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는 소리를 듣는 청각장치와 여기에 몸의 평형을 유지하는 전정장치가 딸려있는 특수감각기관의 하나이다. 귀는 소리를 모으는 바깥귀, 공기의 진동(음파)을 기계적인 진동으로 바꾸어 주는 가운뎃귀와 기계적인 진동을 액체의 진동으로 바꾸어 주는 속귀의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바깥귀는 귓바퀴와 외이도의 두 부분으로 다시 구분된다. 귓바퀴는 소리를 모으로 다시 그것을 외이도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외이도는 귓바퀴에서 모은 음파를 두개골 속에 있는 가운뎃귀로 유도해 주는 길이 약 2.5 cm 가량의 통로로서 속의 벽은 모두 피부에 의해 덮여 있다. 외이도의 입구 가까운 곳인 외측 1/3 부분의 벽 내부는 귓바퀴의 연골과 연속된 연골로 되어 있고 깊은 속인 내측 2/3는 벽이 뼈(측두골)로 되어 있어 이 곳의 피부는 벽을 이루는 뼈의 골막에 붙어 있다.
가운뎃귀는 측두골 속의 한 공간으로서 공기로 차 있다. 가운뎃귀는 고막에 의해 바깥귀의 외이도와의 사이가 막혀 있고 내측은 속귀로 이어진다. 아래로는 중이관을 통해 코인두와 교통이 되며 뒤로는 벌집 모양의 유돌벌집으로 교통하는 길이 있다. 중이관은 보통 때는 닫혀 있으나 하품을 할 때에 순간적으로 열리며 목 속을 통해 들어간 공기로 고막 안팎의 기압차를 조정한다. 가운뎃귀는 고실이라고도 불리어지며 그 속은 모두 점막으로 덮여 있다. 고실은 한 가운데에 세 개의 작은 고실뼈가 가로 질러 있다. 고실뼈는 바깥쪽에서부터 망치골, 모루골, 등자골의 순서로 놓여 있는데 뼈 사이가 관절로서 연결되어 있다. 가장 큰 망치골은 한쪽 끝이 고막에 붙어 있고 두번째 모루골은 망치골에 관절하는 한편 다른 끝은 셋째 고실뼈인 등자골과 관절한다. 등자골은 속귀로 면한 작은 타원형의 전정창에 접해 있다. 전정창 바로 밑에 있는 원형의 달팽이창은 제2고막이라고 불리우는 막에 의해 덮여 있다. 고실뼈는 고실뼈의 한쪽 끝에 붙어 있는 고막의 진동을 다른 한쪽 끝에 있는 고실뼈를 통해 속귀로 전달하며 소리의 진동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속귀는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전정과 반고리관, 청각기능을 담당하는 달팽이관의 세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속귀의 구조는 매우 복잡하게 되어 있어 흔히 미로라고 하며 세 부분 모두 바깥은 뼈로 되어 뼈미로라고 불리우고 있다. 뼈미로 안에는 바깥림프가 차 있고 그 속에 막미로가 떠 있따. 뼈미로와 막미로는 그 구조가 비슷하나 막미로가 훨씬 작다.
음파가 귀에 들어와 청각으로 느껴지기까지는 여러 구조물들을 복잡하게 거치게 되지만 기본적인 원리는 비교적 간단하다. 즉 공기의 진동이 기계적 진동으로 바뀌고 이것이 다시 액체의 진동으로 바뀌며 마지막으로 신경자극으로 바뀌어지는 단계적 변화인 것이다. 바깥귀에서 가운뎃귀, 속귀에 이르는 여러 부분의 갖가지 구조물은 모두 이러한 단계를 바꾸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이 중 어느 하나만이라도 기능에 장애를 받으면 곧 청각에 지장을 가져오게 된다.
일반적으로 높은 소리는 달팽이의 바닥 가까이 즉 전정창과 달팽이창에 가까운 곳에서 감지되고 낮은 소리는 달팽이의 꼭대기 가까이 즉 달팽이구멍 가까이에서 감지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코오티기관의 털세포에서 액체의 진동이 신경자극으로 바뀌게 되면 이 코오티기관의 털세포에 와 있는 달팽이신경 섬유를 타고 신경자극은 전도되어 대뇌피질의 청각중추에 이르러 소리로서 감각된다.
평형감각은 전정과 세 개의 반고리관에서 받아 들여지는 감각이다. 즉 전정에 있는 막미로의 한 팽대된 부위인 원형주머니와 타원주머니는 그 속에 감각을 받아들이는 세포와 작은 탄산칼슘의 미세한 과립인 평형모래를 간직하고 있어 머리를 움직이게 되면 이 평형모래가 움직이게 되어 있다. 평형모래의 움직임은 곧 세포를 자극하고 이 자극은 신경자극으로 바뀌어 몸의 정적평형을 유지하는 것을 돕게 된다.
세 개의 반고리관은 달팽이의 뒷편에 자리잡은 세 개의 반원 고리 모양을 한 막미로 부분을 말하는데 몸의 가속과 감속에 따라 반고리관 속의 속림프의 흐름이 나타나고 이 흐름은 반고리관의 팽대 속에 있는 감각 수용세포를 자극하여 신경자극으로 바꾸어 준다. 이 자극은 몸의 동적평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