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록담은 수년 전부터 보유하고 있던 토지에 건물을 신축하기로 하였다. 20x1년 4월 1일에 착공하여 3년 후에 완공할 계획이며, 20x1년 중 건설중인자산에 대한 지출액은 다음과 같다. | ||||||||||||
|
|
|
일 자 |
|
지출액 |
|
비 고 |
|
|
|
| |
|
|
|
20x1. 4. 1 |
|
₩ 400,000 |
|
공사착공 |
|
|
|
| |
|
|
|
20x1. 9. 1 |
|
1,200,000 |
|
|
|
|
|
|
|
|
|
|
|
|
₩1,600,000 |
|
|
|
|
|
|
|
|
|
|
|
|
|
|
|
|
|
|
|
|
|
회사의 차입금 내역은 다음과 같다. | |||||||||||
|
차입처 |
|
차입일 |
|
차입금 |
|
이자율 |
|
자금용도 |
|
일시투자수익 |
|
|
A은행 |
|
20x1. 4. 1 |
|
₩580,000 |
|
11% |
|
특정차입금 |
|
₩7,850 |
|
|
B은행 |
|
20x1.10. 1 |
|
600,000 |
|
10% |
|
일반차입금 |
|
2,000 |
|
|
C은행 |
|
20x1.12. 1 |
|
900,000 |
|
16% |
|
일반차입금 |
|
5,000 |
|
|
| |||||||||||
위 차입금에 대한 이자는 연 1회 후지급조건이며 원금은 3년 후 일시상환 조건이다. A차입금에 대한 일시투자수익은 차입자금 중 ₩180,000을 차입일로부터 20x1년 8월 31일까지 운용하여 얻은 이자수익이다. B, C 차입금에 대한 일시 투자수익도 각 차입자금 중 일부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다. | ||||||||||||
|
| |||||||||||
[문제1] 특정차입금과 관련하여 20x1년도에 자본화할 금융비용(차입원가)은 얼마인가? ->580,000×11%× 9/12 = \ 47,850 <-맞나요?? 47,850 - 7,850(일시투자수익) = \40,000
특정차입금 구하는 문제 너무 헷갈려요ㅠ.ㅠ | ||||||||||||
[문제2] 일반차입금에 적용할 자본화이자율은 얼마인가? (60,000+ 144,000)/ 1,500,000 = 0.136, 13.6% | ||||||||||||
[문제3] 일반차입금과 관련하여 20x1년도에 자본화할 금융비용(차입원가)은 얼마인가?
|
400,000 × 9/12 = 300,000
1,200,000 × 4/12 = 400,000 -> 700,000(평균지출액)
(700,000 - 40,000)×13.6% = \ 89,760
특정차입금 구하는거랑 이것저것 헷갈리는데,,,,봐주세요ㅠㅠ
|
첫댓글 문제1 ok
문제2 분자/분모에 월수 고려하셔야할 거 같은데요 ㅋㅋ
문제3 평균지출액에서 4만원이 아니라 특정차입금 580,000x9/12 을 빼고 이자율 곱해야할 듯한데요. 일반차입금 이자인 27,000이 넘는지 확인하셔야할듯
문제 1의 특정차입금의 차입원가는 맞네요. 특정차입금의 경우에는 1년 중에 차입기간에 걸쳐있는 것만 (자본화 기준을 고려해보면 "적격 자산에 대한 지출 개시"라는 측면에서 대부분 건설 기간부터인경우 인듯.) 고려해 주시면 되구요.
문제 2의 일반 차입금 차입원가는 틀리신듯. 자본화 이자율을 고려할때는 일반차입금 역시 연평균으로 고쳐줘야 합니다. 단 이 경우에는 자본화 기간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회계 기간 전기간에 걸쳐서 고려를 해주셔야 됩니다. 이 경우에는 별 상관이 없겠지만 만약 20x0년에 일반 차입금을 차입했을 경우에는 착공 기간인 4월 부터 고려해서 9/12를 곱하는 것이 아니고 12/12를 곱해줘야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식을 써보시면 600,000*3/12*10%=15,000(B은행 차입금의 이자), 900,000*1/12*16%=12,000(C은행 차입금의 이자), 자본화 이자율= (15,000+12,000)/(600,000*3/12+900,000*1/12)=12%가 됩니다.
문제 3번을 구하실때는 반드시 특정 차입금의 일시 투자 수익 역시 고려하셔야 합니다. 최초 연평균 지출액은 700,000원이고 특정차입금은 580,000*9/12-180,000*5/12=360,000이 되고 따라서 일반차입금의 연평균 지출액은 700,000-360,000=340,000이됩니다. 여기에 12%를 곱하시면 40,800이 되는데요.... 무조건 일반 차입금의 경우엔 마지막에 일반 차입금의 전체 이자를 고려해 보셔야 합니다. 이 경우엔 전체 이자가 27,000이니깐 Min(40,800 , 27,000)해서 답은 27,000이 되는 거죠...
좀 짜증나죠 문제 낑낑 거리면서 일반 차입금 다 풀었는데 답은 결국 전체 이자분이라는게....ㅋㅋㅋ차입원가의 경우에는
헉!! 고맙습니다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세법과 회계가 좀 판이하게 다른 면이 많아서 잘 봐두셔야 되요. 잘못하면 아 뭔데.....이런 상황이 발생함..세법은 일반 차입금의 자본화를 선택 사항으로 두거든요.ㅋ 뭐 그렇게 중요한 사항은 아니지만...그럼 열공하세요.ㅋㅋㅋ
ㅋ 눈으로만 풀다보니까 저도 잘못썼는데 일시투자 수익 고려해서 360,000 차감하는게 맞네요 ㅋㅋ
넹감사합니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