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nglish is fast becoming the world's universal language, and instant translation technology is improving every year.
영어는 빠르게 세계 공용어가 되어가고 있으며, 즉석 번역 기술은 매년 발전하고 있습니다.
So why bothe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Linguist and Columbia professor John McWhorter shares four alluring benefits of learning an unfamiliar tongue.
⁑both·er [bάðǝr/bɔ́ð-] vi.① 《~/++》 심히 걱정하다, 근심〔고민〕하다, 걱정하다 ② 《+to do/+-ing》 일부러 …하다, …하도록 애쓰다
ᛜal·lur·ing [ǝlú(ː)riŋ] ɑ.유혹하는, 매혹적인(fascinating).
그렇다면 왜 외국어를 배우려고 애를쓸까요? 언어학자이자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인 존 맥워터가 낯선 언어를 배울 때 얻을 수 있는 네 가지 매력적인 이점을 소개합니다.
The language I'm speaking right now is on its way to becoming the world's universal language, for better or for worse.
내가 지금 말하고 있는 언어는 좋든 나쁘든 세계의 보편적인 언어가 되기 위한 길을 가고 있습니다.
Let's face it, it's the language of the internet, it's the language of finance, it's the language of air traffic control, of popular music, diplomacy --
English is everywhere.
Let's face it 사실을 직시하자, 터놓고 보자; 솔직히[까놓고] 말해서(frankly)
솔직히 말해서 영어는 인터넷의 언어, 금융의 언어, 항공 교통 관제, 대중 음악, 외교의 언어이고 이렇게 어디에나 존재합니다.
Now, Mandarin Chinese is spoken by more people, but more Chinese people are learning English than English speakers are learning Chinese.
지금 중국표준어는 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지만 중국어를 배우는 영어 사용인 보다 영어를 배우는 중국인들이 더 많습니다.
Last I heard, there are two dozen universities in China right now teaching all in English.
English is taking over.
내가 알기로는 현재 중국에는 20개 이상의 대학에서 모두 영어로 가르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영어가 장악하고 있습니다.
And in addition to that, it's been predicted that at the end of the century almost all of the languages that exist now -- there are about 6,000 -- will no longer be spoken.
또한 세기 말에는 현재 존재하는 거의 모든 언어—약 6,000개가 있는데-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도 있습니다.
There will only be some hundreds left. And on top of that, it's at the point where instant translation of live speech is not only possible, but it gets better every year.
머지않아 수백 개만 존재할 것입니다. 게다가 실시간 음성의 즉각적인 번역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매년 더 좋아지고 있는 시점에 와 있습니다.
The reason I'm reciting those things to you is because I can tell that we're getting to the point where a question is going to start being asked, which is: Why should we learn foreign languages -- other than if English happens to be foreign to one?
*re·cite¹ [risáit] vt.①암송하다 ② 음창(吟唱)〔낭송〕하다.③ 이야기하다상술하다, 열거하다
제가 이러한 내용을 여러분에게 열거하는 이유는 이제 질문이 시작될 시점에 이르렀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우리는 왜 외국어를 배워야 할까요?--영어가 외국어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말이죠
Why bother to learn another one when it's getting to the point where almost everybody in the world will be able to communicate in one?
전 세계 거의 모든 사람이 하나의 언어로 소통할 수 있는 시대가 다가오는데 굳이 다른 언어를 배우려고 애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I think there are a lot of reasons, but I first want to address the one that you're probably most likely to have heard of, because actually it's more dangerous than you might think.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여러분이 가장 많이 들어보셨을 만한 이유를 먼저 말씀드리고 싶은데요, 사실 생각보다 더 위험하기 때문입니다.
And that is the idea that a language channels your thoughts, that the vocabulary and the grammar of different languages gives everybody a different kind of acid trip, so to speak.
That is a marvelously enticing idea, but it's kind of fraught.
ácid trìp 《美俗》 LSD에 의한 환각 체험.
so to speak 말하자면
en·tíc·ing ɑ.마음을 끄는, 유혹적인; 매혹적인.
fraught [frɔːt] ɑ.…을 내포한, …이 따르는, 《英俗》 위험한(risky).
