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조 | 채택 | 지역 | 다른이름 | 주요내용 | 이단 |
사도신경 |
| 서방 |
| 신앙의 규범, 진리의규범, 사도적전통, 신앙의 상징 | 유대교, 이교주의 |
니케아 | 325년에 318명의 동방교회 감독들이 니케아회의에서 채택(아다나시우스) | 동방 |
| 삼위일체, 성부와 성자의 동일성 본질 문제 | 아리우스(아리안주의) |
콘스탄티노플 | 318년에 콘스탄티노플에서 모인 에큐메니컬 공회에서 150명의 감독들이 채택 | 동방 | 니케아신조 105교부의 신조 니케아 콘스탄티노플신조 | 삼위일체(성령에 관란 내용 추가) | 유노미우스, 마케도니우스 |
칼케돈 | 451년에 칼케돈에서 회집되었던 제4차 세계종교회의에서 채택 | 동방 |
| 기독록(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연합문제) | 네스토리우스, 유티케스 |
아다니시우스 |
|
| 퀸쿤케 신조 | 삼위일체 + 기독론 |
|
↑ 초대 교회와 고대 교회 시대 신조 요약 도표
Ⅱ. 종교개혁 시대
1. 쯔빙글리 67개 신조
(The Sixty Seven Articles of Ulrich Zwingli, 1523)
이는 쯔빙글리 ( Ulrich Zwingli , 1484-1531) 가 1523 년 1 월 취리히에서 발표한 개혁교회의 최초의 공식적 신조문 (信條文) 이다 . 1522 년 츠빙글리 가 사순절 기간 동안 육식을 금지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각종 예식의 오류를 지적한 이후 로마 가톨릭교회의 파버 (Johann Faber, 1478-1541) 가 츠빙글리의 신학사상을 비판했다 . 이 비판에 대한 변증적 입장으로 67 개 의 조항을 7 월에 해설서 형태로 답변했고 , 취리히 시정부는 츠빙글리의 입장을 받아들였다 .
내용의 특징은 우선 서문과 결론에 다음과 같이 성경말씀 강조한 것 이다 . “ 나 쯔빙글리는 영감 된 것으로 불리는 성경의 근본에 대해서 , 훌 륭한 도시 취리히에서 이러한 67 개의 조항을 설교해 왔음을 고백한다 . 나는 성경을 통해 이 조항에 대한 변호와 증거를 제시한다 . 만약 내가 성경을 바르게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면 , 나는 수정될 준비가 되어있으나 , 그것 역시 오직 동일한 성경으로부터 뿐이다 .” ( 서문 ) “ 그러나 어느 누구도 궤변과 인간적인 지혜로 논쟁하도록 하지 말며 , 성경으로 그 판단의 자 (尺) 를 삼으라 . 그러므로 그대가 진리를 찾을 수 있으며 , 또는 만약 진리 를 이미 발견했다면 그것을 붙들 수 있을 것이다 .” ( 결론 )
67 개 조항 중 중요한 특징으로써는 1-15 조는 복음의 중요성 , 그리 스도의 중보를 강조한다 . 16 조에서는 헛된 교리와 전통의 문제점을 비판 하고 , 17 조 이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각종 예식의 오류와 거짓된 교리 를 비판한다 . 즉 교황 , 미사 , 성자 사상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 선행 , 성직 자들의 부 , 음식 , 축제 , 의복 , 성직 계급 등도 비판했으며 , 결혼의 정당 성 , 맹세 , 출교 , 잃어버린 물건 , 권위 , 국가 위정자 , 기도 , 실족 , 죄의 용 서 등의 가치를 제시했고 , 연옥과 성직 서품 비판 , 악한 행실 , 성상 , 그 림 , 미사 등을 비판했다 .
2. 베른 10개 신조
(The Ten Theses of Bern, 1528)
이 신조는 중심적 역할을 감당하던 스위스 신학자들 즉 베르트홀트 할 러 , 프란쯔콜프 , 쯔빙글리 , 부처 , 카피토 , 외콜람파디우스 등이 스위스 베른 (Bern, 1848 년에 스위스 연방국의 수도가 된 도시 ) 에서 작성했다 . 이 신조는 개 혁교회의 연합적 고백의 특성이 있다 .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그리스도만이 유일한 교회의 머리되심
● 교회는 성경으로만 법도와 계명으로 삼는다 .
● 그리스도만이 유일한 구속자이심 ( 선행에 의한 구원 반대 )
● 화체설과 공재설 반대
● 미사 반대
● 그리스도만이 유일한 중보자이심 ( 성인들 중보 사상 반대 )
● 연옥 , 미사헌물 , 7 일 ,13 일에 죽은 영혼예배 , 등잔 , 촛불의식 반대
●예수님의 성상 ( 그림 ) 제작 반대
●결혼 인정
● 교회의 출교의 권위 인정
3. 제 1 바 젤 신조
(The First Confession of Basel, 1534)
이 신조는 스위스 바젤 (Basel) 시가 공인한 신조이며 1531 년 외콜람 파디우스가 만든 신앙고백을 그의 제자 오스왈드 미코니우스가 수정하여 출판한 것이다 . 따라서 이 신조는 외콜람파디우스의 신학적 입장에 기초 하면서도 당시의 개혁교회 목회자였던 카피토 , 헤디오의 영향도 받았다 . 전체는 12 개 조항으로 구성되었으며 , 내용에 있어서는 미사 , 성상 , 수녀 원 등을 집중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
4. 칼빈의 종교개혁
(1) 제 1 제네바 교리문답 (The 1st Geneva Catechism, 1537)
이 교리문답은 이미 1536 년 11 월과 1537 년 1 월 사이 작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 이것은 그가 1536 년 8 월 제네바 종교 개혁자 파렐 (Guillaume Farel) 의 설득으로 종교개혁 운동에 가담을 결심한지 불과 몇 달이 되지 못해서 작성한 것이다 . 이것을 제네바시의 소의회 (Le Petit Conseil) 로부터 인준을 받은 후인 1537 년 2 월부터 인쇄하여 배포했다 .
또한 본 교리교육서의 특징은 십계명 → 사도신조 → 주기도문 → 교회 ( 성례 ) 의 구조를 나타낸다 . 이는 루터의 대요리문답서 (Grosser Katechismus) 를 본보기로 한 것이며 내용적으로는 ‘ 기독교강요 ’(1536 년 판 ) 의 요약이 라고 볼 수 있다 . 전체 58 개 조항으로 작성했고 문답형태가 아니라 신앙 고백서적 형태 ( 서술문 ) 이며 1536 년 프랑스 판과 1537 년 라틴어 판이 있다 .
기독교 강요처럼 첫 장에 ‘ 하나님께 대한 지식과 사람에 대한 지식 ’ 으로 시작한다 . 세부적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
● 모든 인간은 하나님을 인식 ( 예배 : 라틴판 ) 하기 위해 태어났다 ,
● 참 종교와 거짓 종교의 차이
● 우리가 하나님께 대하여 인식해야 할 일
● 인간
● 자유의지
● 죄와 죽음
● 구원과 생명에로의 회복
● 율법 ( 십계명 소개 )
● 율법의 요약 및 의의 ( 율법의 1,2,3 용법 소개 )
● 우리는 신앙을 통해 그리스도를 인식한다 .
● 선택과 예정
● 신앙
● 신앙은 하나님의 은사이다 .
● 우리는 믿음을 통하여 그리스도 안에서 의롭게 된다 .
● 우리가 신앙을 통해 거룩하게 된 것은 율법에 복종하기 위함 (3 용법 )
● 회개와 중생
● 선행과 신앙의 관련성 ,
● 사도 신조 소개
● 주기도문 해설
● 성례전
●세례와 성찬 ( 영적 임재설 )
● 교회의 목사들과 그들의 권위 존중 ,
● 인간의 전통 ( 교회 질서 존중 )
● 권징 ,
● 정부 ( 국가 위정자의 권위 존중 )
(2) 제네바 신앙고백 (The Genevan Confession , 1536)
칼빈 (J. Calvin) 은 자신의 ‘ 제 1 제네바 교리문답 ’ 을 21 개 조항으로 요약 하여 ‘ 제네바 신앙고백서 ’ 를 작성하였다 . ‘ 제네바 교리문답 ’ 은 성도들의 신앙 교육용으로 사용했지만 , 이 신앙고백서는 제네바 전체 시민들이 서 약하도록 공적 권위를 강화시켰다 . 따라서 개혁교회 신조들 중에서 공적 권위를 부여한 최초의 것으로 평가한다 .
● 1 항의 특징은 성경의 권위를 강조한 것이다 . “ 우리의 영적 통치를 위해 우리는 다른 교리를 받아들이지 않고 더 넣지도 빼지도 않 으며 오직 우리 하나님의 명령인 성경만을 받아들인다 .”
● 한 분이신 하나님
● 만민을 위한 하나님의 법칙 ( 십계명 )
● 본성적으로 본 인간
● 죄를 범한 인간
● 예수님 안에 있는 구원
● 예수님 안에 있는 의로움
● 예수님 안에서 새로 태어난 삶
● 신자에게 항상 필요한 죄 사함
● 하나님의 은혜에 의한 선
● 믿음
● 하나님께만 구하는 기도와 그리스도의 중보
● 바른 기도
● 성례전
● 세례 ( 유아세례 인정 )
● 성만찬 ( 영적 임재설 제시 , 화체설은 우상숭배임 )
● 인간의 전승 ( 교회 질서 존중 )
● 교회의 본질 ( 말씀과 성례전이 교회의 기초 )
● 권징
● 하나님의 말씀에 쓰임 받는 사람으로서의 목사 , 마지막 내용은 정치적으로 머리된 자로서 국가 위정자의 권위를 인정하고 있다 .
(3) 제 2 제네바 교리문답 (The 2nd Geneva Catechism, 1541)
칼빈은 1541 년 9 월에 제네바시의 행정부의 요청에 의해 스트라스부 르그에서 제네바로 돌아왔다 . 그때 칼빈 자신이 목회직 재수락 필수조건 으로 ‘ 교리문답 교육 ’ 을 제시했으며 돌아 온 직후 수정 된 두 번째 ‘ 교리 문답서 ’ 를 1541 년과 1542 년에 프랑스 판 , 1545 년에 라틴어 판을 출판 했다 . 이것은 ‘ 제 1 교리문답 ’ 과는 달리 목사와 학생의 대화체인 ‘ 문답 형 태 ’ 로 구성되었으며 , 55 과로 나누어서 1 년 동안 매주일 교육하도록 하였 다 . 라틴어판에서 ‘ 이것은 그리스도의 교훈을 자녀들에게 가르치기 위한 교리문답이다 .’ (hoc est, formula erudiendi pueros in doctrina Christi) 라는 제목으 로 시작하고 있다 .
전체 373 문 55 주일로 구성 (52 주와 3 절기 ) 했고 구조는 첫 번째와 달 리 ‘ 사도 신조 → 십계명 → 주기도문 → 교회 ( 성례 )’ 의 구조로 전환시켰다 . 이런 구조적인 특징에서 칼빈의 율법에 대한 중요한 이해를 엿볼 수 있다 . 즉 십계명을 사도신경의 뒤에 둠으로서 루터의 문답서에서 나 타나는 ‘ 율법 과 복음 ’ 의 구조가 ‘ 복음과 율법 ’ 의 구조로 전환된 것이다 .
칼빈은 율법의 제 3 용법을 주장하므로 율법이 단지 구원받는데 있어 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구원 받은 이후에도 성도에게 ‘ 삶의 규범 ’ 으로 하나님의 뜻을 제시해 주는 것으로 이해하여 성경 교육의 중요성을 더욱 강화시켰다 . 이 외에도 예정론의 세밀한 내용과 위정자에 대한 내용은 학생들을 위한 교리문답서란 특징 때문에 제외시켰다 .
(4) 제네바교회 헌법 (The Ecclesiastical Ordinances of Church of Geneva, 1541)
칼빈과 화렐이 스트라스부르그에서 제네바로 돌아와서 시 의회에 제 네바 교회 개혁 법안을 제출했다 . 이 헌법은 후에 스코틀랜드 치리서와 웨스트민스터 정치모범의 기초가 될 정도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 내용에서 핵심적 부분은 월 1 회 성찬 요구 , 권징의 권한은 국가가 아니 라 개 교회의 당회가 소유할 것 , 개 교회의 치리회 구성 제안 , 시편 찬송 과 교리문답 ( 신조 ) 교육을 실시할 것 등이다 .
