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사 |
|
|
|
|
|
|
|
|
|
|
|
김달삼모가지 잘린골 (제주4.3사건)- (2) |
|
|
|
|
|
|
김달삼은 제주4.3폭동의 성공 후 북한 해주로 간 뒤 약 1년 만에 1949.8.4 북한 인민유격대 제 3병단장이 되어. 강동정치학원 출신 300여 명의 북한 인민유격대를 이끌고 |
오대산과 태백산맥을 따라 내려와, 경북 영천 보현산을 중심으로 동해여단을 편성해 국군을 공격하였다. |
북한은 한국전쟁 직전까지 10차에 걸쳐 인민유격대를 남한에 침투시켰는데, 열 번의 무장공비 남파 중 네 번이 김달삼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
김달삼은 제 4차때 경북 영양의 일월산으로 남파되었다. |
|
|
|
|
|
|
|
|
이 후 제 7차 인민유격대 약 360명은 1949.8.17에 태백산으로 남하하여 대부분 토벌되고, 100여 명이 김달삼 부대와 합류하여 경북 일원에서 활동하였다. |
그해 11월 6일 제 9차 인민유격대 100여 명이 김달삼 부대와 합류하였으나, 김달삼 부대는 전멸에 가까운 위기에 처하게 된다. |
|
|
|
|
|
|
마지막으로, 북한은 전멸에 처한 김달삼의 월북을 지원하기 위해 1950.3.28에 제 10차로 약 700명의 강력한 화력을 가진 정예부대를 오대산과 방대산으로 침투시켰으나, 강원도 정선군에 |
있는 반론산에서 국군 토벌대에 위해 소탕되었다. 반론산(1,068m)은 빨치산 퇴로중 하나였다. |
|
|
|
|
|
|
그런데 실제로는, 김달삼은 1950. 3.28에 강원도 정선군 반론산 전투에서 죽은것이 아니라 ,경남 신불산 전투에서 죽었다. 국제정치학자 토르쿠노푸가 쓴 책 [한국전쟁의 진실과 수수께끼]에 |
"남한의 신문,라디오는 김달삼의 사망을 보도했으나 그는 현재 빨치산 활동을 위해 북한을 방문중"이라는, 평양 주재 소련 대사가 모스크바로 보낸 전보(50.4.10) 내용이 실려 있다. |
즉 김달삼은 3월 28일에 반론산에서 국군 토벌대 8사단 21연대의 공격을 받았지만 월북에 성공한 것이다. |
|
|
|
|
|
|
3개월 후, 한국전쟁이 발발한 6.25. 아침 9시경. 제주4.3폭동 주동자 제 1대 제주인민유격대장 김달삼은 강동정치학원 출신 유격대원 3백여 명으로 구성된 조선인민유격대 제 3병단을 |
이끌고 주문진항에 상륙 후, 경북 청도군 운문산 지구로 침투하여 경남 신불산 부근에서 부산 지구에 침투할 계획으로 해로로 남하하던 중에 사살되었다. |
김달삼모가지잘린골'은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 봉정리'가 아니라 경상남도 신불산 이었던 것이다.1950.6.25 당일에 김달삼 유격대가 부산 침투에 성공했더라면, 부산항을 통한 |
즉각적인 미군과 UN군의 도움은 어려웠을 것이다. |
|
|
|
|
|
|
[ 뉴스엔 바이블 newsnbible.com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