붙임 자료는 2024년 2월 23일(일), 사)코리아통합연구원 정기총회에서 윤종혁 한국교육개발원 석좌연구원이 온라인으로 발표한 내용이다. 아래 사진은 독자의 이해를 위해 발표 내용을 고려하여 원제목( 미래 교육의 방향과 지속가능성 쟁점 : 새로운 ‘타협’과 ‘상생’의 문제 )을 사진내용과 같이 수정하였다.
현재 세계는 진행중인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 하마스 전쟁을 위시하여 크고 작은 전쟁이 진행되고 있고, 앞으로 한반도의 남과 북을 위시하여 중국과 대만 등 끊임없는 전쟁 발발이 예상되고 있다.
지금까지 국가와 국가 또는 지역내 전쟁에서 범위가 넓혀져 세계 곳곳에 분쟁과 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지구 온난화의 기후 위기 가속으로 지구 또는 세계의 생태 환경은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에 대한 위기도 매우 크다. 한국은 무엇보다도 세계 최저 저출생 국가로서 심각한 국가 몰락 또는 쇠락의 현상도 보이고 있다.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세계는 하나라는 운명공동체 의식을 기르는 세계시민성교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면에서 아래 자료는 세계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좋은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이병호 남북교육연구소장·교육학 박사
※ 참고 용어 - 이병호
01. TVET :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 직업훈련교육
02. D-10 : Democracy 10(민주주의 10국. 한국, 일본 인도,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G7 + 3국)
쿼드 : 4개국(미국, 일본, 인도, 호주)
RCEP: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2011년 ASEAN + 6개국간의 자유무역협정
MDGs :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새천년 개발목표. 함께 살고, 수행하고, 알고, 존재하고.
들로르 보고서 : Delors Report, Learning: the treasure within '학습, 그안에 숨겨진 보물', 평생학습의 패러다임
03 GCED :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세계시민교육.
ESD :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지속가능개발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