(5) 제네바 교리문답 (Catechism of The Church of Geneva, 1552)
피기우스 (Albert Pighius) 가 예정론을 비성경적인 것으로 주장하자 1542 년 이후로 칼빈은 예정론 교리를 보존하기 위해서 심각한 논쟁에 참여하였다 . 또한 1550 년경 제롬 볼섹 (Jerome Bolsec) 이 예정론을 공격하 면서 개혁교회는 예정론에 대한 심각한 도전을 받는다 . 이 과정에서 칼 빈은 예정론을 신조에 체계화 시켜서 보존하고자 ‘ 제네바 신조 ’ 를 작성하 였다 . 주로 피기우스에 대한 반박을 통하여 성경적 예정론을 정립하고 있으며 , 칼빈이 작성하고 제네바 목사들이 서명에 참여했다 . 그러나 베 른 , 바젤 , 취리히 등 제네바 밖에서는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
(6) 제네바 신앙고백의 일치서 (Harmony of the Confessions of Faith, 1581)
베자 (Theodore Beza, 1519-1605) 는 루터파의 ‘ 일치신조 ’ 처럼 개혁 교회의 통일 된 신앙 고백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새로운 신앙고백서를 작성했다 . (A Complete Summary of Christianity, summa totius christianismi, 1581) 그러나 개혁교회 전체의 입장을 모두 포함할 수 없었기 때문에 넓게 수용되지는 못했다 . 1 부는 유럽의 개혁교회 신조들 항목 소개했으며 , 2 부는 대표적 인 개혁교회의 신조항목들을 제시했다 .
5. 스위스의 종교개혁
(1) 제 1 스위스 신조 ( The First Helvetic Confession, the Second Confession of Basel, 1536)
1537 년 경 만투아 (Italy Mantua) 에서 로마 가톨릭교회가 공의회를 개 최하기로 계획했다 . 그러자 이 공의회에 항변하고자 루터파는 ‘ 슈말카튼 신조 ’ (Schmalkalden creeds) 를 작성하여 루터파의 연합을 시도했으며 또한 스트라스부르그의 부처 (Martin Bucer, 1491-1551) 와 카피토 (Wolfgang Fabricius Capito, 1478-1541) 가 루터파와의 연합적 고백을 요구하여 이에 답변으로 이 신조가 작성되었다 .
스위스 지역의 개혁교회들은 1536 년 1 월 30 일에 바젤에 있는 어거 스틴파 수도원에서 모임을 가졌다 . 이 회의는 불링거 , 미코니우스 , 그리 내우스 , 레오 유다 , 메간더 등을 위촉하여 그들에게 스위스 교회들이 전 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앙고백서를 작성하도록 위임했다 .
이들이 작성한 28 개 조항으로 된 신앙고백은 모든 성직자들과 평신 도 대표들의 만장일치로 서명을 받아 라틴어로 출판이 되었다 . 1566 년 에 작성된 ‘ 제 2 스위스 신앙고백 ’ 과 구별하기 위하여 ‘ 제 2 바젤신앙고백 ’ 또는 ‘ 제 1 스위스신앙고백 ’ 이라고 불렀다 . ‘ 제 1 스위스 신앙고백 ’ 은 최초 로 국가적 권위를 인정받은 신앙고백이다 . 또한 ‘ 제 1 스위스 신앙고백 ’ 은 독일어를 사용하던 스위스 교회를 하나로 묶어 주었으며 1566 년에 작성 된 ‘ 제 2 스위스 신앙고백 ’ 의 기초가 되었다 . 총 27 장으로 구성되었으며 , 라 틴어 (1536) 판은 28 장이며 , 독일어 (1537) 판은 27 장이다 .
전체 내용의 특징은 제 1-5 장에서 개혁교회의 특징적인 성경관을 잘 반영하였으며 , 결론 부분에서도 다음과 같이 강조한다 . “ 무엇보다도 우리 는 신앙의 문제를 취급하고 가늠하는데 있어서 성경만이 보편타당하고
오류가 없는 척도가 된다는 것을 고백한다 .” 제 9 장 개혁교회의 자유의지 에 대한 견해를 밝히고 있으며 , 제 11 장에서는 그리스도만이 유일한 중보 자이심을 말한다 . 또한 제 12-19 장은 개혁교회의 교회론의 근간을 이루 는 목사의 직분과 권위 , 교회의 머리 등을 말한다 .
성찬론은 대체적으로 쯔빙글리의 견해를 따르고 있다 . 그러나 성례의 의의나 성찬에서의 그리스도의 임재방식에 대해서는 칼빈의 견해를 따르 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이 외에도 연합적인 국가적 권위의 최초 인정 , 성경 , 해석원리 , 교부 전통 , 인간의 교리 , 성경의 목표 , 하나님 , 인간 , 원 죄 , 자유의지 , 하나님의 뜻 , 그리스도 , 복음적 교리 , 칭의 , 신앙 , 교회 , 목 사 , 교회의 권위 , 직분 , 교회의 머리 , 교회의 직책 , 성례전 , 세례 , 성찬 , 성도의 사귐 , 아디아포라 , 분열 , 위정자 , 결혼 등을 고백했다 .
(2) 제 2 스위스 신조 (The Second Helvetic Confession, 1566)
이 신조는 쯔빙글리의 제자였던 블링거 (Henry Bullinger, 1054-1575) 가 작성했다 . 이것은 1562 년 라틴어로 초본이 작성되었는데 그 자신이 완 성하지 못하고 죽기 얼마 전에 순교자 피터 (Peter Martyr, 1457-1526) 에게 고백서의 초안을 보여주었고 피터는 불링거가 죽은 후 내용을 정리하여 출판하였다 . 이렇게 작성된 이 신조는 대륙의 개혁 교회 신조들 중에서 ‘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 ’ 을 제외하고는 가장 널리 인정을 받았다 .
이 신조의 등장은 독일의 팔라티네이트의 경건한 선제후 프레드릭 3 세 (Frederick Ⅲ, 1831-1888) 를 통해서 나타났다 . 그는 개혁신앙을 승인하고 ‘ 하이델베르그 요리문답서 ’ 를 공포한 뒤 평화조약을 위배했다는 루터주의 제후들의 위협을 받았다 . 따라서 그는 불링거에게 요청하여 (1565) 이단 이나 견해를 달리하는 자들에게 자신의 입장을 변호하고 또 그들을 공격 할 수 있는 분명하고도 자세한 개혁파 신앙 해설서를 준비해 주도록 요 청했다 . 그 때 불링거는 자신의 신앙고백서의 필사본을 보내 주었고 , 이 를 계기로 이 신조가 공식적으로 드러났다 .
구성은 총 30 장이며 본 신조의 가장 큰 특징은 교회와 목회의 실제 적인 문제를 세밀하게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 이를 위해서 전체구조를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 1-16 장까지는 신학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고 , 17-30 장까지는 교회와 성례 등 실제적인 문제를 취급하고 있다 . 또한 각 장들마다 개혁신학의 입장을 정리해 주고 난 후에 이런 정통적인 신 앙과 반대되는 이단의 형태가 무엇이며 또한 그들이 제시하고 있는 핵심 적인 오류의 신학적 내용이 무엇인지를 간략하게 제시해 주고 있는 것도 새로운 특징이다 .
6. 프랑스의 종교개혁
(1) 갈리칸 신앙고백 (Gallican Confession, 1559)
프랑스 최초의 신앙고백은 1577 년 9 월에 18 개 조항으로 작성되었다 . 그 이후 1599 년 프랑스 총회 시 칼빈이 보내온 35 개 조항을 참고하여 칼빈의 제자인 샨데이우 (De Chandieu) 가 40 개 조항으로 수정 보완하여 완 성했다 . 그리고 칼빈의 제자인 베자 (Beza) 가 1561 년에 서문에 왕에게 보 내는 편지를 기록하여 이 고백을 프랑스의 왕 샬 9 세에게 발송하면서 공 식화되었다 . 그리고 1571 년 프랑스 프로테스탄트 전국 총회가 로쉘 (Rochelle) 에서 모였을 때 정식으로 승인을 받았으며 특히 앙리 4 세가 왕 이 되었을 때 그는 이 신앙고백을 공적으로 인정하였다 . 그리하여 이 신 앙고백을 ‘ 로쉘 신앙고백 ’ 이라고도 부르지만 통용되고 있는 명칭은 ‘ 프랑 스 신앙고백 ’ 혹은 ‘ 갈리칸 신앙고백 ’ 이라고 한다 .
내용은 총 40 장으로 구성하며 , 기독교 강요처럼 ‘ 하나님과 성경 ’ 의 순 서로 시작한다 . 즉 1 장 하나님 , 2-5 장은 성경의 권위와 영감성 , 66 권 소개 , 6-8 장은 삼위일체와 섭리신앙 , 9-11 장은 죄 ( 노예의지 , 일반은총 , 죄의 전가 ), 12 장은 예정론 ( 선택과 유기 ), 13-16 장은 예수 그리스도 ( 이 성일인격 ), 17-21 장은 이신칭의 , 22 장 성령의 열매로써 선행 , 23,24 장 은 율법의 도덕법적 성격 (3 용법 ), 연옥 등 로마 가톨릭교회의 각종 예 식 비판 , 25 장은 교회와 목사의 관계 , 26 장은 교회 질서에 연합 , 27 장 은교회의 본질 ( 성도들의 공동체 ), 28 장은 참 교회 ( 말씀 증거 , 성례전 사 용 ), 29-33 장은 교회의 3 직분 ( 목사 , 장로 , 집사 ), 교회직분의 평등성 , 장로 정치와 선거 , 권징 34-35 장은 세례 ( 유아세례 인정 ), 36-38 장은 성만찬 ( 영적 임재설 ), 39-40 장 국가 위정자 인정 ( 하나님의 대리자로서 일반윤리의 위반자뿐 아니라 종교생활 위반자까지 치리 권리 인정 ) 이다 .
7.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
(1) 제 1 스코틀랜드 신앙고백 (The Scots Confession, 1560)
스코틀랜드 개혁교회는 기이즈의 메리 (Mary of Guise, 1515-1560) 여왕 이 죽고 프랑스 군대가 철수하자 이런 기회를 틈타서 영국에서 메리 여 왕이 도착하기 전에 1560 년 8 월 1 일 에딘버러에서 모여서 의회를 가졌 다 . 이들은 교회 문제와 관련해서 로마 가톨릭의 교황 제도를 추방하고 예배와 권징의 순수성을 회복하며 , 경건한 목사를 후원하기 위한 교회의 수입을 마련하며 , 학문을 장려하고 가난한 자들을 구제하는 방식을 수립 하자고 하는 청원서를 제출하였다 .
청원서에 대한 첫 번째 대안으로서 제시된 것이 개혁교회의 목사들로 하여금 이 정신을 대변할 수 있는 신앙고백서를 제정할 것을 건의했던 것이다 . 이 청원 의해서 죤 녹스 (J. Knox) 와 윈램 (J. Winram) , 스포티스우 드 (J. Spottiswood) , 윌록 (J. Willock) , 더글라스 (J. Douglas) , 로우 (J. Row) 등 이 작성했다 . 이 신조는 1560 년 8 월 18 일에 귀족 , 성직자 , 평민이 공동 수용할 것을 결의하고 ‘ 무오하신 하나님의 말씀에 기초한 교리 ’ 라는 고백 을 담았다 . 그러나 정치적인 어려움으로 인해서 1567 년에 가서야 의회 에 의해서 공식적으로 인정을 받았다 . 의회는 ‘ 복음을 설교하는 목사들과 본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에 따라 그리스도를 고백하는 사람들만이 스코틀 랜드 안에서 유일하고 참되며 거룩한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 ’ 라고 선포하 면서 신앙고백서의 권위를 높였다 .
전체는 25 개 조항으로 구성했으며 , 세부항복은 다음과 같다 . 1 장 삼 위일체 하나님 , 2 장 인간의 창조 , 3 장 원죄 , 4 장 약속의 계시 , 5 장 교회 의 지속과 증가 , 6 장 성육신 , 7 장 이성일인격 , 8 장 선택론 , 9 장 그리스도 의 죽음 , 고난 , 장사 , 10 장 부활 , 11 장 승천 , 12 장 성령 ( 구원의 주최 ), 13 장 선행은 하나님의 열매 , 14 장 선행의 기준은 십계명 , 15 장 율법의 요구 (3 용법 ), 16 장 교회의 본질 ( 선택 받은 신앙 공동체 ), 17 장 영혼의 불멸 , 18 장 참된 교회와 거짓 교회 구분 ( 말씀의 참된 설교 , 성례전의 올 바른 집행 , 권징의 신실한 시행 ), 19 장 성경의 권위 , 20 장 총회와 그 힘 과 권위 , 소집 이유 ( 권위 존중 ), 21 장 성례전 ( 영적 임재설 ), 22 장 성례 전의 올바른 집행 ( 로마 가톨릭교회의 화체설 반대 , 여자 집례 반대 ), 23장 성례전 참여자 ( 당회의 조사 요구 ), 24 장 국가 위정자 인정 , 25 장 교 회에 거저 주신 은사들이다 .
