → 日本語が 話せる 2)기타 동사 연체형 + ことが できる 2자 이상의 동작성 명사 + できる 의성어, 의태어, 외래어 + できる お + 동사 연용형 + できる : 겸양의 표현 동사 미연형 + れる, られる : 상․하일단 동사의 가능동사 동사․동사활용형 조동사 + える, うる 연용형 동사․동사활용형 조동사 + べし 4.보조동사 ~で ある : ~이다, ~하다 ~て いる : ~하고 있다, ~해 있다 동작표현(~て いる : ~てる :회화체) ~て ある : 상태표현(~てる : 회화체) ~て みる : ~해 보다 ~て おく : ~해 두다(~て おく → ~とく : 회화체) ~て しまう : ~해 버리다(~て しちゃう : 회화체) ~て くる : ~하고 오다, ~해 오다, 점점 ~하게 되다. ~て 行(い)く : ~해 나가다, ~해져 가다 ~て やる : 자기가 [or 다른 사람이] 남에게 ~해 받다 ~て くれる : 자기에게 ~해 주다 ~て もらう : 자기가[or 다른 사람이] 남으로부터 ~해 받다 형 용 사 1.형용사의 활용
(1)미연형「い」 → 「かろ」 + う (추량 의지 조동사, ~겠지, ~일 것이다) あつい → あつかろう (2)연용형 「い」かっ + た (과거) く + た 이외의 용언(て,ても,ては,も,ない) (3)가정형 「い」 → 「けれ」 + ば <ない> 1) 형용사로서의 ない ー ‘ある’의 부정형 : 없다, ~하지 않다. ー 활용(일반 형용사의 활용과 동일)
2) 조사로서의 ない ー ~이 아니다 ー 활용
2. 형용사의 품사전성 (1)형용사 어간 + 접미사(さ,み,け,げ) → 전성명사 (2)형용사 어간 + がる,げる,まる,める,む → 동사 (3)형용사 어간 → 감동사로 쓰일 경우 ああ, 痛(いた). (아이구, 아야!) (4)형용사 연용형 → 명사, 우리말의 부사역활(연용 수식어) 近(ちか)い (가깝다) → ちかく (가까이, 가까운 곳) 3. 복합형용사 (1)명사 + 형용사 心(마음) +細い(가늘다) → こころぼそい(조마조마하다) (2)동사 연용형 + 형용사 (3)형용사 어간 + 형용사 (4)형용사 어간 + 같은 형용사 어간 + しい (5)접미어가 他語에 붙은 경우 男らしい(남자 답다) (8)접두어 + 형용사 こ高(だか)い (높직하다) 4.형용사의 중지법 연용형으로 문장을 중지하는 것 좀 딱딱한 느낌을 준다. 보통은 조사 て를 붙인다. 聲もよく, ふしも よい. (목청도 좋고, 가락도 좋고) 형 용 동 사 형용사와 마찬가지로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나, 어미가 だ인 점이 특징이다. 그런데 활용이 형용사보다는 오히려 동사에 가깝기 때문에 형용동사라 부른다.(‘な’형용사라고도 함) 1.활용
(1)미연형 : 어미 「だ」 → 「だろ」 + う (2)연용형 「だ」「だっ」 + た (과거 조동사) 「で」 + ない(부정형용사), ある(동사) 「に」 + 동사(연결되거나 수식할 경우) (3)연체형 「だ」 → 「な」 + 체언 (4)가정형 「だ」 → 「なら」 + (ば), ば는 생략 가능 (5)명령형은 없으므로 어간 + に なれ(なる의 명령형)로 표현 2.형용동사활용의 특성 (1)형용사는 어간 + く + て의 형태로 다른 활용어에 접속되나, 형용동사는 어간 + で의 형태로 이어진다. この へやは 廣くて あかるい ← 형용사 どの 社會が 平和で 住みよい 社會で あるか (어느 사회가 평화롭고, 살기 좋은 사회인가?) ← 형용동사 (2)형용동사 어간 + に의 연용형으로서 다른 활용어를 꾸미는 연용수식어(우리말의 부사적 역활)가 된다. これを 確かに 渡してくたさい. (이것을 정확히 전해 주십시오) 3.복합 형용동사 (1) こ, ご, お가 붙은 것 (2) 「げ, 的」이 붙은 것 悲しい →悲しげだ (슬픈 듯 하다) 名詞 + 的だ : 政治的だ (정치적이다) 조 동 사 1.분류
