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검색엔진: KMLE
★약물검색: '드럭인포'라는 어플이 참 좋더군요
OS ;orthopedic surgery 정형외과
cast 통깁스 (그 초록색 깁스요)
splint 부목 (흔히 얘기하는 반깁스가 이겁니당)
EB ;elastic band 탄력붕대
adm ;admission 입원
D/C ;discharge 퇴원
sonogram 초음파 (대충 쏘노기라고 부릅니다)
CPM 지속적 수동 운동
D/L 탈구
EMG 근전도검사
OA 골관절염
PT 물리치료
A/S 관절경
AC 식전 ->a.c
PC 식후 ->p.c
RC 회전근개
RCT 회전근개파열
PCA 자가조절통증치료
H/V 헤모박 (cf.JP bag)
POD ;postoperative day ex:POD[3]->수술후 3병일째
HD 입원기간
stool 대변
culture 배양분석
AP (cf.PA) X-ray 사진 찍는 방법으로, AP는 anterior-posterior. PA는 그 반대. 자세한 사항은 검색해보시길...
RA 류마티스 관절염 (cf.RA factor 류마티스 인자.)
arthritis 관절염(관절증)
TKRA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슬관절 전치환술
THRA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고관절 전치환술
BPHA ;Bipolar hemiarthroplasty 양극성 관절성형술(cf.양극성 반관절성형술, 양극성 부분관절성형술, 양극성 인공관절 부분치환술 ->거의 다 같은 의미로 쓰이던데.)
HTN ;hypertension (cf.HBP ;high BP) 고혈압
DM 당뇨
CRF 만성신부전
CBC 일반혈액검사 ;complete blood cell count
ESR 적혈구침강속도
PRP ;platelet-rich plasma 혈소판풍부혈장
CRP ;c-reactive protein C반응성 단백시험 ->염증 있으면 수치가 올라가더라구요.. ㅠㅠ
BB ;base balance 염기균형
BE ;base excess 염기과잉 (cf.base deficit 염기부족)->BE는 bicarbonate뿐만 아니라 혈액 내에 있는 염기의 총양을 의미한다. (잘 모르면 해부생리 가서 buffer system 복습할것! 혈액계~)
TLSO 흉.요.천추 보조기 (brace의 일종.) ->그 허리~엉덩이 언저리까지 차는 짱짱한 밴드 그거...
CVD 뇌혈관질환
CVA ;cerebrovascular accident 뇌졸중, 중풍 ->뇌혈관사고..;
INR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국제표준비율 ->blood clotting test라고..
P.T ;prothrombin time
abduction 외전
obduction 검시, 부검
PRC ;packed RBC 농축적혈구
prn 필요시에, 때때로
CPK ;creatine phosphokinase 크레아틴인산효소
ambulation 보행
f/u ;follow up 으 한글로 뭐라 표현할 수가 없다... 대충 문맥 들으면 암
obs ;observation 지켜보겠다
EOD ;every other day 이틀에 한번, 하루 걸러서
TLC ;total lung capacity 전폐용량
w/c 휠체어
orthosis 보조기
PFNA ;proximal femur nail ->대퇴경부와 간부 사이의 골절에 사용되는 골수강내 금속정의 상품명.
EVD 뇌실외배액 ->응급일때만 시행. 감염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craniotomy 개두술
ADR ;adverse drug reaction 약물이상반응
EDBC ;encourage deep breathing & cough ->근데 이상하게 'EDBC 격려함.' 이렇게 써놓더라.. 이미 encourage란 단어가 들어가있는데 이렇게 쓰면 중복아닌가... 문법좀...
tPA ;tissueplasminogen activator 조직플라스미노겐 활성체 ->혈전방지제, 라는데... 이건 더 찾아봐야겠다
stenosis 협착증
~약물~
COX2 ->NSAID계
야마테탄주 ->항생제
아로베스트(AFQ) ->중추신경용 약이라는데.
MGOT ->변비약
아이알코돈정 ->마약성 진통제
애드칼정 ->칼슘 보급제
프레토정 ->죽상동맥경화증 증상완화에 쓰는 약이라는데.
멕쿨주 ->수술 후 구역구토 예방
멕페란 ->위장운동 촉진제. 오심완화제.