(2) 제 2 스코틀랜드 신앙고백 (The 2nd Scots Confession, 1580)
스코틀랜드 교회는 1563 년의 트렌트 회의를 반박하기 위해서 로마교 회를 비판하는 강력한 내용 추가하여 새로운 고백서를 작성하였다 . 이것 은 1581 년 1 월 28 일 ‘ 왕의 고백서 ’ (King's Confession or Negative Confession, or The Second Scottish Confession of Faith) 라는 제목으로 출판했으며 ‘ 제 1 스 코틀랜드 신앙고백서 ’ 와 구별하기 위해서 ‘ 제 2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서 ’ 라 고도 한다 .
(3) 제 1 치리서 (First Book of Discipline, 1560)
존 낙스는 1560 년에 스코틀랜드 신조를 작성 한 후 교회의 질서를 위해서 12 월에 칼빈의 제네바 헌법 (1541) 에 기초하여 ‘ 제 1 치리서 ’ (First Book of Discipline) 를 만들었다 . 이것은 ‘ 우리의 예식서 ’ 라고 하기도 했으며 , 교리적 토대 위에서 구체적으로 장로주의 정치원리들이 어떻게 교회에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언급한 헌법서이다 .
먼저 장로주의 정치원리의 성경적 토대를 제시하고 , 그리고 오직 성 경 말씀에 의한 통치원리와 교회회의에 의한 통치원리를 말한다 . 교회회 의와 관련해서는 교회정치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당회와 노회제도의 원리를 제시해 주고 있다 . 하지만 노회제도는 순회감독관 형태가 남아 있는 초보적인 수준의 형태이다 . 그리고 이 노회의 구성원을 어떻게 구 분해야 할 것인지를 설명하는 직분론이 자세하게 언급되어지고 있다 . 마 지막으로는 국가로부터 교회치리권의 독립성을 소개하고 있다 .
전체는 총 9 장이다 . 1 장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는 교회정치의 근 본원리 , 2 장 성례전의 정의와 실행방법 , 3 장은 우상숭배의 폐지 , 4 장은 목사와 합법적 선거 , 5 장은 교회에 속한 재산과 헌금의 분배 및 목회자 의 자격 , 6 장은 교회의 상속재산과 헌금 , 7 장은 권징의 필요성 , 8 장은 장로와 집사 , 9 장은 국가와 교회의 분리된 역할 ( 국가의 언약적 책임론 강조 ) 과 당회 , 노회 , 총회 원리 제시이다 .
(4) 제 2 치리서 (The Second Book of Discipline, 1578)
‘ 제 2 치리서 ’ 는 멜빌 (Andrew Melville 1545-1622) 이 1578 년에 작성한 것이며 , 1592 년에 의회에 합법적으로 공인되었다 . 이것은 스코틀랜드 교 회의 헌법으로 공인받은 명실상부한 장로교회의 정치헌법으로서 자리를 잡았다 . 또한 그 내용면에서도 제 1 치리서가 명확하게 규정하지 못한 부 분들까지 성경적인 원리로 더욱 체계화시켰다 . 즉 노회제도에 대한 초보 적 소개와 장로정치의 기초 원리만 소개했던 ‘ 제 1 치리서 ’ 를 넘어서 장 로정치의 구체적 적용들을 소개했고 또한 장로정치의 핵심이 되는 노회 제도 ( 목사와 장로로 구성하는 당회 , 노회 , 총회의 치리회 구성 ) 를 완성시켰다 .
내용은 총 13 장으로 구성했다 . 1 장 교회와 국가 차이성 강조 ( 교회의 치 리권 독립 ) , 2 장 교회정치 ( 목사와 장로 중심의 장로정치 제시 ) , 3 장 교회직분 의 허락 ( 3 직분 : 목사와 장로 중심 , 집사는 당회의 보조자 ) 4 장 목사 , 5 장 박 사 ( 신학교수 ) , 6 장 장로 , 7 장 장로직 , 회의 , 권징 , 8 장 집사 , 9 장 교회재산 , 분배 ( 목회자 사례비 확립 ) , 10 장 권징의 질서 ( 교회의 치리권 확립 ) , 11,12 장 각 종 개혁할 것 ( 로마 가톨릭교회의 예식 비판 ) , 13 장 개혁교회의 연합의 필요성이다 .
8. 네덜란드 종교개혁
(1) 벨직 신앙고백 (Belgic Confession, Netherlands Confession, 1561)
이 신조는 사라비아 (Adrien de Saravia, 1532-1613) 와 오렌지 공 (Willem III van Oranje, 1650-1702) 의 궁정 목사인 모데투스 (H. Modetus) 와 윙켄 (G. Wingen) 의 도움을 받아서 ‘ 귀도 드 브레스 ’ (Guido de Bres) 가 프랑스어로 작성한 것이다 . 그 후에 엔트웝의 왈룬 (Walloon) 과 보르쥬 (Bourges) 의 프렌시스 쥬 니우스 (Francis Junius) 에 의해서 좀 더 분명한 칼빈주의적 정신이 포함된 형태로 완성되었다 .
이 신앙고백서는 당시 네덜란드 지역의 통치자 필립 2 세에게 보내졌 다 . 이것을 필립 2 세에게 보낸 이유는 필립 2 세가 개혁교회를 극심하게 핍박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정책에 항거하는 중요한 저항의 방식이었다 . 이들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옹호자인 왕이 이것을 읽고 관용 정책을 베풀어줄 것을 기대함과 동시에 거절될 때에는 참되고 바른 신앙정신인 무엇 인지를 순교를 각오하고서라도 보여주고자 했다 . 그러나 필립 2 세는 받 아들이지 않았다 .
개혁교회 성도들이 이렇게 신앙고백을 통해서 저항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당시 개혁교회의 신자들이 반역 행위를 하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었으며 그 결과 10 만 명 이상이 죽임을 당하였고 또 앞으로도 더욱 극심한 핍박이 예상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 그리고 이들은 신조에 담은 이런 표현을 통해서 합법적인 것이라면 정부의 모든 명령에 묵묵히 복종 하지만 그렇지 않고 참된 신앙의 정신을 파괴시키는 도전이라면 “ 이 신 앙고백에 표현된 바의 진리를 거부당하느니 보다는 차라리 등에 채찍을 받고 , 혀를 잘리며 , 입에 재갈이 물리며 , 온 몸이 불구덩이에 던져지는 편이 더 낫다 .” 고 할 정도로 이 신앙고백을 통해서 저항정신을 분명히 하고자 했다 .
이 신앙고백서는 엔트웹 회의 (1566), 베셀 회의 (1568) 에서 공식적 으로 인정되었고 , 또한 1619 년 도르트 총회에서는 알미니안주의 자들이 본문의 수정을 요구하였으나 총회는 수정 없이 그대로 인정해 주었다 . 내용은 총 37 장이다 .
● 1 장 : 신론
● 2 장 - 7 장 : 성경
● 8 장 - 11 장 : 삼위일체
● 12 장 ,
● 13 장 : 창조와 섭리
● 14 장 , 15 장 : 아담의 범죄와 타락
● 16 장 - 21 장 : 구원과 구속자 예수
● 22 장 , 23 장 : 칭의
● 24 장 – 26 장 : 성화
● 27 장 – 32 장 : 교회
● 33 장 – 35 장 : 성례
● 35 장 : 국가와 교회의 관계
● 36 장 : 시민 정부
● 37 장 : 재림과 심판
사진 / The Synod of Dort(1618-1619)
(2) 도르트 신조 (The Canons of Dort, 1618-1619)
프랑스를 제외한 전 (全) 유럽 교회들이 모여 만든 ‘ 도르트 신조 ’ 는 세 계적인 개혁교회 총회의 결정체이며 꽃이라 표현할 수 있다 . 모임의 원 인은 비록 알미니안주의의 항변 (抗辯) 에 대한 항변 (抗辯) 으로써 기독교 교 리의 일부분만 다루어졌으나 그 내용은 복음의 본질이며 , 개혁신앙의 교 리 체계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신적 작정 즉 ‘ 하나님의 절대주권 신앙 ’ 을 확립한 신조이다 .
이 신조는 소위 ‘ 반대자들에 대항하는 다섯 조항 ’ 이라고 불린다 . 이 신조는 1618 년 11 월 13 일부터 1619 년 5 월 9 일까지 도르트레히트 (Dordrecht) 의 개혁 종교회의 (the Reformed Synod of Dordrecht) 를 통하여 채 택되었다 . 이 종교회의는 국제적인 성격을 나타냈는데 왜냐하면 그 구성 이 요하네스 보겔만 (Johannes Bogerman, 1576-1637) 을 의장으로 네덜란드의 개혁교회의 84 명의 신학자 , 18 명의 의회대표 . 영국 , 스코틀랜드 , 독일 ( 헷 세 , 팔라티네이트 , 브레멘 ), 스위스 , 바젤 , 베른 , 제네바 등 국외의 27 명 의 대표자들이 함께 모였기 때문이다 .
이 종교회의는 라이덴 대학 교수였던 알미니우스 (Arminius, 1560-1609) 가 칼빈주의 교리 중 다섯 가지가 성경으로부터 이탈하였다고 비판하면서 시작됐다 . 그 후에 요한 위텐보가르트 (John Uytenbogaert, 1557-1644) 가 이끄 는 43 명의 알미니안주의 목사들이 1610 년에 모여 탄원서 즉 항변서 (抗辯 書) 를 제출 자신들의 지위를 보호해 줄 것을 네덜란드 정부에 요구하면서 논쟁은 더 발전했다 . 또한 이들은 당시 네덜란드에서 공식적으로 받아들 인 ‘ 벨직 신조 ’ 와 ‘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 이 비성경적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자신들 입장대로 수정해야 한다고까지 주장했다 .
그들은 자신들의 견해를 5 가지로 천명했는데 그 내용은 1) 예지에 근거한 조건적 선택 , 2) 무제한적 속죄 , 3) 부분적 타락 , 4) 저항할 수 있는 은혜 그리고 5) 은혜로부터의 타락 가능성 등이다 .
이 같은 주장은 도르트 종교회의에서 거부되었고 도리어 이를 성경 적으로 반박하며 변증하는 견해 즉 소위 ‘ 도르트 신경 ’ 또는 ‘ 반대자들 에 대항하는 다섯 조항 ’ 이라고 불리는 입장이 구체화되었다 . 그것은 바로 1) 무조건적 선택 , 2) 제한 속죄 , 3) 전적 타락 , 4) 불가항력적 은혜 , 5) 성도의 견인 등을 다섯 가지로 이를 개혁교회 교리로서 확증시켰다 . 이 교리들이 후에 ‘ 칼빈주의 5 대 교리 ’ 라고 불려 지게 되었다 . 또한 각 교리의 첫 글자를 뜻하는 ‘ 튤립 ’(TULIP) 이라는 말로도 설명되고 있다 .
전체 내용은 총 5 개 교리이며 ( 원문은 3 번과 4 번을 묶어 하나로 함 ) 전체 조 항은 93 개이다 . 그 중 59 개 항은 개혁신앙의 입장이며 , 34 개 항은 알미 니안주의 항변파의 입장을 소개하고 비판한 내용이다 . 전체 내용 중 가 장 핵심적 논쟁은 예정론에 맞춰져 있다 . 알미니안주의자들은 예정론을 다음과 같이 비판하고 있다 .
“ 예정론과 여기에 첨가된 몇몇 요소들에 관한 개혁교회의 교리는 그 특징적인 경향에 비춰 볼 때 사람들에게서 모든 경건한 신자의 의무를 무시해 버리고 있으며 , 이 세상적인 사단에 의해 조작된 일종의 마취제 이다 . 또한 이것은 사단의 견고한 요새이며 , 여기에서 사단은 모든 사람 들에게 마음의 상처를 주며 실망과 나태함의 화살로서 사람들을 도덕적 으로 타락시키며 , 하나님을 죄와 불의의 원인으로 돌리며 또한 하나님을 폭군이요 , 위선적인 분으로 만들어 버린다 .”
그러나 이 같은 예정론에 대한 비판에 대해 도르트 총회는 예정론이 성경적인 고백임을 다음과 같이 반론을 제기했다 .