언어가 생각을 전달한다는 생각, 즉 말하자면, 다른 언어의 어휘와 문법이 모든 사람에게 다른 종류의 환각체험을 제공한다는 생각입니다. 놀랍도록 매력적인 발상이지만 다소 위험하기도 합니다.
So it's not that it's untrue completely.
So for example, in French and Spanish the word for table is, for some reason, marked as feminine.
따라서 완전히 사실이 아닌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와 스페인어에서 테이블이라는 단어는 어떤 이유에서인지 여성적인 단어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So, "la table," "la mesa," you just have to deal with it.
따라서 '라 테이블', '라 메사'는 그냥 그렇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It has been shown that if you are a speaker of one of those languages and you happen to be asked how you would imagine a table talking, then much more often than could possibly be an accident, a French or a Spanish speaker says that the table would talk with a high and feminine voice.
이러한 언어 중 하나를 사용하는 사람에게 테이블을 말하는 모습을 상상해 보라고 하면, 우연일 가능성이 있는 것보다 훨씬 더 자주, 프랑스어나 스페인어 사용자는 테이블을 높고 여성스러운 목소리로 말할 것이라고 답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So if you're French or Spanish, to you, a table is kind of a girl, as opposed to if you are an English speaker.
따라서 프랑스어 또는 스페인어 사용자에게는 테이블이 일종의 소녀같은 것으로 느껴지지만, 영어 사용자에게는 그 반대입니다.
It's hard not to love data like that, and many people will tell you that that means
that there's a worldview that you have if you speak one of those languages.
많은 사람들이 그런 데이터를 좋아하지 않는 것은 어렵고, 만일 당신이 그런 언어 중 하나를 사용한다면 세계관을 가지고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할 것입니다.
But you have to watch out, because imagine if somebody put us under the microscope,
하지만 당신은 조심해야 합니다, 왜냐면 누군가 우리를 현미경으로 들여다본다고 상상해 보세요
What is the worldview from English? So for example, let's take an English speaker.
영국인의 세계관은 무엇인가요? 그러면 예를 들어, 영어 사용자를 예로 들어 봅시다.
Up on the screen, that is Bono. He speaks English. I presume he has a worldview.
화면 위에 사람은 보노입니다. 그는 영어를 구사합니다. 그는 세계관이 있겠지요.
Now, that is Donald Trump. In his way, he speaks English as well.
이제는 도널드 트럼프입니다. 그만의 방식으로 그는 영어도 구사합니다.
And here is Ms. Kardashian, and she is an English speaker, too.
So here are three speakers of the English language.
여기 카다시안 여사가 있는데 그녀도 영어를 구사하는 분입니다.
그러면 여기 영어를 구사하는 세 사람이 있습니다.
What worldview do those three people have in common?
이 세 사람의 세계관에는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요?
What worldview is shaped through the English language that unites them?
It's a highly fraught concept.
영어를 통해 어떤 세계관이 형성되어 이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을까요?
이는 매우 위험한 생각입니다.
And so gradual consensus is becoming that language can shape thought, but it tends to be in rather darling, obscure psychological flutters.
⁑dar·ling [dάːrliŋ] ━ɑ.① 마음에 드는; 가장 사랑하는; 귀여운.
*ob·scure [ǝbskjúǝr] ɑ. ① 어두운, 어두컴컴한(dim); (빛깔 따위가) 거무스름한, 몽롱한, 어스레한; 잔뜩 흐린 ② (말·의미 따위가) 분명치 않은, 불
명료한, 모호한, 알기 어려운
*flut·ter [flʌ́tǝr] ━n.① (the ~, a ~) (날개의) 퍼덕거림; 나부낌, 펄럭임; 〖泳〗 (크롤 영법(泳法)의) 물장구(~ kick).② (a ~) 고동, 두근거림, 〖醫〗
경련. ③ 당황, (마음의) 동요;
따라서 언어가 사고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점진적인 합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는 다소 애매하고 사소한 심리적 떨림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It's not a matter of giving you a different pair of glasses on the world.
당신에게 세상을 바라보는 다른 안경을 씌워주는 것이 아닙니다.
