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단계는 자율주행차의 기술적 발전 수준을 정의한 체계로, 국제자동차공학회(SAE,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가 정립한 SAE 자율주행 레벨을 기반으로 합니다. 총 6단계(레벨 0~레벨 5)로 나뉘며, 각각의 단계는 자율주행 시스템이 얼마나 많은 제어를 수행하고, 운전자가 얼마나 개입해야 하는지를 기준으로 나뉩니다.
SAE 자율주행 단계
레벨 0: 비자동화 (No Automation)
정의: 차량의 모든 제어를 운전자가 수행.
기능: 경고 시스템(예: 충돌 경고, 차선 이탈 경고)은 있지만, 차량 제어에는 관여하지 않음.
운전자의 역할: 모든 상황에서 완전한 제어.
예시: 기존의 비자동화 차량.
레벨 1: 운전자 보조 (Driver Assistance)
정의: 특정 상황에서 차량의 **일부 제어(조향 또는 가속/감속)**만 지원.
기능: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ACC): 차량 간 거리 유지.
차선 유지 보조(Lane Keep Assist).
운전자의 역할: 지속적으로 차량을 모니터링하며, 필요 시 제어.
예시: 일부 고급 차량의 기본 지원 기능.
레벨 2: 부분 자동화 (Partial Automation)
정의: 특정 조건에서 차량이 조향과 가속/감속을 모두 제어.
기능:
고속도로 주행 보조.
차선 유지와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동시 작동.
운전자의 역할: 차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즉각 개입.
예시: 테슬라 오토파일럿, 현대의 HDA(Highway Driving Assist).
레벨 3: 조건부 자동화 (Conditional Automation)
정의: 특정 조건(예: 고속도로)에서 차량이 완전한 주행 제어를 수행. 운전자는 특정 상황에서만 개입.
기능:
차량이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장애물을 피하며, 속도 조절.
특정 조건에서만 운전자가 개입 준비.
운전자의 역할: 시스템 요청 시만 개입.
예시: 혼다 레전드(Level 3 인증).
레벨 4: 고도 자동화 (High Automation)
정의: 특정 지역(지오펜스)에서 차량이 운전자의 개입 없이 모든 상황을 처리.
기능:
차량 스스로 주행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대응.
특정 구역(예: 도심 내 제한된 구역)에서 완전 자율주행 가능.
운전자의 역할: 지정된 지역 외에서는 운전 필요.
예시: 자율주행 셔틀, 특정 지역 내 자율주행 택시.
레벨 5: 완전 자동화 (Full Automation)
정의: 모든 환경에서 차량이 스스로 주행, 운전자의 개입이 전혀 필요 없음.
기능:
인간의 도움 없이 모든 도로 및 조건에서 완전한 자율주행.
스티어링 휠, 페달 등 운전 제어 장치가 필요하지 않음.
운전자의 역할: 없음.
예시: 이론상 가능한 수준이며, 아직 상용화되지 않음.
자율주행 단계 비교
자율주행의 현재와 미래
1. 현재 기술 수준
대부분의 상용 차량은 레벨 2에 머물러 있으며, 일부 모델은 제한적인 레벨 3 기능 제공.
2. 미래 기술 전망
레벨 4와 5는 복잡한 도심 환경에서의 완전 자율주행 구현을 목표로 연구 및 테스트 중.
AI, 5G, IoT와 같은 기술 발전이 자율주행 기술의 완성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
자율주행 기술은 인공지능, 센서, 통신 기술의 융합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미래 교통 시스템의 핵심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