“ 이상과 같은 터무니없는 주장을 개혁교회는 인정하지 않을 뿐 아니 라 전적으로 배척하는 것을 그들은 주장하고 있다 . 따라서 이 도르트 총 회는 개혁교회의 모든 신앙을 우리의 구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판단해 주시되 위에서 말한 잘못된 사람들의 중상모략으로부터가 아니요 , 또한 옛 날이나 지금의 가르치는 자가 정직하지 못하게 인용했다든지 또는 전혀 의미를 알지 못한 채 곡해해서 인용하는 등의 사사로운 표현으로부터도 아니요 , 교회들의 공적인 신앙고백 즉 총회의 모든 교회가 다 같이 찬성 하여 확정지음으로 정통 교리로서 선포한 것에서부터 판단해 주시기를 기원하는 바이다 .
더 나아가 본 총회는 개혁교회의 참 신앙고백을 중상모략하고 거짓 증거 하는 이 모든 일에 하나님의 심판이 있을 것을 그들에게 경고하는 바이다 . 왜냐하면 그들은 연약한 사람들의 양심을 상하게 하고 진실하게 믿음으로 살아가는 이 사회를 어지럽게 만들기 때문이다 .”
9. 독일의 종교개혁
(1)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The Heidelberg Catechism, 1563)
독일은 작센의 선제후 (選帝侯, Princeps Elector, 신성 로마 제국 황제를 선정하는 역할을 하였던 신성로마제국의 선거인단 ) 프리드리히 3 세 (Friedrich III, 1486-1525) 는 자신의 지역이 루터파와 개혁파로 나눠져 갈등이 심해지자 두 파의 일치를 위해서 하이델베르그 대학의 교수인 우르시누스 (Zacharias Ursinus, 1534-1583) 와 궁정 설교자인 올리비아누스 (Caspar Olevianus, 1536-1587) 에 게 본 요리문답을 작성하도록 제시했다 .
그러나 그는 각 교파를 화해시키려는 노력을 하면서도 칼빈주의 신앙 에 많은 호감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칼빈주의 목사들에게 교리문답의 작 성을 요청했다 . 또한 저자인 우르시누스는 자신이 작성한 요리문답서를 옹호하기 위해 변호서 (Admonitio christiana) 를 작성하기도 했으며 또 ‘ 하이 델베르그 요리문답 해석 ’ (Explicationes Catecheticae) 을 출판하여 개혁신앙의 독특성을 더욱 분명히 드러내었다 .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이 루터주의 자들의 비난들과 오해에 대한 대답 형식이었지만 오히려 그 대답에서 루터주의와 구별된 개혁주의 신 학의 독특성들을 더욱 분명하게 제시했다 .
프리드리히 3 세는 1562 년 12 월에 이 요리문답서를 수정하여 승인 받기 위해 주 요 목사들과 교수들의 총회에 이 작업을 위임했다 . 그 결과 1563 년 초에 ‘ 팔라티네 이트 선제후 지역 교회와 학교에서 가르칠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1563) 요리문답 ( 기독교 교훈 집 )’ 이라는 제목으로 출판할 수 있었다 .
그는 이 문답서가 하나님의 말씀에서 뽑아 낸 기독교의 요약된 교훈 또는 요리문답서이므로 이후 교회와 학교에서는 다음 세대들의 신앙의 유익을 위해 사용하기를 바란다고 서문에 간략하게 자신의 입장을 제시 하면서 교리문답 교육을 강화시켰다 . 프리드리히 3 세는 1563 년 로마 가 톨릭교회가 트렌트 공의회 (1545, 오스트리아 트리엔트 ) 에서 기독교를 저주한 것에 분노하여 요리문답 3 판에 80 문을 추가하여 교황을 적그리스도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
1600 년 독일 국가 종교회의에서는 이 요리문답을 교회의 통일된 교 리 규범의 하나로서 채택하였고 , 교회의 책임자는 이에 서명하고 모든 목사는 교회에서 이 요리문답을 의무적으로 설명해 주도록 규정했다 . 또 한 이것은 1618-1619 년 도르트 총회의 때도 중요한 개혁주의 신앙고 백서로 공식인정을 받았다 . 그리고 화란 개혁파 교회는 이것을 청소년 신앙교육 교재로 사용했으며 주일 저녁에 각 항목을 설교했다 . 또한 1568 년에서 1571 년까지는 화란의 개혁 교회와 라인 강 하류 지방과 헝 가리 , 체코 , 폴란드에 있는 개혁교회 대부분이 이것을 사용했으며 1609 년 미국 땅에 나타난 최초의 개혁교회 신앙고백서이기도 하다 .
하이델베르그 교리문답의 교리적 특징은 그 구조에 있어서 사도신경 , 십계명 , 주기도문 , 성례를 3 구조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있다 . 이런 구조는 칼빈의 제네바 제 2 차 교리문답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그리고 이런 구조를 다시 3 구조로 다음과 같이 분류되어 있다 . 첫째 비참 , 둘째 구원 , 셋째 감사로 나뉘어져 있다 .
이런 3 구조는 칼빈의 제네바 제 2 차 교리교육서처럼 십계명을 사도신 경 뒤에 둠으로 복음과 율법의 깊은 신학적 이해를 발견하게 된다 . 즉 본 요리문답서는 삶의 규범으로서 율법을 마지막 부분인 십계명과 주기 도문을 설명하는 ‘ 감사 ’ 부분에서 설명하고 있다 . 이런 율법에 대한 감사 의 접근 방식은 이 요리문답을 해설한 우르시누스 자신에 의해서 더욱 깊은 신학적 이해를 제시해 주고 있다 . 그는 성도의 삶의 규범으로 율법 을 따라 사는 인간의 삶의 최종 목적이 인간 자신에 있지 않고 오직 하 나님의 영예와 영광을 지향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은 서문인 ‘ 위로 ’ 라고 하는 큰 주제를 기본으로 총 129 문으로 구성됐다 . 제 1 부는 ‘ 인간의 비참함 ’, 제 2 부는 ‘ 인간의 구 원 ’, 제 3 부는 ‘ 인간의 감사 ’ 등으로 구성해 성경의 주제라고 할 수 있는 창조 - 타락 - 구원을 반영하고 있고 사도신경 , 십계명 , 성례 , 주기도문 순 이다 . 그러나 신학적 표현에서 이중예정 , 유기 , 제한 속죄 등은 제외되었 다 . 또한 그 내용은 크게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은 문답형식이다 .
● 제 1 부 3 문 – 11 문 : 죄로 인해 나타나는 인간의 고통을 설명한다 . 인간의 죄가 무엇인가를 창세기 3 장 이하를 통해 설명하고 , 그 죄를 수 있는 방편으로 사용되는 율법에 대해 말한다 .
● 제 2 부 12 문 – 85 문 :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을 설명한다 . 주로 사도신경의 해설로 성부와 성자 , 성령 하나님께서 구원을 위해 어떤 일을 하셨는가를 설명하는 삼위일체적인 구조로 되어있다 . 특히 65 문 - 85 문은 세례와 성찬으로 성례를 다루고 있다 .
● 제 3 부 86 문 – 129 문 : 그리스도로 구속 된 새 피조물이며 하나님 나 라의 백성이 된 성도들의 감사와 구체적인 삶의 방향을 가르치며 구원받 은 자가 청기기로서 봉사하며 , 감사하는 길을 설명하기 위해 사도신경과 십계명 , 주기도문을 언급한다 . 특히 끝부분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주기도 를 해설함으로써 주님과 함께 삶을 영위하는 모든 성도가 충실하게 살면 서 의지해야 할 기도의 내용을 가르치고 있다 .
10. 영국의 종교개혁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Westminster Standards, 정치모범, 예배모범, 신앙고백서, 대소요리문답)
영국은 왕조가 종교의 방향을 좌우하는 독특한 나라였다 . 즉 헨리 8 세 , 에드워드 6 세 , 메리여왕 , 엘리자베스 1 세 , 제임스 1 세 , 찰스 1 세 등 왕조의 변화에 따라서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교회와 중도파의 세력이 좌 우되는 형편이었다 . 이런 배경 속에 엘리자베스 여왕 때에 대륙에서 돌 아온 개혁주의자들을 중심으로 청교도 (Puritanism) 역사를 창출하였다 .
퓨리탄은 영국 국교의 로마 가톨릭적인 요소 , 국가주의 , 민족주의 , 교 역자의 부도덕 , 기성 영국 교회의 도덕적 부패와 잘못된 교리에 저항할 뿐만 아니라 순수한 개혁교회적 교회 정치와 정교 (政治, 宗敎) 분리원칙 및 보다 순수한 칼빈주의 신학을 수립하려고 노력했다 . 이 표준문서는 작성 목적에 있어서 보다 철저한 개혁주의 신학을 형성하려고 시도한 것이며 특별히 당대에 주류를 이루고 있던 알미니안주의적 사상을 철저히 배격 하고 바른 성경적 입장을 세우고자 했던 것이 특징이다 .
이 표준문서는 1643 년 영국 의회가 당시 국왕이던 찰스 1 세와 의회 와의 내란 ( 청교도 혁명 ) 중에 왕조와 분리되어 총회를 소집하여 만든 것이 다 . 총회는 1643 년 7 월 1 일부터 1649 년 2 월 22 일까지 5 년 6 개월 동안 토요일과 일요일은 제외하고 매일 9 시부터 오후 2 시까지 개최하면서 오 후에는 소위원회별 모였고 , 마침내 연 1,163 회 모임을 통하여 이 표준문 서를 완성시켰다 . 영국과 스코틀랜드의 교회 총대들과 의원 , 정치인 등으 로 구성된 ‘ 학식 있고 거룩하며 분별력 있는 신학자 ’ 들이 웨스트민스터에 모였으며 , 이들은 하나님의 말씀에 기초한 의식 , 권징 , 정치를 할 수 있 는 보다 완전한 개혁을 단행하여 가까이 있는 스코틀랜드 교회나 대륙의 개혁 교회와 신앙의 일치를 도모했다 .
참석자들은 151 명으로 30 명의 평신도 사정관과 121 명의 목사들로 구 성되었으며 대부분이 장로교 소속이었다 . 스코틀랜드는 8 명이 참석했다 . 5 명의 목회자는 핸더슨 (Alexander Henderson) , 더글라스 (Robert Douglas) , 러 더포드 (Samuel Rutherford) , 길레스피 (George Gillespie) , 베일리 (Robert Baillie) 이 며 , 3 명의 장로는 존 카실리스 , 아치발드 존스톤 , 존 메이틀랜드 등이다 .
영국에서는 장로파와 감독파와 독립파와 에라스티안파 등이 있었다 . 이처 럼 총회 구성 인원들이 4 파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총회는 일반 예배 규범 과 신앙고백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국가와 교회의 관계 , 또는 교회 자체의 정치적 문제는 마지막까지 심각한 논쟁을 벌였다 .
정치적이며 교리적인 차이로 스코틀랜드 총회는 1647 년 8 월 27 일 , 영국의회는 상원에서 1647 년 2 월 , 상하원 전체는 1649 월 2 월 7 일에 수 용 , 왕실은 1690 년에 공적으로 인정했다 . 이것이 미국으로 건너간 청교 도들에 의해 미국 장로교회의 교리적 표준문서로 인정되었고 (1729 년 ), 한국에는 장로교 선교사들이 가지고 들어와 한국 장로교회의 표준문서 (1907) 로 고백하였다 .
(1) 웨스트민스터 정치모범 (Form of Government, 1644)
조지 길레스피는 스코틀랜드 신학자들 중에서도 교회정치에 대한 중 요한 원리를 제공하고 직접적으로 회의에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 그는 ‘ 제 2 치리서 ’ 를 통해서 확립된 장로 정치원리를 더욱 성경적으로 발전 시켜서 웨스트민스터 총회에 제시했으며 , 그의 의견이 정치모범에 가장 중요한 기틀로 형성되었다 . 하지만 4 개의 교파는 교회정치에 대한 입장 이 가장 큰 차이를 보였기 때문에 쉽게 일치를 이루지 못하다가 1647 년 6 월 29 일 정치모범 채택 전에 독립파 , 에라스티안파가 탈퇴하므로 장로 파 중심으로 작성할 수 있었다 .
