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는 글
잎자루가 없는 참나무는
신갈나무와 떡갈나무가 있습니다.
잎자루가 너무 짧아 잎자루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잎자루도 없는 두 참나무들은
잎이 참 크기도 합니다.
그 중에도 떡갈나무는 더욱 큽니다.
조금 과장해서 얘기하면
비가 오는 산에서는 떡갈나무 잎 하나면
비를 가릴 수도 있을 정도입니다.
그 떡갈나무를 공부해봅니다
※ 참나무류 6형제 잎, 열매 비교표
(이번엔 떡갈나무에 집중해서 보자)
_ 떡갈나무 잎 모양은 신갈나무와 비슷합니다.
잎자루가 거의 없는 거꿀달걀형 잎입니다.
두 나무는 거치의 모양이 조금 다르며
잎의 크기도 다릅니다. (신갈나무가 큽니다)
열매의 깍지모양이 사뭇 달라 구분됩니다.
* 생김새
떡갈나무는 천연기녕물은 없지만
보호수로는 여러나무가 있습니다.
보호수 몇그루의 사진으로
생김새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보호수는
유전자, 종, 생태계 등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 나무를 보호하는 제도에 따라
지정된 나무를 말합니다.
우리나라에는
약 15,000여그루의 보호수가 있다고 합니다.
* 해설포인트
첫째, 떡갈나무는 이렇다.
_ 잎이 거꿀달걀형이다
_ 잎둘레에 물결모양의 둥근거치가 있다
_ 거치의 모양이 신갈나무보다 뚜렷하다.
_ 잎자루가 짧아 거의 없어 보인다.
_ 잎의 길이나 폭이
신갈나무보다는 크고 두텁다
_ 잎의 뒷면에 솜털이 있다.
_ 열매인 도토리깍지가
비늘잎으로 수북히 덮혀있다.
둘째, 이름은?
떡갈이라는 친숙한 이름은
떡하고 관련이 있는 유래가 있는데
어린잎에 떡을 싸먹었다는 이야기와
옛날에는 떡을 찔 때,
새로 난 떡갈나무 잎으로 싸서 찌면
떡이 서로 달라붙지 않고
독특한 향취가 베어들기 때문에
이 넓은 잎사귀를 흔하게 이용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_ 영명은 Daimyo oak이다.
세째, 산에서 만나는 참나무중
떡갈나무를 알아보는 방법은?
_ 잎자루가 없다.
신갈이나 떡갈나무네!
_ 그런데 열매인 도토리의 깍지가
수북한 털같은 비늘잎으로 덮혀있네
아, 넌 떡갈이로구나!
_ 잎의 뒷면에 솜털이 있네.
아, 넌 떡갈이로구나!
_ 고갯마루에서 참나무를 만났네.
아, 넌 필시 떡갈나무는 일꺼야!
여튼, 우리산하의 참나무중 떡갈나무는
많이 보이지는 않지만
잎이 크고 두터우며 떡갈이란 이름으로
참나무의 대명사역활을 자처한다.
네째, 떡갈나무가 사는 곳은?
습도도 적당하고 통풍이 잘되는
고갯마루를 좋아하니
우리들의 눈에 쉬이 띄지 않을 수 있다.
사실 참나무 6형제들 어디서나
같이 사는 듯이 보이지만 그렇지 않다.
자라고 살아가는 터가 조금씩 다르다.
고갯마루에서는 떡갈나무가
높지 않은 야산이나 동네 뒷산에는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가 흔하고,
땅의 힘이 좋고 습기가 많은 계곡에는
졸참나무와 갈참나무가 버티고 서 있다.
그리고 산 능선 주변의 척박한 땅에는
신갈나무가 터줏대감이다.
물론 항상 그 지역에만 그렇게
살아가는 것이 아니니 염두해 둘 일이다.
다섯째, 겨우내 잎을 달고 있는 참나무
대개의 참나무들은 겨울에도 잎을 달고산다.
변색된 바짝 마른 잎들이
새 잎이 돋아나는 봄까지 달고 있다.
추워도, 바람이 불어도,
한 아름 눈을 지고도
여간해선 잎을 떨구지 않는다.
가로수로 볼 수 있는 서양에서 온
대왕참나무가 특히 겨울에 잎을
많이 달고 있으며 참나무 6형제중에는
떡갈나무가 겨울동안엔 잎이 무성하다.
아시겠지만 그러한 이유는
이들은 겨울동안에도 자신을 종족을
보호하려는 보호본능이다.
(잎 아랫부분의 겨울눈을 감싸고
살뜰하게 겨울눈을 챙기는 것이다)
* 일반사항
_ 학명은
Quercus dentata Thunb.
_ 개화기는 4 ~ 5월
_ 분포지역은
전국 표고 800m이하의 산지
_ 형태는 낙엽활엽교목
_ 크기는 높이 20m, 지름 70cm
_ 영명은 Daimyo oak이다
* 생태 _ 형태별 모습
_ 잎은
어긋나기이고 가죽질이며
거꿀달걀형의 모양이다.
가장자리에 3~17쌍의 측맥이 뚜렷하고
큰 치아모양톱니가 있다.
잎자루가 짧아 없는 것으로 보이며
참나무과의 수목 중에서는 잎이 제일 크다.
잎 뒷면에는 끝까지 긴 성모가 남아 있다.
_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5월에 핀다.
수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밑으로 처지고
4~20개의 수술과
5~11개의 화피열편이 있고
꽃밥에 털이 있다
암꽃차례는
위에서 곧추나와 몇개의 암꽃이 달리는데
6개의 화피열편과
2~4개의 암술머리가 있다.
_ 열매는
긴 타원형의 견과이다.
깍정이는 깊게 총포에 싸인 반구형이고
비늘잎은 길며 뒤로 젖혀지고,
10월에 익는다.
열매를 곡실이라 하며,
껍질을 목골피(木骨皮)라 한다.
_ 줄기의
가지는 굵고 넓게 퍼진다.
_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깊게 갈라진다.
_ 가지
일년생가지는
갈색이며 굵고 황갈색의 성모가 밀포하며
동아는
달걀모양이고 털이 있다.
첫댓글 참나무들의 이야기 잘 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