2.동사활용형 조동사 1)せる, させる : 사역동사(~하게 하다, ~하게 시키다) 접속 : 5단동사나 サ행 변격동사일때는 せる와 상1단이나 하1단 동사나 カ행변격동사는 させる와 결합한다. 활용 : 하1단 활용동사처럼 활용 2)れる, られる : ~함을 당하다(피동) ~할 수 있다.(가능) ~하시다(존경) 접속 : 위와 동일 활용 : 하1단 활용동사
3)しめる : ~하게하다, ~시키다. 접속 : 문어형용사,형용동사의 미연형, 5단활용동사의 미연형, サ행변격동사의 미연형, 부정조동사 ざる의 미연형에 붙음 활용 : 하1단 동사처럼 활용
4)たがる(←たい + がる) : ~하고 싶어하다(희망의 조동사) 접속 : 동사의 연용형에 접속되며, 음편형에 연결되지 않는다. 활용 : 5단 동사처럼 활용
*참고
3.형용사형 활용 조동사
4.형용동사 활용형 조동사 1)ようだ : ~것 같다, ~듯 하다(불확실한 단정) ~도록, ~처럼(예시) ~와 같다, ~처럼(비유) 체언 + の 활용어의 연체형 + ようだ この, その, あの, どの, 2)そうだ : ~할 것 같다, ~할 듯 하다, ~할 모양이다 (양태) 동사, 동사활용형 조동사의 연용형 형용사, 형용동사의 어간 + そうだ 형용사활용형 조동사 어간
3)だ : ~이다(단정) 체언, 부사 조사(の,ばかり,まで,から,ほど,ぐらい,だけ,など등) + だ 미연형 だろ + う 와 가정형 なら는 동사, 동사활용형 조동사, 형용사, 형용사 활용형 조동사, 특수조동사(た, ぬ)에 접속된다. 또 なら는 ます에도 접속된다. だろう와 なら는 う, よう, まい, そうだ에는 접속하지 않는다. 4)みたいだ : ~과 비슷하다, ~한 것 같다, ~와 같다 (비교) 체언 및 활용어의 연체형에 접속
5.특수활용형 조동사
1)た : ~했다 (과거, 완료, 계속) 접속 : 활용어의 연용형 う, よう, まい, そうだ 이외의 조동사의 연용형 +た 2)ぬ : ~하지 않는다 (부정) 접속 : 문어체 형용사, 형용동사의 미연형 동사, 동사형 조동사, ます의 미연형 + ぬ サ행,カ행 변격동사의 미연형(せ,こ) 3)です : ~입니다 (정중한 단정) 접속 : 체언, 조사 형용동사, 형용동사형 조동사의 어간 + です 형용사, 형용사형 조동사의 종지형 4)ます : ~합니다. (정중의 조동사) 접속 : 동사, 동사형 조동사의 연용형 + ます 5)まい : ~하지 않겠다, ~하지 말자, ~하지 않겠지 (부정의 추측, 의지, 권유의 조동사) 접속 : 5단동사와 조동사たがる, ます의 종지형 상1단,하1단 동사 + 의 미연형 + まい せる,させる,れる,られる サ행, カ행 변격동사의 미연형이나 종지형 활용 : 무변화(종지형과 연체형으로만 쓰임) 6)う, よう : 하자, 하겠다, 하겠지 (추측, 의지, 권유의 조동사) 접속 : 5단 활용도사, 형용사, 형용동사의 미연형 조동사(たい, だ, ようだ,そうだ, + う ます, だす, た, ない, たがる)의 미연형 상1단,하1단 동사, サ행,カ행 변격동사의 미연형 + よう 동사활용형 조동사(たがる는 제외)의 미연형 활용 : 변화하지 않음, 종지형과 연체형으로만 쓰임 7)ごとし(如し) : ~와 같다 (비교의 조동사) 접속 : 체언 + の 체언 + が + ごとし 활용어의 연체형 활용어의 연체형 + が 활용
8)べし : 의지, 가능, 당연, 추측, 명령의 뜻 접속 : 동사의 종지형 + べし 활용