그러나 회중파와 장로파의 상회의 연합관계에 대한 견해차이로 ‘may be’ 논쟁이 일어났다 . 즉 개 교회와 노회와 총회의 정치적 연합 관계에 대하여 장로파는 종속적 관계 ‘ 반드시 연결 ’ (must be) 을 주장했고 회중파 는 개 교회 자율성을 더 강조하고 다만 협의적 연합 성격인 ‘ 느슨한 연 결 ’ (may be) 을 강조했다 . 결국 리챠드 비네스 (Richard Vines) 에 의해 적극적 입장과 1644 년 3 월 12 일에 12 가지로 회중파에서 제출된 것과 조정해서 웨스트민스터 정치모범으로 결정되었다 . 즉 정치모범 당회 부분에서 “ 교 회의 일을 위하여 개 교회 , 노회 , 지방회 , 전국적 회의가 종속 관계를 가 지는 것은 합법적이요 말씀에 일치하는 것이다 .” 라고 고백하여 의무적 연합을 강조했다 . 이 같은 정치모범의 중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첫째 , 서문에서 보듯이 예수 그리스도께서 교회의 머리요 왕이시라는 중 요한 정신이다 . “ 그를 만물 위에 교회의 머리로 주셨으니 교회는 그의 몸이라 만물 안에서 만물을 충만케 하시는 자의 충만이니라 . 그가 모든 하늘 위로 오르셨으니 , 이는 만물을 충만케 하려 하심이 요 . 그의 교회를 위하여 선물을 받으시고 그가 또한 여러 직분들을 주신 것은 그의 교회를 세우려 함이요 성도를 온전케 함이시다 .”
둘째 , 장로 정치원리의 모든 것은 오직 성경을 통해서만 적용해야 한다는 오직 성경이다 . 이것은 총회 앞서 고백한 그들의 결의문에 잘 나타난다 . “ 나는 교리와 관련하여서 하나님의 말씀에 가장 일치하 다고 믿는 것 이외에 어떠한 것도 주장하지 않을 것이다 . 권징 조 례에 관련하여서도 하나님의 영광과 교회의 평화와 선을 위해서 최선으로 행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어떤 것도 주장하지 않을 것이다 .”
셋째 , 개혁교회 정치에 있어서 실제적 원리인 치리회 ( 노회 ) 를 통한 장로 정치원리이다 . 즉 목사와 장로로 구성된 당회 , 노회 , 총회 등 회의 의 단계적 구성을 통해서 교회를 통치하고 다스려 나가는 방식을 개혁교회의 가장 중요한 교회정치원리로 확립시켰다 . “ 그리스도께 서는 그의 교회에 일들과 교회 지도자들을 제정하시고 그 목적을 위하여 사도들은 예수 그리스도의 손에서 직접 열쇠를 받고 전 세계 모든 교회에서 온갖 경우에 그것을 쓰고 행사했다 . 교회가 여러 가지 모임 , 즉 총회 , 노회와 당회 등에 의하여 다스림을 받는 것은 합법적이요 하나님의 말씀에 일치하는 것이다 .” ( 정치모범 , 모임 부분 )
전체 내용 20 개의 항목으로 만들었다 . 서문 , 교회 ( 유형교회 강조 ), 교직자 ( 목사 , 교사 , 장로 , 집사 ) 박사와 목사 ( 항존직 , 설교권 , 성례권 , 치 리권 , 교리문답교육 ), 치리자로서 장로 , 구제와 돌봄의 사역으로써 집사 , 개교회의 규칙 및 모임 ( 교회질서 존중 , 교회 근처 거주문제 , 기도 , 감사 , 시편 찬송 , 성경 읽기 , 교리문답 , 성례 , 헌금 ), 교회 일들과 그 일을 위한 여러 가지 모임 ( 당회 , 노회 , 총회 ), 노회 ( 목사와 장로 , 한 노회의 행정의 관리 아래 구성 강조 ), 목사 안수 ( 안수 권한은 노회 소유 ), 노회의 평등 성 강조 ( 안수의 모든 일을 규제하는 권한도 노회 전체에 있다 ), 안수 시 험 규칙서 ( 신학 , 생활 , 연령 24 세 이상 , 히브리어와 헬라어 성경 강독 , 라틴어 신학서적 강독 , 논리학과 철학 수학 ) 등이다 .
이 외에도 개혁파 신학의 학습을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 “ 신학 서적 중에 누구의 것을 그가 읽었으며 , 어느 것을 통달했는지 , 또 종교의 기초 에 관하여 시험 치고 , 그가 거기에 포함된 정통 교리를 불건전하고 잘못 된 의견들 중에도 특별히 현대의 것을 대적하여 잘 변호할 능력이 있는 가 그에게 내어준 성경 부분을 양심의 경우와 성경의 연대와 교회사적 면에서 잘 해석하는가를 검토한다 .”
(2) 웨스트민스터 예배모범 (The Directory for the Worship of God, 1645)
예배의 개혁은 웨스트민스터 총회가 모인 주된 목적이다 . 제임스 1 세 (1618), 찰스 1 세 (1633, 1637) 에 의한 ‘ 퍼스 5 개 조항 ’ (Five Articles of Perth) 과 ‘ 오락의 책 ’ 을 통해서 엄밀한 주일성수를 방해하였으며 , 존 낙스 의 예식서를 금지하여 감독제적인 영국국교회 ( 성공회 ) 의 예식을 요구하 였다 . 이처럼 예배의식의 변형이 저항의 결정적 원인이 되었기 때문에 총회는 예배모범을 가정 먼저 정리했다 . 폐기 5 개 조항은 다음과 같다 .
● 성찬 때 무릎 꿇기
● 목회자 개인이 병자에게 성찬을 사적으로 집례
● 사적인 세례 집례 ( 여자와 개인 )
● 견신례
● 각종 절기 요구 ( 성탄절 , 부활절 , 성령강림절 , 승천절 )
또한 ‘ 오락의 책 ’ 은 주일 오후에 성도들이 오락과 스포츠를 할 수 있도록 교회가 허락하는 것이다 .
1641 년 예배모범에 대한 준비작업이 알렉산더 핸더슨에게 맡겨졌다 . 예배모범에 대한 소위원회는 파머 (Parlmer) , 굳윈 (Goodwin) , 영 (Young) , 헐 (Herle) 과 네 명의 스코틀랜드 목사와 의장인 마샬 (S. Marshall) 로 구성되었 다 . 총회는 1644 년 5 월 24 일 예배모범 초안을 영국 의회에 제출했지만 성만찬에 대한 까다로운 논쟁 때문에 예배모범이 1645 년 1 월 3 일에야 하원에 의해 공적으로 승인되어 청교도적 예배원리들을 확립했다 .
전체 내용은 16 항목으로 구성했다 . 서문에서는 “ 우리가 특별히 주의 한 것은 모든 규례에 있어서 하나님께서 제정하신 것들은 고수하고 다른 일은 신자의 지혜의 법칙을 따라 진술하려고 노력하였으니 하나님의 말씀의 일반적인 법칙에 준한 것이다 .” 라고 고백하여 성경적 원리와 이성 적 합의의 균형을 제시했다 . 각 항목은 다음과 같다 .
● 회중의 집합과 공중 예배의 태도 ( 엄격성 )
● 공중 성경낭독 ( 신구약 , 시편 )
● 설교 전 공중기도 ( 죄의 고백과 성령의 은혜 )
● 말씀의 설교 ( 설교는 구원에 이르게 하는 하나님의 능력이요 복음 의 직분에 속하는 가장 위대하고 가장 탁월한 역사 - 본문 및 강해 설교 , 교리 설교 )
● 설교 후 기도 ( 주기도문 사용 )
● 세례 ( 언약원리 , 유아세례 )
● 성만찬 ( 영적 임재설 , 자주 집례 )
● 주일날을 거룩하게 하는 것 (24 시간 , 공중예배 , 구제 )
● 결혼식 ( 성례개념 금지 , 결혼 서약 , 재혼 )
● 환자 심방
● 장례식 ( 미신적 의식 금지 )
● 공적 금식일 , 감사일
● 시편 찬송
● 공적 예배의 날과 장소 ( 각종 절기 폐지 )
(3)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1647)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전체 33 개 항목 다음과 같다 .
1) 성경 (T he Holy Scripture)
2) 삼위일체 ( God, and of the Holy Trinity)
3) 신적작정 (God's Eternal Decree)
4) 창조 (Creation)
5) 섭리 (Providence)
6) 죄 (The Fall of Man, of Sin, and the Punishment thereof)
7) 언약 (God's Covenant with Man)
8) 중보자 (Christ the Mediator)
9) 자유의지 (Free Will)
10) 부르심 (Effectual Calling)
11) 칭의 (Justification)
12) 양자 (Adoption)
13) 성화 (Sanctification)
14) 믿음 (Saving Faith)
15) 회개 (Repentance unto Life)
16) 선행 (Good Works)
17) 성도의 견인 (The Perseverance of the Saints)
18) 구원의 확신 (Assurance of Grace and Salvation)
19) 율법 (The Law of God)
20) 양심의 자유 ( (Christian Liberty, and Liberty of Conscience)
21) 예배와 안식일 (Religious Worship and the Sabbath Day)
22) 맹세 (Lawful Oaths and Vows)
23) 국가 (the Civil Magistrate)
24) 결혼과 이혼 (Marriage and Divorce)
25) 교회 (The Church)
26) 성도의 교제 (The Communion of Saints)
27) 성례전 (The Sacraments)
28) 세례 (Baptism)
29) 성찬 (The Lord's Supper)
30) 권징 (Church Censures)
31) 노회와 총회 (Synods and Councils)
32) 죽음과 부활 (the State of Men after Death, and of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33) 최후심판 (The Last Judgment)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교리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 오직 성경
첫 번째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서 성경론은 전체의 구조 가운 데서도 가장 서두에 위치 시켜서 전체 신앙고백의 체계로 삼은 것이다 . 이런 방식은 개혁교회의 고백인 ‘ 오직 성경 ’ (Sola Scriptura) 과 ‘ 전체 성 경 ’ (Tota Scriptura) 에 기초한 것이다 .
또 칼빈의 기독교강요에서 “ 우리가 하나님을 그의 말씀 밖에 어떤 다 른 곳에서 찾지 않고 그의 말씀이 아니면 어떤 것도 생각하지 않으며 그 의 말씀을 통하지 않고는 어떤 것도 말하지 않는다 .” 라고 언급한 칼빈주 의적 고백이기도 하다 . 이처럼 신론에 앞서 성경론을 고백하여 성경이 교회개혁의 최고의 수단이 되게 했다 . 각 내용은 성경의 영감론과 해석 론 ( 문법적 , 역사적 , 교리적 , 성경의 성경 그 자체로 해석한다 ) 로 나뉜다 .
● 하나님 중심적 신론
두 번째 특징은 ‘ 삼위일체 ’ 교리 이해와 신적 작정과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강조한 신론 중심적 교리체계이다 .
이 원리를 확립하기 위해서 2 장 -5 장 ( 하나님 , 신적작정 , 창조 , 섭리 ) 까지 신론을 서두에 배치하였다 . 전체 33 개의 주제가 어느 한 위에 편중 되지 않고 삼위일체적인 균형을 가질 수 있도록 어거스틴과 칼빈의 전통 을 따라서 통일적 경륜의 형태로 고백했다 . “ 하나님의 본체 (本體) 는 하나 이시며 , 삼위 (三位) 이시다 .” 라는 고백은 어거스틴이 “ 성부 , 성자 , 성령은 분리할 수 없이 존재하신 대로 그렇게 분리할 수 없이 역사하시고 , 하나 님이 행하시는 모든 일에 삼위일체는 분리할 수 없이 역사한다 .” 라는 고 백과 일치한다 . 이런 원리에서 삼위일체는 인간론 - 종말론에 이르기까지 모든 주제에 균형 있게 고백된다 .
또한 3 장에서 “ 하나님께서는 장차 있을 모든 일을 영원한 때부터 그 자신이 뜻하신 바 , 가장 지혜롭고 거룩하신 계획에 의하여 자유롭게 , 그리 고 변치 않게 결정 ( 작정 ) 해 놓으셨다 .” 라는 고백에 기초하여 인간론 , 구원 론 , 교회론 , 종말론에 이르기까지 인본주의적 신앙관을 배격하고 철저히 하나님 중심적 신앙관을 제시한다 . 각 장의 중요 표현은 다음과 같다 .
● 7 장 : 주께서는 그 기쁘신 뜻대로 … 언약을 맺으셨다 .(3 항 )
● 8 장 : 하나님은 그의 영원하신 뜻을 따라 ... 임명하시기를 기뻐하셨다 .(1 항 )
● 10 장 : 하나님이 … 그가 정하시고 기뻐하신 때에 … 효력 있게 부르시기를 기뻐하셨다 .(1 항 )
● 11 장 : 그리하여 하나님의 엄정한 공의와 풍성한 은혜가 죄인들의 칭의에서 영광을 받게 하신 것이다 .(3 항 )
● 13 장 : 성도들은 은혜 안에서 자라면서 하나님을 두려워함으로 거룩함을 온전히 이룬다 .(3 항 )
● 14 장 : 믿음의 은혜는 그들의 마음속에 계시는 그리스도의 영의 역사이다 .
● 19 장 : 이 율법 외에 하나님은 … 의식적 율법을 주시기를 기뻐하셨다 .(3 항 )
● 20 장 : 하나님만이 양심의 주가 되신다 .(1 항 )
● 21 장 : 하나님께는 … 마땅히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경외하고 사랑하고 찬송을 드리고 사정을 아뢰고 섬겨야 될 하나님이시다 .
