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컬푸드로 잘 알려진 완주군의 견학은 마을기업을 만들고 지역의 리더로서 꼭 한 번
가 보고 싶었던 곳이다.
완주군은 우리 영동군에는 없는 CB(커뮤니티 비즈니스)라는 곳이 있다.
지역이 당면한 문제에 대하여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에 존재하는 자원을 활용하여
비즈니스의 형태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사업이라고 한다.
마을 공동체회사 100개 육성이라는 지역 활성화전략은 지역 내 자원으로 단계적 지원을
통해 잘 사는 마을을 위한 지원을 해 주는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는 곳이라 할 수 있다.
군의 정책과 행정력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과제를 CB가 있어서 해결해 주는 점이 부러웠다.
어떤 지역이든지 무심코 지나쳐버릴 지역 자원이 자산으로, 사업아이템으로 탈바꿈
할 수 있는 것은 마을의 리더, 동참하는 마을주민의 노력 없이는 불가능 할 것이다.
거기에 중간지원조직으로서의 CB가 가지는 역할은 서포터와 코디네이터로서의 역할
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체계적인 완주군의 마을육성프로젝트는 우리 영동군도 벤치마킹을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어느 지역이나 고령화는 벌써부터 커다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물론 최근 귀농인구의 증가로 마을의 활력을 찾아가는 곳도 있지만 귀농과 귀농 후
안정적인 정착의 어려움으로 마을이 변화되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라고 한다.
정구복 군수님의 정책 사업으로서 <농촌경영대>라는 교육과정에 많은 예산을 들여
마을리더를 양성하고 있다.
학생들은 1년여의 이론과 견학 등의 교육과정을 통해 자기경영계획서를 제출하게
되어있다.
자기경영계획서는 농장주 개인의 사업계획서도 있지만 마을기업으로서 마을의
소득증대와 노인 일자리 창출 등의 사회적 복지를 간접적으로 실현시켜 줄만한
사업계획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우리 영동군도 완주군처럼 군과 마을기업간의 중간 서포터나 코디네이터
역할을 하는 CB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래서 <농촌경영대>고육을 통해 영동군 홍보와 마을소득증대, 마을 고령화 문제
해결의 우수 사업계획이 있으면 걸음마를 뗄 수 있기까지 지원을 해 줄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형식적이고 의무적인 교육이수를 위한 경영계획서제출이 아닌 실제로 지원과 실행에
옮겨진 사례가 많을수록 뜬구름 잡는 사업계획이 아닌 많은 고민과 열정으로 점철된
자기경영계획발표가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 보았다.
공동 가공시설이 부러웠고 언니네 텃밭꾸러미사업단이 이곳 옆에 자리 잡고 있었다.
인덕두레마을로 이동을 했다.
인덕두레마을은 전국 1호 두레농장이라고 한다.
<두레> 란 마을 농삿일을 공동으로 하기 위해 만든 조직이다.
어느 마을이나 고령화로 농사 노동력이 거의 없고 품앗이 보다는 상호간 일당을
지불하는 사례가 많이 있지만 공동체마을에서는 품앗이나 두레조직이 잘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말로는 참 좋은 조직이다. 그러나 마을주민들의 공동체의식이 결여되어있다면,
그리고 서로가 제 목소리를 높이는 마을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농촌노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소득과 일자리창출, 젊은 층과의 상호협력으로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이 마을 두레농장은 썩 잘 되지 않은 농사현장을
보고 내면적으로는 문제가 있음을 직감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매월 체험 객 방문과 다양한 소득사업으로 들어오는 인건비 배당금액은
마을 노인 일자리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었다.
참나물을 마을중점사업으로 체험과 음식점운영, 농산물 가공 등의 수익사업은
이 마을이 견학지로 선정될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했다.
처음부터 이만한 기반을 조성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지도자와 주민의 공동체의식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느낄 수 있었던 마을이었다
도계마을로 이동을 했다.
화훼, 표고, 쌈 채소, 누룽지, 두부, 상황버섯 등을 재배하는 이 마을은 상황버섯을
달인 물에 양념을 버무린 상황버섯김치와 이 마을에서 재배한 콩으로 만든 두부가
인상적이었다.
직접 두부 만들기 체험으로 맛도 보고 여러 동료가 사 가기도 했다.
김치체험과 판매실적이 상당했다.
다음으로 향한 곳은 로컬푸드 직매장이었다.
전주가 가까워그런지 많은 소비자들로 북적였다.
가격도 상당히 싼 편이었다.
CB센터에서 교육 중 알게 된 마더 빵, 인덕두레마을, 도계마을의 농산물과
농산물가공제품들이 매장에 진열되어있었다.
농협의 역할이 지역 농산물이나 가공품을 진열하여 팔기 보다는 수익에만 급급한
나머지 타 지역농산물이나 수입 산을 판매하는 우리지역 농협과는 딴판이었다.
지역 농민을 살리는 데 있어서 농협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새삼 느꼈다.
빡빡한 일정에 여러 곳을 두루두루 다녀보니 각 마을마다 추진하고 있는 사업,
그리고 추진할 사업계획에 놀랍기도 하고 부럽기도 했다.
마을의 리더는 오늘에 이르기까지 얼마나 많은 어려움이 있었을까?
무엇보다도 든든한 완주군 군수님의 정책추진과 완주군 CB, 마을기업의 리더,
공동체의식을 가진 훌륭한 마을주민이 있는 한 다가오는 미래에는 지금의 모습보다
더 멋진 모습의 완주군의 마을들로 성장해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