Now, if that's the case, then why learn languages?
만일 그렇다면 지금 언어를 배우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If it isn't going to change the way you think, what would the other reasons be?
There are some.
그것이 당신의 사고 방식을 바꾸지 않을 것이면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몇 가지가 있습니다.
One of them is that if you want to imbibe a culture, if you want to drink it in, if you want to become part of it, then whether or not the language channels the culture -- and that seems doubtful -- if you want to imbibe the culture, you have to control to some degree the language that the culture happens to be conducted in.
im·bibe [imbáib] vt.① (술 등을) 마시다; (공기·연기 등을) 빨아들이다, 흡입하다. ② (습기·수분 등을) 흡수하다; (양분 등을) 섭취하다.
③ (사상 등을) 받아들이다, 동화하다.
그 이유중 하나는 문화를 받아들이고 싶다면, 그 문화를 흡수하고 싶다면, 그 문화의 일부가 되고 싶다면, 언어가 문화를 전달하든 안 하든—그런데 확신이 가지 않아 보이지만---, 그 문화를 흡수하고 싶다면 그 문화가 이루어지는 언어를 어느 정도는 구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There's no other way.
다른 방법은 없습니다.
There's an interesting illustration of this.
I have to go slightly obscure, but really you should seek it out.
이에 대한 흥미로운 사례가 있습니다.
약간 모호하지만 실은 당신이 찾아봐야 해요
There's a movie by the Canadian film director Denys Arcand -- read out in English on the page, "Dennis Ar-cand," if you want to look him up.
캐나다 영화 감독 데니스 아캉드의 영화가 있는데, 그를 찾아보고 싶다면 '데니스 아캉드'라는 페이지에서 영문으로 읽어보세요.
He did a film called "Jesus of Montreal."
And many of the characters are vibrant, funny, passionate, interesting French-Canadian, French-speaking women.
그는 "몬트리올의 예수"라는 영화를 찍었습니다.
그리고 많은 등장인물들은 활기차고 재미있고 열정적이며 흥미로운 프랑스계 캐나다인, 프랑스어를 하는 여성입니다.
There's one scene closest to the end, where they have to take a friend to an Anglophone hospital.
In the hospital, they have to speak English.
마지막에 가장 가까운 장면이 있는데, 친구를 영어를 사용해야 하는 병원에 데려가야 하는 장면입니다.
병원에서 그들은 영어로 말해야만 합니다.
Now, they speak English but it's not their native language, they'd rather not speak English.
지금 그들은 영어로 말 하지만 모국어가 아니기 때문에 영어를 사용하지 않으려 합니다.
And they speak it more slowly, they have accents, they're not idiomatic.
id·i·o·mat·ic, -i·cal [ìdiǝmǽtik], [-əl] ɑ.관용구적인, 관용구가 많은; (어떤 언어의) 특색을 나타내는; (어떤 언어에) 특유한
그리고 그들은 아주 느리고, 악센트가 있고, 매우 서투르게 말합습니다.
Suddenly these characters that you've fallen in love with become husks of themselves, they're shadows of themselves.
ᛜhusk [hʌsk] n.① 꼬투리, 껍데기, 겉껍질; 《美》 옥수수 껍데기.
갑자기 당신이 사랑에 빠진 이 캐릭터들은 자신들의 껍질만 남게 되고, 그들은 자신들의 그림자처럼 변해버립니다.
To go into a culture and to only ever process people through that kind of skrim curtain is to never truly get the culture.
한 문화권으로 들어가서 그런 종류의 장막을 통해서만 사람들을 대하는 것은 그 문화를 진정으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And so to the extent that hundreds of languages will be left, one reason to learn them is because they are tickets to being able to participate in the culture of the people who speak them, just by virtue of the fact that it is their code.
수백 개의 언어가 남을 정도로 언어를 배우는 이유 중 하나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문화에 참여할 수 있는 티켓이기 때문이며, 언어가 그들의 코드라는 사실만으로도 그 문화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So that's one reason.
이것이 바로 그 이유 중 하나입니다.