● 23 장 : 온 세계의 주가 되시고 왕이신 하나님께서는 자기의 영광과… 이 목적을 위하여 칼의 힘으로 무장시키셔서 … 처벌하도 록 하셨다 .
● 25 장 : 하나님의 뜻에 따라 하나님을 경배하는 교회가 지상에 항상 있게 될 것이다 .(5 항 )
● 33 장 : 하나님이 이 날을 정하신 목적은 피택자들의 영원한 구원에서 그의 자비로운 영광을 나타내시며 악하고 사악한 자들의 영벌 에서 그의 공의를 나타내기 위함이다 .
● 신약과 구약의 언약적 통일성
세 번째는 신약과 구약의 언약적 통일성을 확립한 것이다 . 신구약의 차이성만을 강조하는 방식은 초대교회 때 이단으로 정죄된 마르시온 , 마 니교 , 영지주의의 대표적 특징이었으며 , 16 세기에 와서는 루터파 , 자유영 성파 , 아그리콜라 , 코케이우스 , 17 세기를 지나서는 알미니안주의 , 경건주 의 , 18 세기 이후는 자유주의학파 , 신정통주의 , 신비주의 , 일반사를 무시 하는 구속사 중심의 성경신학적 방식의 공통된 특징이었다 .
특히 코케이우스는 ‘ 언약의 차이성 ’ 을 강조해 신구약을 계시의 점진적 발전과정으로 보았다 . 즉 성경을 그 자체의 계시적 가치로 이해하기 보 다는 역사적 발전과정에 더욱 중심을 두어서 구약의 많은 계시적 가치를 단순히 역사의 한 과정으로 흘려보냈다 . 그 결과 신약의 기독론 중심의 구속 역사만을 가장 중요한 핵심으로 성경 전체를 묶었으며 , 창조역사와 일반역사를 무시하며 구약과 신약의 조화와 통일성을 깨뜨렸다 . 이 방식 은 구약의 가치를 스스로 축소시키는 엄청난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
하지만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는 칼빈주의 전통을 따라서 신구약 안에는 하나의 같은 신앙 , 한 언약 , 구원에 이르는 한 길이며 , 차이는 다 만 형식에 있는 것임을 고백했다 . 즉 7 장 언약 항목에서는 실체가 다른 두 개의 은혜 언약이 있는 것이 아니라 , 단 하나의 동일한 은혜 언약이 다양한 경륜 아래 있는 것을 밝혔다 . 특히 이 신조는 통일성의 구절로 “ 예수 그리스도는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토록 동일하시니라 .” 라는 구절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 이런 원리의 특징은 33 개의 모든 조항들의 근거 구절을 신 · 구약 전체에서 골고루 인용하고 있는 모습에도 나타난다 . 특히 신약적 주제도 구약에서 그 의미를 찾는 방식과 구약의 주제를 신약에서 찾는 방식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탁월한 통일성의 이해이다 .
● 구원의 서정에 대한 독특성
개혁주의적 구원의 서정의 특징은 신인 협력설 (神人協力說) 을 거부하고 오직 하나님이 구원의 주체임을 고백하는 것이다 . 이 신조는 인간의 영 적인 상태는 그의 지위 즉 율법과의 관계에 의존하며 , 죄인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전가 된 의를 근거로 하여 인간을 타락시키고 파괴적인 죄의 영향력에서 구원받을 수 있다는 가 정에서 출발한다 . 따라서 구원에 있어서의 인간의 무능력을 전제하 며 전적인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가 전제되고 있다 . 이 때문에 구원의 서정에서의 각 항목마다에 하나님 의 역사가 우선한다 . 또한 구속 사 역의 적용에 있어서 ‘ 칭의 ’ 는 논리 적으로 우선하며 , 중생이 회심보다 선행한다 . 특히 구원의 서정 전체 가 예정론 안에 포함되었음을 고백 하고 있다 . 이것은 인간론적인 방 편들을 모두 거부하는 표현이다 . 이런 고백이 10 장부터 18 장까지 Title page of a 1647 printing of the Confession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제시된다 .
소명 ⇒ 칭의 ⇒ 양자 ⇒ 성화 ⇒ 신앙 ⇒ 회개 ⇒ ( 선행 ) ⇒ 견인 ⇒ ( 구원의 확신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채택과정은 다음과 같다 .
●1647 년 초판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원문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은 초판 (1647) 에서 20 장 4 항 , 23 장 3 항 , 31 장 2 항이다 . 이 부분에서 국가 위정자가 종교 회의를 소집하고 또한 대회와 협의회를 소집할 수 있는 합법적인 권한이 있다고 말한다 . 이것은 당시 웨스트민스터 총회 자체가 의회의 건의로 시작되었기 때문에 그 영향을 입은 것이며 이 문제와 관련해서 가장 심한 논쟁을 한 분파는 장로교 안에 ‘ 에라스투스주의자 ’ ( 국가교회주의 ) 들이다 . 이들은 교회를 국가의 통치 안에 두고자 했기 때문에 의회의 힘 을 이용하여 왕이 ( 국가 ) 교회를 통솔하는 권한을 초판에 수록시켰다 .
● 1729 년 성경적 수정판
초판의 20 장 4 항 , 제 23 장 3 항과 제 31 장 2 항은 1729 년 미국장로교 회를 통해서 성경적인 형태로 수정되었다 . 즉 국가 위정자의 교회 치리 권과 총회 소집 권을 제거하여 정교분리의 원칙을 체계화 시켰다 . 스코 티시 - 아이리쉬 (Scottish-Irish) 와 영국 회중교회를 중심으로 한 미국장로교 회는 1729 년 필라델피아 대회에서 교회문제에 대한 국가 위정자의 참여 를 만장일치로 거절하면서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 와 ‘ 대소요리문답 ’ 을 표준 교리서로 채택할 것을 정식으로 결정하였다 .
또한 1736 년에 교회가 ‘ 교리 채택 안 ’ (The Adoption Act) 이라 불리는 이 신앙고백서에 어느 정도까지 충실해야하는가 하는 문제와 관련하여 대회는 국가 위정자의 총회 소집 권과 교회 치리권을 제거한 나머지 부 분들에 대해서 철저하게 받아들여야 함을 선언한다 . 이런 과정을 핫지 (A. A. Hodge) 는 “ 에라스투스적 오류에 가깝다고 인정되는 것을 일체 제거하 는 행위 ” 로 주장하였다 . 이 영향으로 현재 한국 장로교회도 1729 년의 수 정판을 사용하고 있다 . 수정된 본문은 다음과 같다 .
23 장 3 항 “ 국가의 위정자들이 말씀과 성례의 집행이나 하늘나라의 열쇠의 권세를 자기들의 것으로 취해서는 안 된다 . 혹은 그들이 조금이 라도 신앙의 문제에 간섭해서도 안 된다 .”
31 장 1 항 “ 개교회의 감독자들이나 개교회의 치리 자들은 교회를 파 괴하는 것이 아니라 굳게 세우기 위해서 그리스도께서 주신 직책과 권한 으로 이런 집회를 결정하며 교회의 유익을 위해서 필요하고 인정하는 대 로 자주 소집할 책임이 있다 .” 2 항 “ 노회와 총회들이 교역자의 입장에서 할 일은 … 호소를 받아 권위로 결정하는 것이다 .”
● 1903 년 2 개 조항 추가 및 비 성경적 수정판
미국 장로교회는 1729 년 판을 보존하지 못하고 알미니안주의의 교리 적 입장을 옹호하는 방식으로 대폭 수정하였다 . 1903 년 수정판은 16 장 7 항 , 22 장 3 항 , 25 장 6 항을 수정했고 , 신앙선언서를 추가하여 3 장과 10 장 3 항의 해석을 변경시켰으며 , 34 장 성령 , 35 장 선교 항목을 추가시켰 다 . 즉 1903 년 판은 신적작정과 예정론를 보편구원적으로 해석 할 것 , 유아로 죽은 모든 자들을 하나님의 선택의 은혜에 포함시킬 것과 , 중생
되지 않은 자들의 선행들을 적극적으로 평가할 것 , 그리스도의 대속을 모든 이들에게 충분한 구원이라는 수정적 표현으로 알미니안주의의 ‘ 만 인구원설적 ’ 입장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했다 .
이 일을 위해서 1901 년 총회는 두 번째로 위원회를 조직하여 신앙고 백수정을 위촉하였으며 원본의 수정이나 또는 신앙선언서를 만드는 방법 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면서 2 가지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다 .
1903 년에 포함된 선언문 (10 장 3 에 대한 유권적 해석임 ) 신앙고백 안에 있는 표현에서 얻은 어떤 추론에 대하여 교회가 부인할 뜻을 정식 으로 표현하였으며 , 계시된 진리의 어떤 부분이 현재에는 더 명백하게 표현하는 선언문이 필요하다고 교회가 정식으로 원하고 있으므로 미국 연합장로교회는 다음과 같이 유권적인 선언문을 발표한다 .
첫째 , 신앙고백서의 제 3 장에 관련하여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을 받은 사람들에 관하여 하나님의 영원하신 예정에 관한 교리는 모든 인류 에 대한 그의 사랑의 교리와 조화되는 것으로 이해하며 , 그의 아 들의 은사는 모든 인류의 죄를 위한 화해로 이해하며 , 그의 구원 의 은혜를 구하는 사람에게는 누구든지 주실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이다 .
멸망한 사람들에 관하여 하나님의 영원하신 예정은 , 하나님은 어느 죄인의 죽음을 원하시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사람에게 충분한 구원을 준비하셨고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고 복음 안에서 모든 사람에게 자유롭게 제공되어 있다는 것이다 . 그리고 사람은 하나님의 은혜로우신 제공을 어떻게 취급할 것인가 . 그것 은 전적으로 사람에게 있다 . 그리고 아무도 자기가 범한 죄 이외 의 죄 값으로 정죄를 받지 않는다는 것이다 .
둘째 , 신앙고백의 제 10 장 3 절에 관련하여 . 유아시절에 죽은 아이는 구원을 받지 못한다는 것을 가르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 유 아 시절에 죽는 모든 아이는 구원의 선택에 포함되어 있으며 , 성 령을 통하여 그리스도에 의해서 거듭나고 구원을 받는다고 우리는 믿는다 . 성령은 자기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일 하실 것인지 자신 이 원하는 대로 역사하신다 .
고쳐진 부분은 첫째로 16 장 7 항이다 . 1647 년 판 신조는 고귀한 사람 들의 선행일지라도 그것은 ‘ 죄 ’ 임을 분명히 하였다 . 그러나 1903 년 판은 중생 전 인간의 선행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할 수 있고 , 칭찬받을 수 있 는 것으로 바뀌었다 . 둘째로 22 장 3 항의 맹세에서 합법적인 권세에 맹세 하는 것은 성경적이라는 부분을 삭제하고 단지 자기가 충분히 설득 받은 것만을 서약해야 한다고 수정했다 . 셋째는 25 장 교회 부분이다 . 1647 년 판은 교황은 적그리스도로 규정했지만 1903 년 판은 교황은 단지 비성서 적이라고 유화적으로 수정했다 .
첨부한 부분은 첫째로 34 장 성령 항목이다 . 수정 전의 신조는 성령 항목을 따로 두지 않고 전체 항목에 스며들게 했으며 , 특히 구원론을 성 령론으로 이해했다 . 그러나 1903 년 판은 신앙고백서에 성령론이 약하다 는 경건주의적 성향을 가진 노회의 계속적인 요구를 수용하여 당시 일어 나고 있었던 신비주의적 성령운동을 수용하고자 했다 . “ 성령은 교인들에 게 다양한 은사와 은혜를 주신다 . … 성령은 교회가 드디어 지구를 덮을 때까지 교회를 보존하시고 늘어나게 하시며 순화시키시다가 결국에는 하 나님 앞에서 완전히 거룩하게 만드신다 .”
둘째 부분은 35 장 선교장이다 . 본 내용도 34 장과 마찬가지로 당시의 사회적인 배경과 문화에 절대적인 영향으로 신조에 추가 된 것이다 . 즉 당시 대 각성운동을 통해서 신비주의적 성령운동이 대대적으로 일어나면 서 이런 부흥운동이 전교회적으로 확산이 되었고 , 자연적으로 교회설립 의 필요성과 세계선교에 대한 새로운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 이것은 자연 적인 성령의 역사라기보다는 신비주의적 부흥운동을 모든 지역으로 전파 시켜 교회의 수를 확장시키려고 했던 의도에서 시작됐다 .
