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1] 노동자의 주거 환경
"우리는 햇빛이 전혀 들지 않는 좁고 답답한 뒷골목으로 안내되었다. 악취를 풍기를 하수구 옆을 지나는데 밝은 불빛 아래서 물은 진한 녹차색으로 보였다. 사실 그 물은 진흙 섞인 물이라기보다는 물기 있는 진흙에 가까웠는데, 이걸 그 비참한 사람들이 마시는 유일한 물이라고 했다. 경악하며 웅덩이를 바라보다가 우리는 배수관과 하수도에서 더러운 내용물을 웅덩이로 쏟아 내는 걸 보았다. 우리는 또 거기서 목욕하는 아이들의 소리를 들었다. 이 비참한 곳을 지나 우리는 어린아이가 콜레라로 죽어 있는 집으로 안내되었다. - 메이휴 <런던 사람들의 생활과 노동>

<런던의 빈민가> <오염된 물을 식수로 쓰는 노동자들>
[자료2] 아동 노동의 실태
산업 혁명이 진행됨에 따라 아동 노동 문제, 특히 섬유 공장에서 일하는 아동들의 문제가 차츰 영국의 중대한 사회적 관심거리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취업 연령과 근무 조건을 규정한 공장법이 만들어졌다. 다음 자료는 1830년 영국 하원에 설치된 아동 노동의 실태 조사 위원회가 작성한 보고서의 일부로, 1833년에 공장법을 마련할 때, 귀중한 입법 자료가 되었다.
의원: 지금 몇 살입니까?
노동자: 23살입니다.
의원: 몇 살 때부터 공장에서 일했나요?
노동자: 6살 때부터입니다.
의원: 하루에 몇 시간씩 일합니까?
노동자: 아침 5시부터 저녁 7시인데, 바쁘면 9시까지 일합니다.
의원: 일을 게을리 하면 어떻게 됩니까?
노동자: 채찍질을 당합니다.
의원: 다리의 장애는 어쩌다 생겼습니까?
노동자: 방적기의 방추 멈추는 일을 하면서 13살 때부터 무릎이 휘고 발목이 약해졌습니다. 지금도 너무 아픕니다.
[자료3] 노동 조합의 성장
ⅰ) "산업화 초기에 노동자들은 노동 조합과 관계 없이 그때 그때 결과를 조직하여 소요를 일으켰다. 러다이트 운동은 그 대표적인 예이다."
ⅱ) "19세기 중엽 이후 숙련공들 조합이 점점 많아지면서 보다 강력한 국민적 규모로 조합을 조직하려는 운동이 활발했다. ‥‥ 1851년에 창립된 기능공 협동 조합은 모범적인 사례였다. 새로운 노동 조합주의는 강력한 조직과 훌륭한 관리 체제로서 특징지워졌으며, 이들은 회비를 모아 조합의 재정을 축적하였다. 조합들은 그때그때 특별한 필요에 따라 즉석에서 선출한 지도자들에 의해서가 아니라, 직업적인 노동 조합주의자들에 의해 운영되었다." - 켄터 <서양사 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