Second reason:
it's been shown that if you speak two languages, dementia is less likely to set in, and that you are probably a better multitasker.
mùlti·tásking n.〖컴퓨터〗 다중 작업《하나의 CPU로 복수의 작업을 함》.
두 번째 이유는: 두 가지 언어를 구사하는 경우 치매에 걸릴 확률이 낮고 다중작업을 더 잘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And these are factors that set in early, and so that ought to give you some sense of when to give junior or juniorette lessons in another language.
이러한 요소는 일찍 시작되므로 청소년들의 레슨을 언제 다른 언어로 제공해야 하는지 어느 정도 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
Bilingualism is healthy.
이중 언어 사용은 건강상 좋은것입니다.
And then, third -- languages are just an awful lot of fun.
Much more fun than we're often told.
세 번째는 언어가 대단히 재미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것보다 훨씬 더 재미있죠.
So for example, Arabic: "kataba," he wrote, "yaktubu," he writes, she writes.
"Uktub," write, in the imperative.
ᛜim·per·a·tive [impérǝtiv] ɑ.① 명령적인, 강제적인(pressing)
예를 들어, 아랍어에서 "kataba"는 "그가 썼다", "yaktubu"는 "그가 쓴다", "she writes"는 "그녀가 쓴다"입니다. "Uktub"은 명령형으로 "써라"라는 뜻입니다.
What do those things have in common?
이것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All those things have in common the consonants sitting in the middle like pillars.
ᛜcon·so·nant [kάnsǝnǝnt/kɔ́n-] n.〖음성〗 자음; 자음 글자; 협화음.
이 모든 것들의 공통점은 자음이 기둥처럼 가운데에 자리 잡고 있다는 점입니다.
They stay still, and the vowels dance around the consonants.
Who wouldn't want to roll that around in their mouths?
이들은 조용히 있고 모음은 자음 주위로 춤을 춥니다.
누가 이걸 입안에서 굴리고 싶지 않을까요?
You can get that from Hebrew, you can get that from Ethiopia's main language, Amharic.
That's fun.
이런 현상은 히브리어에서 볼 수 있고, 에티오피아의 주 언어인 암하라어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재밌네요.
Or languages have different word orders.
또는 언어마다 어순이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Learning how to speak with different word order is like driving on the different side of a street if you go to certain country, or the feeling that you get when you put Witch Hazel around your eyes and you feel the tingle.
ᛜtin·gle [tíŋgəl] n.따끔거림, 쑤심; 설렘, 흥분.
다른 어순으로 말하는 법을 배우는 것은 마치 특정 국가에 갔을 때 도로에서 다른 쪽으로 운전하는 것과 같고, 위치하젤을 눈에 넣었을 때 따끔거림을 느끼는 것과 같습니다.
A language can do that to you.
언어는 당신에게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So for example, "The Cat in the Hat Comes Back," a book that I'm sure we all often return to, like "Moby Dick."
예를 들어 "모자를 쓴 고양이가 돌아왔다"는 "모비딕"처럼 우리 모두가 자주 다시 찾는 책입니다.
One phrase in it is, "Do you know where I found him?
Do you know where he was? He was eating cake in the tub, Yes he was!"
그 중 한 구절은 "내가 그를 어디서 찾았는지 아세요?"입니다.
그가 어디 있었는지 아세요? 욕조에서 케이크를 먹고 있었어요, 정말이에요!“
Fine. Now, if you learn that in Mandarin Chinese, then you have to master, "You can know, I did where him find?
좋아요. 이제 만약 당신이 그것을 표준 중국어로 배운다면, 다음 구문도 익혀야 합니다: "당신은 알 수 있어요, 나는 그를 어디서 찾았습니까?“
He was tub inside gorging cake, No mistake gorging chewing!"
That just feels good.
Imagine being able to do that for years and years at a time.
그는 케이크 안에 욕조에 들어가서 씹고 있었어요, 틀림 없이 씹고 있었어요!"
정말 기분이 좋지요. 한 번에 몇 년 동안 그렇게 할 수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Or, have you ever learned any Cambodian?
아니면 캄보디아어를 배운 적이 있나요?