● 1 항 무한하시고 완전한 사랑가운데서 하나님은 주 예수그리스도의 중 보와 희생을 통하여 은혜의 언약 안에서 잃어버린 모든 인류에게 충 분하고 적합한 구원의 길을 마련하셨다 .
● 2 항 복음 안에서 하나님은 세상을 위한 그의 사랑과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을 것을 원하시는 그의 뜻이 선언되었다 .
● 3 항 참회도 하지 않고 불신에 머물러 있는 사람은 중대한 죄와 그 자신의 잘못으로 망하게 된다 .
● 4 항 모든 신자는 이미 질서가 확립되어 있는 기독교의 질서를지지 할 의무와 그들의 기도와 기부와 개개적인 노력을 통해 그리스도의 왕국을 온 세상에 확장하는 데 공헌을 해야 할 의무를 가지고 있다 .
이와 같은 수정에 대해서 워필드 등 대부분의 보수주의 신학자들은 반대를 표명했으며 특히 화란의 바빙크 (Herman Bavinck) 다음과 같은 심각 한 비판을 했다 .
“ 각각의 경우에 주목할 것은 개정 (1903 년 ) 이 결정된 2 년 후 1905 년 5 월에 이루어졌던 북장로교 일반대회에서 , 1770 년 각성운동으로부터 태 어났고 , 그들의 신앙고백에서 알미니안주의적 입장을 위하였던 컴벌랜드 장로교회와 교회연합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 미국에서도 개혁주의 교 회와 신학은 진지한 위기에 들어선 것이다 . 성경의 무오성 , 삼위일체 , 인 간의 타락과 무능력 , 제한된 구속 , 선택과 유기 , 영원한 형벌에 관한 교 의들은 은밀히 부정되거나 역시 공공연히 거절되고 있다 . 칼빈주의에 대 한 미래는 낙관적이지 않다 .”
결론적으로 말해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수정판에 대해서는 1729 년 판이 가장 성경적인 것으로 평가되며 , 1903 년 수정판은 알미니 안주의 입장을 수용한 것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
(4) 웨스트민스터 대요리문답 ( westminster larger catechism,1647)
대요리문답은 주로 성인과 목사의 교리교육과 설교에 도움을 주기 위 하여 작성되었다 . 특히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각 조항을 더욱 자세 하게 주석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그 가치가 매우 크다 . 대요리문답 의 작성에는 터크니 (Anthony Tuckney) 도 영향을 끼쳤지만 우셔 (James Ussher) 의 특징을 가장 많이 반영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그는 웨스트 민스터 회의에 참석하도록 두 번이나 초대를 받았으나 참여하지 못했다 . 그럼에도 총회의 신학자들은 우셔의 교리문답이 매우 훌륭하여 이것을 기초로 웨스트민스터의 대요리문답을 만들었다 . 특히 우셔의 율법에 대 한 이해 , 즉 도덕법으로서의 10 계명에 대한 특징은 칼빈의 신학에 기초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
이 대소요리문답에서는 교회 정치와 권징이 생략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이 요리문답서들은 1647 년 가을에 심사와 승인을 받기 위해 의회 로 보내졌으며 , 에딘버러 총회는 1648 년 7 월 20 일에 대요리문답을 7 월 28 일에는 소요리문답을 각각 승인하면서 이 두 요리문답서는 “ 하나님의 말씀과 일치하며 , 공인된 교리 , 예배 , 권징 , 교회 정치에 위배된 것이 전 혀 없다 .” 라고 선언했다 . 이 결정 사항은 1649 년 2 월 7 일 스코틀랜드 의 회에서 비준을 받기도 했다 .
전체 내용은 196 문으로 이루어진 문답형식이다 . 대소요리문답의 기본 적 특징은 1) 사도신경 , 2) 십계명 , 3) 주기도문 , 4) 성례의 4 개 형식을 기초로 만들었다 . 그러나 교리문답은 사도신경을 주석하지 않고 조직신 학 ( 성경론 , 신론 , 인간론 , 기독론 , 교회론 , 종말론 ) 의 체계를 따라서 배열 했다 . 대신 사도신경은 부록에 추가시켰다 . 조직신학 구조로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
● 1 문 – 6 문 : 서론
● 7 문 – 20 문 : 신론
● 21 문 – 35 문 ; 인간론
● 36 문 – 57 문 : 기독론
● 58 문 – 81 문 : 구원론
● 62 문 – 66 문 , 91 문 – 196 문 : 교회론
● 67 문 – 90 문 : 종말론
대표적인 특징 몇 가지를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 신앙과 예배와 교회정치원리로써 성경에 대한 강화이다 . 두 교리 문답은 성경론을 서두에 고백하면서도 성경론의 필연성을 강조하 기 위해서 서론격인 신인식 ( 하나님에 대한 질문 ) 에 대한 내용을 가장 앞에 두고 있다 . 이처럼 하나님에 관한 지식으로 출발하는 방식은 칼빈의 ‘ 기독교 강요 ’ 에 기초한 것이다 . 이 서론은 기독교 교리문답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서론으로 평가 될 정도로 표현력 이 매우 우수하다 .
1 문 : 사람의 제일 되는 가장 중요하고 고귀한 목적은 무엇인가 ? 답 : 사람의 제일 되며 가장 중요하고 고귀한 목적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것과 그분을 영원히 마음을 다하여 즐거워하는 것이다 .
서론격인 1 문을 제외하면 2 문에서 6 문까지 ( 소요리문답 2,3 문 ) 성경론의 기본적 내용을 신론 앞에 배치함으로써 논리적인 체계화 를 완성하였다 . 즉 성경은 “2 문 : 신구약 성경에 기재된 하나님의 말씀은 어떻게 우리가 그를 영화롭게 하고 즐거워할 것을 지시하는 유일한 규칙이다 .” 라는 답변처럼 신앙과 교회를 바르게 세워서 하 나님을 영화롭게 할 수 있는 유일한 원리로 나타난다 .
둘째 , 하나님 중심적 신앙관을 확립한 신론의 강화이다 . 하나님의 존재 (4 문 ), 삼위일체 (5-6 문 ), 신적작정 (7-8 문 ), 창조 (9-10 문 ), 섭리 (11 문 ) 등과 같이 조직신학적 용어들을 잘 체계화하여 신론에 대한 신앙의 정체성을 확립하였고 , 정확한 신학적 용어를 통하여 신앙 교육적인 효과도 높였다 .
(5) 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westminster shorter catechism,1647)
소요리문답은 대요리문답의 주제를 간략하게 정리해서 아이들의 교육 용으로 작성한 것이다 . 이 작업에는 캠브리지 대학의 부총장이요 신학교 수였던 터크니 (Anthony Tuckney) 의 공로가 컸다 . 또 대요리문답을 간략하 게 압축하고 세심하게 논리적인 답변을 구사한 것은 윌리스 (John Wallis) 목사였다 . 그는 1646 년 12 월 18 일 총회에서 서기로 임명되었고 , 터크니 와 더불어 소요리문답 작성을 맡은 소위원회에 임명되었다 . 1647 년 11 월 25 일 소요리문답서가 의회에 제출되었고 , 이듬해 1648 년 9 월 15 일에 승인을 받았다 . 이것은 다른 어떤 요리문답도 따르기 어려운 요리문답적 기술을 발휘한 역작으로 신학의 전 체계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대중 적인 형식으로 표현해 놓은 것이 큰 특징이다 .
소요리문답의 탁월성은 매우 높아서 당시 장로교회 , 회중교회 , 침례교 회 ( 칼빈주의적 ) 에서 채택하였다 . 백스터 (R. Baxter) 목사는 “ 내가 본 것들 중 최상의 요리문답이요 , 기독교 신앙과 교리를 가장 잘 요약해 놓은 요 리문답이며 , 정통사상을 가르치고 있는지를 시험해보기에 가장 적합한 요리문답이다 .” 라고 언급하며 김의환 교수는 “ 대소요리문답은 기독교의 중요 교리서인바 성경을 체계적으로 요약한 성경 골자의 요약 , 칼빈주의 교리의 완숙한 표현 , 개혁주의 신학의 집약이다 .” 라고 극찬한다 .
소요리문답의 전체 내용은 107 문의 문답형식이다 . 각 주제는 1) 사 도신경 , 2) 십계명 , 3) 성례 , 4) 주기도문 4 개 구조이며 , 대요리문답처럼 사도신경의 각 항목을 순서적으로 배열하지 않고 조직신학적인 논리적 구조로 바꿨다 . 이런 구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 1 문 – 3 문 : 성경
● 4 문 – 12 문 : 하나님
● 13 문 – 20 문 : 인간
● 21 문 – 28 문 : 예수 그리스도
● 82 문 – 87 문 : 구원론
●88 문 – 107 문 : 교회론
37 문 , 38 문 ; 종말론
세부적 특징으로는 신적작정과 예정론 부분을 구별된 항목으로 강화 시켰고 , 성경론에 대한 위치를 강화했으며 , 인간론에 있어서 죄론을 체계 적으로 정리를 했으며 , 구원론을 논리적으로 배열했고 , 교회론의 내용을 보충했다 . 다만 당시 교회정치에 대한 심각한 논쟁과 어린이 교육을 위 한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맹세 , 국가 , 결혼 , 권징 , 총회에 대한 세부 항목들은 생략하였다 .
12. 스위스의 종교개혁
(1) 일치 신조 (Helvetic Consensus Formula, 1675)
이 신조는 프랑스에서 발전하던 소우물 학파의 신학의 오류를 비판하 고 개혁파 정통주의의 입장을 확립시켰다 . 이 학파는 라무스주의를 채택 하여 정통주의를 비판했던 카메론의 신학사상의 영향을 받아 카펠 , 플레 이스 , 그리고 아미로의 신학사상을 중심으로 형성됐다 .
카펠은 1624 년 ‘Arcanum punctationis revelatum’ 을 저술하여 정통주 의자들이 주장하던 맛소라 사본의 모음점의 영감설을 부정하며 새로운 본 문비평방법론을 채택했다 . 종교개혁 이후에 신학에서 최고의 권위의 문제 를 둘러싸고 로마 가톨릭과 종교개혁자들 간에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다 .
트렌트 종교회의 이후 벨라르민은 1581-1593 년 사이에 ‘Disputationes de controversis christianae fidei adversus sui temporis Haereticos’ 를 저술하여 맛소라 사본보다 로마 가톨릭의 불가타 성경이 더 권위가 있다 고 주장하였다 .
이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서 개혁파에서 폴라누스가 제일 먼저 1617 년 에 ‘Syntagma theologiae christianae’ 에서 모음점이 모세와 선지자들에 대한 원래의 계시에 속한다고 주장하였고 그 이후에 벅스톨프 (Buxdorf) 가 1620 년에 ‘Tiberias sive commentarius Masorethieus’ 라는 책을 써서 모음점의 영감을 주장하였다 . 이렇게 로마 카톨릭의 교리를 반박하며 종 교개혁자들의 오직 성경 (sola scriptura) 의 원리를 확립하려고 노력했다 . 그 리하여 튜레틴 (F. Turretin) 을 중심으로 1669 년에 바젤의 훔멜 (Hummel) , 샤프하우젠의 오트 (Ott) , 바젤의 게른너가 바덴에서 만나 스위스 일치신 조 작성을 결정하였다 .
그러나 이러한 신조작성 움직임에 대해 코케이우스주의를 포함하여 조금이라도 이단 혐의가 있는 모든 교리를 반대하자는 보수적인 입장과 신조작성 자체를 반대하는 자유주의적 입장이 있었으나 , 결국 소우물 학 파의 견해만을 반대하는 신조를 작성하기로 결정했다 . 그리하여 스위스 의회는 1674 년 6 월에 이르러 신조작성을 명령했고 스위스 일치신조는 취리히의 하이데거를 중심으로 작성되었다 . 이 신조는 1675 년에 작성되 어 취리히에서 제일 먼저 채택되었고 , 제네바에서는 소우물 학파의 신학 사상을 지지하는 사람들의 반대로 제일 늦게 1679 년에야 채택되었다 .
전체 내용은 26 개 항목으로 구성했다 . 이 26 개 항목들은 바로 소우 물 학파의 대표적인 학자들인 카펠 , 플레이스 , 그리고 아미로의 신학사상 들의 오류를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개혁파 정통주의의 신학사상을 제시하 였다 . 전체적으로 볼 때 26 개 항목 가운데 처음의 세 항목은 카펠의 본 문 비평을 비판하였고 , 다음으로 4-9 항목과 13-25 항목까지는 아미로의 교리들의 오류를 지적하였으며 , 10-12 항목은 플레이스의 교리의 잘못된 것을 분석하고 정통주의 교리를 밝혔다 .
