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어目 Rajiformes
홍어科 Rajidae
◎ 참홍어 : Beringraja pulchra (F. H. Liu) (= Raja pulchra)
► 이 명 : 눈가오리, 안경홍어, 눈간쟁이
► 외국명 : (영) Mottled skate, (일) Meganekasube (メガネカスベ)
► 형 태 : 크기는 최재 전장 115㎝ 정도이다. 체반의 등쪽에는 황갈색의 짙은 구름 모양의 무늬가 있고 배쪽은 희다. 제 1등지느러미는 제 2등지느러미와 서로 떨어져 있지 않고 제1등지느러미 기저의 길이와 같다. 유어의 가슴지느러미 기저부에는 한 쌍의 눈 모양의 점이 있고 꼬리지느러미는 작고 분명하지가 않다. 꼬리의 등쪽에 수컷은 1줄의 가시가 있고 암컷은 5줄의 가시가 나 있다. 꼬리는 전체가 측편되었고 양편의 피습은 폭이 몹시 넓어서 꼬리지느러미의 거의 끝에까지 이른다. 배지느러미는 전엽보다 후엽이 더 길다. 양 턱에는 날카로운 단첨두의 이빨이 여러 줄로 나있으며, 위턱의 가운데 부위는 앞쪽으로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체반의 배쪽은 부드러우며 주둥이 앞쪽만 미약한 거치를 가진다. 배면 감각공은 W자 형태를 이룬다.
크기는 체반의 폭이 100㎝ 정도이다. 체반 가장자리는 2번의 만입되는 부위를 가지며 가슴지느러미에서 급격하게 꺽인후 일직선으로되어 있다. 주둥이 끝은 뾰족한 편이며 주둥이 연골길이는 길지 않다. 눈은 작고 두 눈 사이는 만입되어 있다. 체반의 등쪽 정중선에는 극이 없지만 꼬리가 시작되는 지점에서 등쪽 정중선을 따라 날카로운 뿔모양의 가시가 암컷의 경우 3줄 수컷의 경우 1줄로 나 있다. 등지느러미는 2개로 꼬리 끝 부근에 위치하며 측면 피습은 매우 미약한 편이다. 꼬리지느러미 높이는 측면 피습의 폭과 비슷한 크기이다. 머리 등쪽 가장자리를 따라 미약한 가시가 촘촘하게 나있으며 가슴지느러미 기저를 지난다. 가슴지느러미 가운데 부위는 날카로운 극이 2줄로 나있는데 분포범위가 좁다. 배지느러미는 전엽보다 후엽이 더 길다. 양 턱에는 날카로운 단첨두의 이빨이 여러 줄로 나있다. 위턱 가운데 부위는 앞쪽으로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배면 감각공은 W형태를 나타낸다. 체반의 등쪽은 짙은 갈색을 띠며 배쪽은 짙은 회색을 띤다.
