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글라데시 자전거 내수시장 확산 및 수출호조로 인해 자전거 제조사 투자 확대 -
- 현지의 저임 노동력을 활용한 투자진출, OEM 생산, 기술제휴 등 활발 -
□ 방글라데시 자전거 시장동향
ㅇ 인구 1억7000만의 대국 방글라데시는 다카 시내를 중심으로 인력거(릭샤), CNG(툭툭이)가 자전거와 오토바이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음.
ㅇ 방글라데시 대기업을 중심으로 현지 제조업에 대한 투자가 활발하고 최근 독일 최고급 자전거 브랜드인 Cube사가 방글라데시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함. 총 120만 달러(약 14억원)를 투자해 EU 수출을 위한 제조공장을 건설 중
- Cube 자전거는 국내에서 로드바이크의 경우 135만 원~1150만 원의 가격대에 판매되는 최고급 자전거
- 방글라데시에서 Cube 자전거 생산 시 방글라데시에 판매되는 Cube 자전거 가격대는 약 250달러에 판매할 것으로 발표(예정)
· 큐브바이크코리아 홈페이지(http://www.cubebike.co.kr)
방글라데시 자전거 제조공장 사진

자료: Daily Industry(현지언론)
ㅇ 방글라데시 자전거 시장은 최근 내수시장 수요도 급격하게 증가해 BBMAIA(Bangladesh Bicycle Merchant Assembling and Importers Association)에 따르면 2013년 100만 대 정도 운영됐고 현재 150만 대가 운영된다고 추산함. 5년 동안 50만 대가 증가했음.
ㅇ 자전거 시장이 빠른 성장을 보이는 요인은 다음과 같음.
- 다카 시내의 극심한 교통정체: 도로 부족과 교통 시스템의 비효율성에 기인
- 자동차의 높은 관세: 자동차 관세가 약 300% 이상으로 높아 자전거와 오토바이에 대한 수요로 대체
-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 반영: 방글라데시는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사고가 많아 자전거가 대체 교통수단으로 각광
- 각종 배달 스타트업의 영업 수단으로 활용: 극심한 교통정체로 인해 음식 및 식료품 배달 서비스 증가로 자전거 판매 확대
□ 자전거 시장 수출동향
ㅇ 방글라데시 정부는 수출품목 다변화를 위해 다양한 제조업 육성 및 수출 진흥 정책을 시도
- 방글라데시 지난 회계연도(FY2017-18) 전체 수출액은 366억6000만 달러로 이 중 섬유봉제산업이 80%를 차지할 정도로 수출품목이 한정돼 있음.
- 이에 방글라데시 정부는 자전거 수출 목표를 9100만 달러로 설정하고 수출 품목 다변화를 위해 노력 중
- 지난 회계연도(FY2017-18) 자전거 전체 수출액은 8600만 달러로 목표치에 미달
ㅇ 방글라데시는 2016년 대EU 자전거 수출국 중에서 비EU 국가에서 캄보디아에 이어 수출액 2위 기록
- 현재 EU의 중국 반덤핑규제로 인해 EU 수출 시 세금 면제혜택을 받는 방글라데시의 수출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
EU 자전거 수입통계(단위: 백만 달러)

자료: 월드뱅크
□ 방글라데시 자전거 대표 제조업체 Meghna Group 전시장 방문 및 인터뷰 내용
ㅇ 방글라데시 대기업인 Meghna Group이 수출호조와 내수시장 활성화에 따라 자전거 제조를 늘리고 있고 2013년에는 자회사인 Cyclelife Exclusive를 통해 다카 시내에 오픈한 자전거 매장을 오픈
Meghna Group의 자전거 매장

자료: KOTRA 다카 무역관 직접 촬영
ㅇ Meghna Group CEO Mizanur Rahman 인터뷰
- "Meghna Group은 매년 자전거 40만 대를 28개국에 수출하고 있다. 최근 내수시장도 해마다 30~40% 성장해 내수시장을 위한 제품도 생산하고 있다. 수출의 경우 EU의 중국 대상 반덤핑 정책에 따라 EU대상 수출면세국가인 방글라데시와 캄보디아 자전거 제조사들의 수출액이 크게 늘고 있다. 우리는 내수용을 50~150달러 정도 제품을 만들고 수출용으로 약 230달러 이상의 고가자전거를 위주로 라인업을 구성하고 있다. 보급형은 85%의 부품을 자체 생산하는데 반해 고급형은 안장, 기어, 베어링 등 상당한 부품을 수입하고 있다."
□ 시사점
ㅇ 엄청난 인구, 구매력 상승과 중산층 확대 등을 감안하면 방글라데시 자전거 시장은 앞으로 폭발적인 성장이 전망됨.
- 방글라데시의 저렴하고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한 투자진출, OEM 생산, 현지업체와의 기술제휴 등 다양한 형태의 협력을 고려할 수 있음.
- 자전거 시장확대에 따라 부품, 액세서리(헬멧, 전등, 글러브, 보호용구, 윤활유 등) 시장도 동반 성장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자료: Meghna Group 관계자 인터뷰, 현지 일간지 및 KOTRA 다카무역관 자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