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1. 품종선택 |
|
시설재배는 노지에서 거의 생산되지 않는 시기에 출하 하여야 유리하므로 무가온재배 품종은 노지에서 7월하순 이전에 수확되는 품종, 가온재배는 8월 상순 이전에 수확되는 품종을 선택 하여야 한다. 표 1은 우리나라에서 시설재배의 가능성이 높은 품종으로서 이중 실제 재배된 품종은 암킹 등 천도 계통, 백미조생, 창방조생, 사자조생 등이다. 일본의 경우 초기 단계의 품종은 숙기 촉진 효과가 높은 포목조생, 사자조생, 창방조생 등의 품종이 주축을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과중 200g 이상, 당도 12~14%, 꽃가루가 있는 품종 등으로 바뀌고 있으며 주요품종은 무정백봉, 일천백봉, 팔번백봉, 가납암백도, 천간백도 등 백봉계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일부분의 품종에 대해서만 재배가 검토되었기 때문에 재배자는 만개에서 수확까지의 일수, 과실품질, 수량성(단보당 2톤 이상), 착색정도, 꽃가루 유무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품종을 선택해야 한다.
|
|
표 1. 복숭아 시설재배용 품종의 특성 |
품 종 |
과 중(g) |
당 도(°bx) |
수확기 |
꽃가루 량 |
백 미 조 생 포 목 조 생 무정조생백봉 사 자 조 생 일 천 백 봉 창 방 조 생 월 봉 조 생 팔 번 백 봉 가납암 백봉 천 곡 백 봉 도 백 봉 아 카 쯔 끼 |
180 180 250 200 200 230 230 200 230 250 220 250 250 |
11.8 10.2 9.8 10.6 12 10.6 10.6 12 12 12 13 13 13 |
6월하순 7월상순 〃 7월중순 〃 7월하순 〃 〃 〃 8월상순 〃 〃 〃 |
다 중 다 무 다 극소 극소 다 다 다 다 다 다 |
|
|
2. 재배작형 |
|
복숭아의 재배 형태는 가온여부와 비닐피복시기에 따라 가온재배, 무가온재배, 비가림재배로 나눌 수 있다. 이중 가온재배와 무가온재배는 노지의 출하시기와 경합되지 않는 시기에 출하될 수 있게 비닐피복 시기를 결정해야 한다. 비닐피복시기 결정은 만개에서 수확기까지의 성숙 일짜를 참고로 하는데 조생종이 60~90일, 중생종이 90~110일, 만생종이 110일 이상이다. 복숭아의 휴면은 12월 중하순에 타파되므로 가온재배는 이 시기가 지난 후에 가능하며 비닐피복 전부터 충분히 물주기를 하고 바닥 비닐멀칭으로 지온을 상승시킨 후에 점차적으로 가온을 한다. 무가온 재배의 피복시기는 대개 2월 중·하순 이후에 가능하며 비닐피복시 유의할 점은 밤의 온도를 적극적으로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기습적인 저온으로 인해 동상해를 받을 우려가 있으므로 비닐을 2~3중으로 설치하고 바닥에 축열 물주머니를 50% 내외 설치하면 야간온도를 3~4℃ 상승시켜 매우 효과적이다. 복숭아의 생육기간중 가장 저온피해가 심한 때는 개화기에서 과실비대초기로 -2℃ 이하 온도에서는 동해의 위험이 크므로 주의를 해야 한다. 작형 설정시 주의할 점은 한 작형에 치중하여 재배하는 것 보다는 산지별 출하량과 출하시기, 시장성 및 노동력 배분 등을 고려하여 작형을 세분화하여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
|
|
 |
|
축열물주머니 설치(지면 50% 이상), 2중 비닐피복 |
|
그림 1. 복숭아 무가온 하우스재배의 피복 초기의 모습
|
|
표 2. 무가온 하우스재배에 의한 품종과 비닐피복시기별 과실특성 (1990, 나주배연) |
품 종 |
피복시기 (월. 일) |
과 중 (g) |
당 도 (°bx) |
산함량 (%) |
경 도 (kg/5mmø) |
연화정도 |
핵할정도 |
백미조생 |
2. 15 3. 15 노지 |
174 171.7 155.3 |
12 10.1 8.8 |
0.21 0.18 0.2 |
0.67 0.73 0.64 |
약 약 약 |
100 100 100 |
사자조생 |
2. 15 3. 15 노지 |
254.7 266.7 244 |
10.3 9.7 7.3 |
0.26 0.24 0.27 |
1.87 1.65 1.45 |
중 중 중 |
85 75 100 |
창방조생 |
2. 15 3. 15 노지 |
273.8 260.2 218.2 |
10.4 9.8 6.7 |
0.27 0.24 0.42 |
1.99 1.95 1.64 |
중 중 중 |
80 60 100 |
|
|
3. 작형에 따른 온 · 습도 관리 |
|
시설재배의 온도관리는 기본적으로 노지의 생육단계별 온도를 근거로하여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비닐피복 초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지면(地面)에 백색 pe필름을 피복해서 조기에 지온을 상승 시켜야 한다. 개화기는 온도 관리에 가장 주의를 요하는 기간으로 낮의 온도가 25℃를 넘지 않게하여 수정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개화기 이후 과실비대 초기까지는 고온과 저온의 온도교차가 크면 돌출과(突出果) 등의 기형과가 많이 발생하므로 주의를 요한다. 과실비대 후기인 5월 초에는 낮의 온도가 28℃를 넘지 않게 곡부환기 및 환풍기를 작동 한다. 또한 밤온도가 15℃이상되는 5월 중 · 하순에 이중비닐을 제거하고 6월 이후에는 천정비닐만 비가림 형태로 남겨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피복 전후에 충분한 물주기(분수호스 사용, 3~4시간)를 하여 뿌리의 활동을 촉진하고 바닥 비닐 밑에 분수호스를 반드시 설치 해 주어야 한다. 이후 개화기 전후에 물주기를 일시 중단하여 잿빛곰팡이병을 예방하고 지나치게 건조하지 않도록 한다. 과실비대기 이후부터는 일찍 과실이 커질 수 있도록 물주기를 늘린다. 또한 수확 15~20일 전부터 관수를 중단하여 당도를 높인다. 이 시기에는 장마가 올 가능성이 높으므로 빗물이 하우스내로 들어오지 않도록 한다.
|
|
표 3. 복숭아 무가온 하우스재배 숙기표(나주배연)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