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성제도 없다 ‘무고집멸도’
무고집멸도 無苦集滅道
“괴로움과 괴로움의 원인과 괴로움의 소멸과 괴로움의 길도 없다.”
《반야심경》
여기서는 '고집멸도'의 사성제(四聖諦)를 부정하는 대목이다. 석존 부처님이 성도 후 맨 처음으로 오랜 세월에 걸쳐 사성제를 설하셨던 내용으로, 불교의 중요한 근본 교리이다. ‘고’의 상태에서 ‘고’가 해결된 평안한 상태에 이르는 실천방법이 ‘사성제’이다.
사성제의 첫번째는 고성제(苦聖諦)이다. ‘고(苦)’는 우리의 인생은 온통 괴로움이라는 것이다. ‘고(苦)’에는 생·로·병·사의 사고(四苦)에 더하여 애별리고(愛別離苦), 원증회고(怨憎會苦), 구부득고(求不得苦), 오온성고(五蘊盛苦)를 합쳐서 팔고(八苦)가 있다.
사성제의 두번째는 집성제(集聖諦)이다. ‘집(集)’은 고의 원인을 뜻한다. 다시 말해서 '집' 때문에 '고'가 생기는 것이다. 세상의 모든 문제는 모여 있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우리의 육신이 병들어 괴로운 것도 지. 수. 화. 풍의 사대(四大)가 결합해 있기 때문이다.
사성제의 세번째는 멸성제(滅聖諦)이다. ‘멸(滅)’이란 괴로움이 소멸된 것을 뜻한다. 여기서 '멸'은 한 순간 작은 문제가 해결된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고’가 완전히 극복된 상태를 말한다. 불교가 지향하는 목표는 이고득락(離苦得樂)에 있다고 한다.
사성제의 네번째는 도성제(道聖諦)이다. ‘도(道)’란 괴로움을 소멸하는 길 또는 방법을 뜻한다. 구체적인 실천방법으로 팔정도(八正道)를 제시하고 있다. 이 여덟 가지의 바른 길을 실천함으로써 괴로움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팔정도’는 진리와 열반으로 나아가는 여덟가지 길을 뜻한다. 이에는 정견(正見), 정사(正思),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의 여덟 가지이다.
《반야심경》에서는 사성제도 '무'라고 하는 것이다. 그 근원을 살펴보면 '오온 개공'이기 때문에 '무 고집멸도'인 것이다. 사성제의 가르침이 아무리 수승한 것이라 하더라도 그 본질은 공이기에 '무‘인 것이다.
여기서도 결국 존재의 실상을 바로 보라는 것을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괴로움[苦]이 본래 없다는 것을 올바로 알기에, 괴로움의 원인[集], 소멸된 것[滅], 소멸에 이르는 길[道]에도 집착하여 끄달리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출처] 사성제도 없다 ‘무고집멸도’|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