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물류 DX 네트워크에 의한 정보 기반의 정비를 추진
물류 영역에 있어서 일련의 프로세스의 진척 상황 등을 가시화하고, cloud native로의 DX화가 가속하고 있다.
예를 들어 RPA(Robotics Process Automation: 사전에 결정된 수순을 자동화하는 구조)를 활용하여, 야간, 심야 등에도 대량의 전표처리나 데이터 취득 등을 행하고 있는 물류 기업도 있다. 또한, cloud형인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트럭 기사의 복잡한 노동 관리, 건강 관리 등을 효율적을 관리하는 기업도 증가하고 있다. Digital tachometer와 연동하여, 노동시간이나 주행거리를 관리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Cloud형인 TMS(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 수배송 관리 시스템)나 운행관리 시스템의 도입에 의해 각 차량의 예약 상황을 적절히 관리하고, 아울러 배차 계획도 합리적인 판단의 근거로 책정하 가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현재 어떤 차량이 어느 루트를 통해 가서, 어디에 있는지” 라고 하는 real time 위치 정보도 적절하게 파악 가능하도록 한다. 정보 시스템의 도입과 동시에, 종이 매체로 행해 갔던 전표, 장표(帳票)나 보고서 등의 처리를 디지털 매체로 변환하고, 물품의 흐름에 걸리는 작업 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해 간다.
또한 물류 DX 추진에 즈음하여, 정보 security의 시점에서의 risk management에도 힘을 줄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조작이나 부적절한 처리 등으로부터 실 재고와 컴퓨터 재고 간에 괴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주의와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의 유출이나 누설 리스크에 대해서도 분석, 검토하여 둘 필요가 있다.
또한 “무슨 수를 써서라도 DX”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 내에서의 DX에 곤한 이해도나 허용도를 염두에 두고 아날로그 부분을 남기고, 완전 자동화는 아닌, 우선은 부분적인 자동화부터 시작한다고 하는 small start를 의식하는 것도 중요하다.
요점 BOX Small start로 현장의 디지털화에 착수 Real time의 물류 정보의 가시화를 실현 데이터의 유출, 누설을 충분히 경계 |
<물류 현장에서의 DX의 도입의 의의>
<물류 현장에 도입을 진행하는 클라우드형 DX(예)>
Cloud형 DX | 개요 |
RPA | 물류에서는 수발주 업무 등의 사무 처리 관련의 도입 사례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 대량의 단순 작업의 처리를 지속적, 그리고 신속하게 행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CRM (고객관리 시스템) | 고객관리만에 그치지 않고, 종업원 관리 등에도 활용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대다수 기업이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번잡하게 되기 쉬운 종이 매체의 관리로부터 디지털 매체의 관리로의 이행을 추진한다. |
운행관리 시스템무 | 트럭 차량에 대해서, 디지털 매체에 의한 적절한 배차 계획이 가능하게 된다. 각 차량의 예약 상황을 적절하게 관리하고, 합리적인 판단을 근거로 배차 계획의 책정이 가능하게 된다. |
#물류DX #클라우드네이티브 #RPA #CRM #디지털타코메타 #T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