Me either, but if I did, I would get to roll around in my mouth not some baker's dozen of vowels like English has, but a good 30 different vowels scooching and oozing around in the Cambodian mouth like bees in a hive.
scooch 동사 (특히 앉은 자세로) 조금 움직이다, (좁은 속을) 지나가다
ᛜooze [uːz] vi.① 《~/++》 (물이) 스며나오다; 질금질금 흘러나오다;
저도 그랬지만, 그렇게 하면 영어처럼 수십 개의 모음이 아니라 30개 이상의 모음이 벌집에 벌이 들어온 것처럼 입안에서 굴러다니며 캄보디아 사람들의 입에서 흘러나올 것입니다.
That is what a language can get you.
이것이 바로 언어가 당신에게 줄 수 있는 겁니다.
And more to the point, we live in an era when it's never been easier to teach yourself another language.
더 중요한 것은,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쉽게 다른 언어를 배울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는 점입니다.
It used to be that you had to go to a classroom, and there would be some diligent teacher -- some genius teacher in there -- but that person was only in there at certain times and you had to go then, and then was not most times.
예전에는 교실에 가야 했고, 그곳에는 어떤 열심히 가르치는 선생님이 있었는데, 그 선생님은 특정 시간에만 있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그 시간에 가야 했지만, 그 시간이 대부분의 시간은 아니었습니다.
You had to go to class.
If you didn't have that, you had something called a record.
수업에 가야 했습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레코드라고 부르는것이 있었지요.
I cut my teeth on those.
There was only so much data on a record, or a cassette, or even that antique object known as a CD.
cut one's teeth on …을 어릴 때부터 익히다[배우다], …으로 최초의 경험을 쌓다
나는 어릴 때 그걸 경험했어요. 레코드나 카세트, 혹은 심지어 "CD"라고 불리는 그 골동품 같은 물건에는 담을 수 있는 데이터 양이 한정되어 있었죠.
Other than that you had books that didn't work, that's just the way it was.
쓸모없는 책들이 있는 것 말고는 그냥 그런 식이었습니다.
Today you can lay down -- lie on your living room floor, sipping bourbon, and teach yourself any language that you want to with wonderful sets such as Rosetta Stone.
오늘날에는 우리는 거실 바닥에 누워 버번을 홀짝거리며 로제타 스톤과 같은 훌륭한 세트로 원하는 어떤 언어라도 스스로 배울 수 있습니다.
I highly recommend the lesser known Glossika as well.
You can do it any time, therefore you can do it more and better.
나는 잘 알려지지 않은 Glossika도 적극 추천합니다.
언제든지 할 수 있으므로 당신은 더 많이 더 잘할 수 있습니다.
You can give yourself your morning pleasures in various languages.
당신은 다양한 언어로 아침의 즐거움을 자신에게 말해줄 수 있습니다.
I take some "Dilbert" in various languages every single morning; it can increase your skills.
Dil·bert [dílbǝrt] n.딜버트《컴퓨터와 저질 경영자 때문에 문제가 많은 현대식사무실에서 일하는 미국 연재 만화의 인물
매일 아침 다양한 언어로 된 '딜버트'를 들으면 실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Couldn't have done it 20 years ago
when the idea of having any language you wanted
in your pocket, coming from your phone, would have sounded like science fiction to very sophisticated people.
20년 전만 해도 호주머니 속에서, 휴대폰을 통해서 원하는 언어를 마음대로 들을 수 있다는 생각은 매우 세련된 사람들에게도 공상 과학 소설처럼 들렸을 것입니다.
So I highly recommend that you teach yourself languages other than the one that I'm speaking, because there's never been a better time to do it.
그래서 나는 당신이 말하는 언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배워보시기를 적극 추천합니다. 왜냐면 지금이 그 어느 때보다 좋은 시대이니까 말입니다
It's an awful lot of fun.
It won't change your mind, but it will most certainly blow your mind.
blow your mind 완전 뿅 가게[어안이 벙벙하게] 만들다 (→mind-blowing)
정말 재미있습니다. 여러분의 마음을 바꾸지는 못하겠지만, 분명 여러분의 마음을 완전히 흔들어놓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