이렇게 볼 때 이 신조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비판한 것은 아미로의 신 학사상이다 . 이것은 당시에 아미로의 사상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 었고 , 개혁파 정통주의의 가장 핵심적인 항목 가운데 하나인 예정론 , 속죄 범위 , 그리고 인간론 등의 포괄적인 내용을 부정하였기 때문이었다 . 각 장의 세부항목은 다음과 같다 .
● 1 장 성경
● 2 장 , 3 장 영감론
● 4 장 선택
● 5 장 그리스도까지 선택 대상
● 6 장 보편속죄 부정
● 7 장 창조
● 8 장 -10 장 행위계약
●11 장 , 12 장 원죄
● 13 장 –15 장 중보자
● 16 장 보편속죄 비판
● 17 장 –21 장 부르심
● 22 장 , 23 장 믿음
● 24 장 , 25 장 은혜언약
● 26 장 교회 및 결의문
< 참고 > 영국의 기독교운동
여기서 소개하는 7 개의 영국 교회 신조는 개혁교회의 전통적 신조는 아니다 . 다만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 이 나오기까지 영국 교회의 신조의 흐름을 이해하도록 그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 각각의 7 개 신 조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루터파의 입장에 따라서 변형되었으며 중도적 입장을 취하는 성공회적인 형식으로 많이 기울었던 것이 특징이다 .
(1) 10 개 신조 ( 헨리 8 세 교리문서 , 1536)
헨리 8 세 때에 가디너 ( 구학파 ), 크랜머 ( 신학파 ) 의 절충한 작품이다 . 헨리 8 세는 교황 3 세의 만투아 회의 에 앞서 자신의 정치적 독립을 목적 으로 독일 지역의 기독교 연합회의 ( 비텐베르그 회의 ) 에 도움을 요청 하 는 사절을 파송했다 . 이 시기에 영국 은 비텐베르그 신조를 수입했고 , 이 것에 기초해서 자신들의 신조를 만 들었다 . (그림 설명, 영국 교회가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결별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던 영국 헨리 8세와 그의 6명의 왕비들)
● 성경과 고대신조들 인정
● 유아세례
● 고해성사
● 화체설
● 칭의
● 성자와 마리아 찬송
● 형상 인정
● 성자들에게 기도
● 의복 , 성수 , 촛불 , 재 뿌림
● 연옥 . 수장령 고백 , 로마교의 내용 절충
(2) 13 개 신조 (1538)
영국은 정치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 독일의 도움을 요청하면 서 루터파와 신앙의 절충을 시도하였다 . 따라서 이 신조는 ‘ 아우구스부르 그 신조 ’ 와 비슷한 성격을 갖는다 .
● 하나님의 통일성 , 삼위일체
● 원죄
● 이성 일인격
● 이신칭의
● 교회
● 세례
● 성찬
● 사죄
● 성례의 시행 ( 공재설 수용 ),
● 목사
● 교회의식
● 사회생활 ,
● 부활 , 최후 심판
(3) 6 개 신조 (1539)
헨리 8 세는 정치적 기반을 새롭게 구성하기 위해서 가디너와 크랜머 를 배제시키고 전적인 로마 가톨릭교회 입장을 따라서 개혁교회를 핍박 하는 새로운 신조를 작성하였다 . 이것은 ‘ 피의 신조 ’ 또는 ‘ 여섯 개의 줄 이 달린 채찍 ’ 이라고 할 정도로 비 개혁적이다 .
● 화체설
● 성찬 시 떡과 잔 중 한 가지만 주어도 타당함
● 목사의 독신주의
● 순결서약
● 개인적 미사
● 고해성사와 이종배찬 금지
(4) 제 1 기도서 (1549)
에드워드 6 세는 정치적 혼란을 없애기 위해서 크랜머의 도움을 통하
여 개혁교회와 로마 가톨릭교회의 혼합적 신앙고백서를 작성하였다 . 이 기도서는 부처와 베르미글리에게 심각한 비판을 받았다 . 주된 내용은 성 경 읽기 , 잔 분배 , 죽은 자를 위한 기도 , 축귀 , 종유 등이다 .
(5) 제 2 기도서 (1552)
에드워드 6 세는 제 1 기도서가 많은 비판을 받자 크랜머를 통해서 좀 더 발전적인 고백서를 만들고자 했지만 , 여전히 로마 교회적인 내용 이 제거하지 못했다 . 새로운 내용은 성례전에서 영적 임재설 수용 , 목사 의복 금지령 , 성찬식 때 무릎 꿇기 요구 등이다 .
(6) 42 개 신조 (1552)
에드워드 6 세는 개혁교회의 끊임없는 신앙고백의 개정 요구에 따라서 크랜머를 통하여 새로운 신조를 작성하였으며 , 이때는 낙스에게 조언을 요청하기도 했다 .
1) 삼위일체 , 2) 성육신 , 3) 지옥강하 , 4) 그리스도의 부활 , 5) 성경의 충족성 , 6) 구약의 필요성 , 7) 3 개의 신조 , 8) 원죄 , 9) 자유의지 , 10) 은 혜 , 11) 칭의 , 12) 칭의 이전 행위 , 13) 공로 , 14) 예수님의 무죄 , 15) 죄 , 16) 성령훼방 죄 , 17) 예정 , 18) 영생 , 19) 도덕법 , 20) 교회 , 21) 교회의 권위 , 22) 총회 , 23) 연옥 , 24) 목사 , 25) 바른 언어 사용 , 26) 성례 , 27) 목사 안수 , 28) 세례 , 29) 성찬 , 30) 속죄의 완전성 , 31) 목사 의 독신제도 , 32) 출교 , 33) 교회의 전통 , 34) 설교 , 35) 찬송가와 의식 서 , 36) 행정관리 , 37) 사유재산 , 38) 맹세 , 39) 부활 , 40) 사후 영혼 ( 수 면설 반대 ), 41) 천년왕국 배격 , 42) 제한속죄 ( 보편구원 배격 )
(7) 39 개 신조 (1563)
엘리자베스 1 세 때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개혁교회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혁교회의 입장을 수용한 신조를 1571 년에 여왕이 승인하였다 . 작성자는 대주교 파커 , 엘리의 콕스 감독 , 로체스터의 게스트 감독 등이 참여했으며 대부분이 42 개 신조와 동일하고 , 해결하기 어렵고 논쟁의 주 제가 되는 내용들은 언급을 회피하였다 . 특히 42 개 신조에서 제외된 부 분은 16), 19), 39), 40), 41), 42) 등이다 . 이러한 내용을 배제한 ‘39개 신조 ’ 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1 조 - 5 조 : 삼위일체에 관한 교리들
● 6 조 - 8 조 : 성서와 신경에 관한 교리들
● 9 조 - 18 조 : 구원에 관한 교리들
● 19 조 - 24 조 : 교회에 관한 교리들
● 25 조 - 32 조 : 성례전에 관한 교리들
● 33 조 - 39 조 : 그 밖의 교리들
< 참 고 > 스코틀랜드와 영국의 신조역사에 대한 연도별 요약
1637 찰스 1세 왕이 감독제를 부활시키기 위해서 영국교회 기도서를 로오드 주교를 중심으로 스코트 랜드 개혁교회에 강요, 퍼스 5개 조항과 주일 스포츠 선언 법령으로 영국의 청교도들도 핍박함. 1638 스코틀랜드 개혁교회는 “국민언약”결성 및 저항, 감독제를 비성경적으로 평가하고 장로정치를 확립하기로 결의함.
1640 찰스 1세는 스코틀랜드 개혁교회와 갈등을 일으켜 시민전쟁을 일으켰고, 이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영국의회(1639년 단기의회,1640년 장기의회, 20년)를 소집 도움 요청, 의회는 왕의 요청 거절. 1643.6.12 왕은 의회를 해산함, 그러나 의회 자체적으로 모임을 개최하고 교회총회 소집법령이 의회에서 최종적으로 통과되어 총회를 소집함. 처음 10주 동안 기존의 39개 신조를 성경적으로 수정해 줄 것을 요청.
1643.7.1 양국의 개혁교회 목회자를 중심으로 총회가 웨스트민스터 교회에서 공식적으로 첫 모임을 가짐. 윌리암 트위스가 의장.
1643.9.25 영국의회는 스코틀랜드와 정식으로 ‘엄숙한 동맹과 언약’을 맺어 장로정치를 중심으로 양 국이 공통적인 신앙고백, 교회정치제도, 예배의식을 확립하여 로마 가톨릭제와 감독제를 개혁하기 로 결의함.
1643.10.12 양국의 신앙을 대표할 새 신조를 작성하기로 결의하고 총회에 요청. 1644.5.24 안수문제를 다룬 예배모범의 초안이 의회에 제출(예배모범). 1644.8.20 신앙고백서 작성을 위하여 소위원회가 임명됨.
1644.12.11 장로정치를 중심으로 하는 교회정치양식을 의회에 보냄(정치모범). 1645.1.3 하원 의회가 예배모범을 공적으로 인준함. 1.23. 정치모범 인준. 1646.12.4 신앙고백서가 완성되어 의회에 제출함(33조항).
1647.2 영국 상원에 통과, 4. 29. 신앙고백서에 각 조항의 성경구절을 추가하여 하원에 제출함. 1647.8.27 신앙고백서가 스코틀랜드 교회의 총회에서 공적으로 인준됨. 영국교회는 정치적 혼란으로 보류됨. 11월 이후에는 스코틀랜드 대표들이 본국으로 돌아감.
1647.10.22 대요리문답서가 의회에 제출됨.
1647.11.25 소요리문답서가 의회에 제출됨.
1648.4 14 요리문답서들를 수정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의회에 제출함.
1648.6.3 의회는 결혼 부분을 제외시키고, 20장 4항, 24장 4,5,6항, 30장, 31장 수정 후 수용함(의회가 총회 소집권과 교회치리권 소유로 수정).
1648.12 총회 초기는 크롬웰을 중심으로 의회파가 우세했지만 의회파와 왕당파와의 갈등은 지속 됨. 회중정치를 옹호하는 크롬웰 군대가 의회를 점령하면서 장로정치제도 수용을 거부하기도 함. 이런 혼란으로 영국에서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이 초기에 공적 인준을 받지 못함.
1649.1.30 의회는 찰스 1세를 처형 한 후 2월 22에 총회회의의 최종적인 공식집회를 가짐.
1652.3.25 20년의 장기의회가 해산됨.
1660 의회파가 해산되고 왕당파 중심으로 왕정복귀, 감독제를 표방하는 감독파들이 주도함.
1688 명예혁명.
교리적 쟁점으로 인한 한국장로교 분열
분열 차수 및 시기 | 분열 내용 | 주요 쟁점 |
제 1차 분열 1952 | 고신의 분립 | 신사참배 |
제 2차 분열 1953 | 예장과 기장의 분열 | 신학적 노선 |
제 3차 분열 1959 | 통합과 합동의 분열 | WCC가입 |
< 참고 > 대한예수교 장로교 12신조
1907 년 한국의 4 대 장로 교회파 ( 북장로교 , 남장로교 , 호주 , 캐나다 장로교 ) 는 장로교회의 연합을 이룩하기 위해서 독노회 조직하고 인도 장 로교회의 12 신조를 서언만 바꾸고 나머지는 그대로 채용했다 . 또한 인도 장로교회의 12 신조는 1890 년에 작성된 영국 장로교회의 24 개 신조를 요약한 것이다 .
이 신조는 한국장로교회가 개혁교회의 역사적 전통을 따라서 선교 초 기부터 신조를 교회교육의 토대로 확립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 . 또 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대소요리문답은 서언에 고백하고 비록 교회 의 공적승인은 아니지만 신학교에서 수용하고 교육해야 할 중요한 책임 과 의무가 있는 중요한 것임을 언급했다 .
총회를 통한 공적승인은 1963 년 합동측 , 1968 년 통합측 , 1972 년 고 신측 , 1974 년 대신측 등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 신조의 중요성과 기초교 리들은 잘 소개되었지만 장로정치를 중심으로 하는 교회정치 , 성경의 영 감론 , 이중예정론에 기초한 신적작정 , 부활론 등이 제외된 아쉬움이 있 다 . 전체 구성은 12 장이다 .
● 1 장 : 성경
● 2 장 : 하나님
● 3 장 : 삼위일체
● 4 장 : 창조
● 5 장 : 인간
● 6 장 : 죄
● 7 장 : 예수 그리스도
● 8 장 : 성령
● 9 장 : 구원
● 10 장 : 성례
● 11 장 : 신자의 생활
● 12 장 : 내세
---------------------------각 주--------------------------
(*) 편집 / 정은표 목사 / 참고자료 ‘개혁교회를 위한 신조 연구’(신원균 교수)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