► 설 명 : 저서성 어류로 보통 연안의 얕은 해역에서 생활한다. 오호츠크 해에서는 수심 5~30m에서, 서해에서는 수심 5~15m에서 서식하지만 수심 120 m에서도 발견된다. 주로 새우나 오징어 같은 두족류, 경골 어류, 게 등을 포식한다. 황해에서의 조사에서는 새우류 중에서도 자주새우(Crangon affinis)가 다른 것에 비해 중요 포식 대상이 있었지만 이 외에 꽃새우(Trachypenaeus curvirostris)와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도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꼬리의 양쪽 피하부에는 방추형의 발전기관이 1쌍 있다. 각각은 원반 모양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한 전기장을 만들어 내고 있다. 본종은 이 전기장을 의사전달용으로 사용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난생으로 산란은 거의 일년 내내 일어나지만 4월~6월 그리고 11월~12월이 피크이며, 한여름에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암컷은 1년 98~556개의 알을 낳는다(평균은 240개). 알은 보통 편평한 모래 땅이나 진흙 땅에 낳는다. 홋카이도의 바다에서는 가리비 양식에 사용하는 바구니 안에 산란하는 일도 자주 있다. 난각은 직사각형이며, 크기는 세로 14~18.8㎝, 가로 7~9.4㎝ 정도이다. 모서리에는 뿔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긴 쪽으로는 함몰되어 실패모양을 하고 있다. 난각에는 보통 복수의 배아가 들어 있으며, 최대 5마리가 들어 있는 것도 있다. 껍질 속에 보통 복수의 배아가 드는 것은 홍어속에서도 두눈홍어(R. binoculata)와 본종 뿐이다. 난각에서 나온 유어는 체장 9.5㎝정도이다. 성성숙은 암컷 47.3㎝, 수컷68.5㎝ 정도에서 이루어진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식용하는 어류로 상업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어종이다. 한국에서는 홍어 중에서도 가장 많이 소비되는 종이며, 시장에서도 가장 비싼 생선의 하나이다. 종종 결혼을 축하하는 자리에서 볼 수 있다. 본종을 대상으로 한 자망 어업이 존재하며, 넙치를 겨냥한 자망어업에 혼획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 본종을 대상으로 한 어업이 행해지고 1킬로그램 당 5$정도(2009년 시점)에 판매되고 있다. 중국에서는 특히 본종이 어업의 대상이 되는 일은 없지만 혼획되어 어획되는 것이 있다.
일본 홋카이도에서는 참홍어를 전문적으로 잡는 자망 어업이 행해지고 있다. 지느러미를 목적으로 어획하므로 어획한 직후 우선 이 지느러미 부분을 잘라내며, 껍질을 벗겨서 출하한다. 조림이나 된장 절임, 튀김 등에서 먹으며, 어묵으로도 가공된다.
홍어와 동일한 방법으로 이용한다. 생선회, 홍어회, 찜, 삼합, 애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한다.
► 분 포 : 한국(동서 연해), 중국(산뚱성 이남, 동부), 시베리아 연해, 일본 북부 연해, 오호츠크 해에 분포한다. 참홍어는 북서 태평양의 온대 지역, 구체적으로는 오호츠크 해에서 일본해, 황해, 발해, 그리고 동 중국해 대만 이북에서 발견된다. 1980년대의 기록에 따르면 한국의 흑산도와 옹진 섬들, 그리고 일본의 홋카이도에서는 매우 개체 수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오호츠크 해에서 동 중국해까지 넓은 지역에 걸쳐 서식하며, 특히 수심 50~100m 정도의 모래질 해저에 잘 서식한다.
► 비 고 : 참홍어(눈가오리)는 일반적으로 홍어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홍어(Okamejei kenojei)는 홍어科(Rajidae)에 속하는 별개의 어종이다. 전라도지방에서 홍탁으로 유명한 음식의 재료로 사용되는 어종은 참홍어로서 서해에서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참홍어는 황해, 시베리아 연해, 일본 북부 연해에 분포하는 한해성 어류로서 황해에 서식하는 군은 황해 저층 냉수대의 발달 정도에 따라 분포역의 변화를 나타낸다.
국제자연보호연합(IUCN)은 참홍어의 보전 상태에 대해서 위급(VN)으로 평가하고 있다. 한국의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연간 어획량의 평균은 2,700톤이었지만 2001년부터 2003년까지 평균에 대해서는 220톤에 그쳤고 10년에서 개체 수가 90% 줄어든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일본 어부도 최근 개체 수 감소를 보고하고 있다. 다만 중국 연안 해역에서는 참홍어에 한정되지 않고 어류의 모든 종류에 대해서도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개체 수가 줄었다. 서식 지역 전체에서 참홍어의 개체 수는 1980년대부터 30%이상 줄었다고 추정되며, 실제 보전 상태 평가는 1단계 높은 멸종위기(EN) 종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