형 식 명 사 1)こと : 추상적인 사항, 경험, 상상 등 명사절은 만든다. あの方は 先生です. + それを 知って いますか. ⇒ あの方は 先生ことを 知って いますか. ~することが ある : ~하는 것(일,적, 때, 경우, 기회)이 있다. ~したことが ある : ~한 적이 있다.(경험) ~することに なる : ~하기로(하게) 되었다.(자의가 없다) ~することに する : ~하기로 하다(자의) 체언 + の + こと : ~의 일(것), ~에 관한 일 체언 + こと : ~에 관해 말하자면 활용어의 연체형 + ことは[には] + 동일한 활용어의 종지형 + が : ~하기는 ~하지만 활용어의 연체형 + ことにしよう : ~하기로 하자, ~한 걸로 하자 동사연체형 + ことができる : ~할 수 있다. 동사연체형 + ことだ : ~해야 된다.(한다) 추측의 표현에 쓰이는 こと는 해석하지 않는다. 활용어의 종지형 + ということだ : ~라고 한다, ~라는 이야기다. ~라는 것이다. ~ということ[わけ]で : ~라는 이유로 ~に 超(こ)したことはない : ~보다 나은 것은 없다. 동사의 과거형 또는 형용동사의 연체형 + ことに : ~하게도 동사의 연체형 + ことには : ~하려면 2)もの 활용어의 연체형 + ものだ : ~한 법이다, ~하게 마련이다. 동사 연용형 + たいものだ : ~했으면 한다. 활용어의 과거형 + ものだ : ~하곤 했다, ~했지 활용어의 연체형 + ものだから : 화자의 이유나 사정을 설명 또는 강조시 사용 활용어의 연체형 + もので : 원인이나이유의 강조 ものがある : 강한 단정(~일이다) 3)わけ : 연어 という가 앞에 붙는 경우가 많다 譯(わけ)がある : 이유가 있다. 활용어의 연체형 + わけだ : ~하는 것이 당연하다, ~할 만하다 ~(という)わけでは ない : 꼭 그런 것은 아니다 활용어의 연체형 + わけだから : 기정사실인 것을 재확인 어떤 것이 그렇게 된 이유나 사정을 표현 동사 연체형 + わけには 行かない : (그렇게 간단히) ~할 수는 없다 4)はず : 당연히 그렇다, 당연히 그렇게 된다. 5)つもり : 주관적인 속셈, 생각, 작성, 계획 6)とおり(通り) : ~하는 대로 7)まま : ~대로, ~채 (放任의 의미) 8)うち(內, 中) : 이내, ~동안 ~ないうちに ~하기 전에 9)あと(後) 10)うえ : 첨가 ~したうえで : ~한 뒤에 11)くせ : ~한 주제에, ~하는 데도 연 어 連語 : 다른 동사의 연용형에 붙어 의미를 더해 주는 동사
관 용 표 현 ます : 정중한 표현이나 존칭 ながら : 조사로서 순접의 경우는 ~하면서, 역접의 경우는 ~하면서도의 뜻이다. た : 과거형 たい : ~하고 싶다. て : ~하고, ~해서 たり : ~하거나 たら : ~하면 ~ば~ほど(だけ) : ~하면 ~할수록 ~より : ~하는 수밖에 ~しかた( しよう)が ない : 어쩔 수 없다. 부득이 하다. ~より ほかは ない : ~하는 수밖에 없다. ~かも 知れない : ~할지도 모른다. ので : ~하므로, ~해서 のに : ~한데도 なければならない : ない의 가정형(なけれ) + ば + なる의 미연형(なら) + ない : ~하지 않으면 안 된다.(이중부정) ~どきたら : ~라면, ~라 하면, ~의 경우는 失(しっ)禮(けい)させて いただきます : 실례하겠습니다. このとおり : 이처럼, 이대로 そのとおり : 그대로 まま ─ 되는대로 맡김 : ~대로 (したいままに : 하고 싶은 대로) └ 그대로 : そのままに 그대로 まで : 만, 따름, 뿐 もう : 이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