큐란(RNTD ;ranitidine) ->위 보호제
페닐아민 ->항히스타민제. 수혈 전 수혈 부작용 예방 위해 주기도 함.
씨잘정 ->피부 가렵지 말라고 먹는 약.
-뇌경색 환자의 경우 심장초음파를 할 수도 있는데 이건 병의 기전 때문에 그런 것이다. 뇌경색이란 건 기본적으로 색전이 혈관을 떠돌아다니다가 뇌 쪽의 미세혈관을 막아서 생기는건데, 이 색전이 뇌혈관이 아닌 심장의 관상동맥쪽으로 가면 심근경색을 일으킬 수도 있다. 그래서 그런 것을 보기 위해 심장초음파를 하는 것. 그러니까 우리 아버지 뇌경색 환자인데 심장초음파 검사는 왜 하냐고, 병원에서 검사비 받아먹으려고 하는거 아니냐고 따지시면 안됩니당...
-스타틴 계열 고지혈증 약물은 CPK수치를 상승시켜서 근육통, 근육약화를 가져올 수 있다. 그나마 '리피토정'은 다른 스타틴 계열 약물에 비해 부작용이 적다고는 하지만, 근육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복용 중 근육통이 심하면 꼭 의사, 약사에게 알려야 한다.
-백혈병: 백혈구가 종양성으로 증식하는 병. 정상적인 백혈구를 만들 수 없고, 그래서 병적인 유약백혈구 (아직 다 완성 안된 백혈구)가 피를 타고 흐른다.
-혈우병: 혈액응고인자를 못 만든다.
-Disc(추간판탈출증)는 주로 C7, T12, L5에 잘 생기며 허리디스크는 하지직거상검사를 통해 확인한다. ->환자를 하지직거상 시켰을 때 pain 호소하면 디스크 의심.
-오십견 ->외부의 찬바람이나 습기, 체내대사산물이 경락의 기혈순환 장애를 일으켜 이 과정에서 근육이 영양을 제대로 공급받지 못해 생김.
-회전근개파열 ->팔을 어깨관절에 부착시켜주는 힘줄 4개를 회전근개라고 하는데, 이 힘줄들이 반복적인 충격이나 마모에 의해 약해진 것이 원인이다.
-BUT, 두 질환 모두 어깨통증과 운동장애 증상을 보인다는 점에서는 같다.
-통풍성 관절염과 골관절염 ->다리가 휜다는데.
-confusion(혼돈)은 의식상태가 아닌 지각상태 개념이다.
-GCS(글라스고우 척도)는 E(eve opening), M(motor response), V(verbal response)로 평가한다.
-MCA: Middle Cerebral Artery, 중뇌동맥
-thalamus & midbrain & pons: 시상 & 중뇌 & 뇌교
-medial medullary & cerebellar: 내측 연수 & 소뇌
-Top of basilar & lacunar: 뇌 기저부 & 열공(소와)
-PICA & occipital: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후하소뇌동맥 & 후두부
-Infarction: 경색
-aneurysm & TFCA & embolization: 동맥류 & transfemoral cerebral angiography, 대퇴동맥경유 뇌혈관조영술 & 색전폐색술
-ABGA: Arterial Blood Gas Analysis, 동맥혈 가스분석
-meningitis: 수막염, 뇌막염 (->bacterial & viral, tuberculous)
-encephalitis: 뇌염
-Sz: seizure, 발작
-NIHSS & (modified) Rankin scale & Barthel index: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 & 란킨 척도 & 바델 지수 ->환자의 뇌신경/뇌 손상 정도를 알아보는 척도
*NIHSS 척도














*아래 표들은 어디 자료 캡쳐해온거임. 출처 확인하고 보강할 필요가 있당...


-myasthenia gravis: 중증근무력증
-뇌경색환자의 SOAPE: SOAPE이란 문제 중심 경과기록 작성법을 말하는 것으로, 의무기록을 작성하는 방법의 한 갈래이다. S는 subjective data, 주관적 자료(증상), O는 o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징후), A는 Assessment, 사정(자료의 평가), P는 Plan, 진료계획, E는 Evaluation, 평가 이다. (I를 추가한 것도 있는데, 이때 I는 Intervention, 중재 이다.)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
-MRA: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자기공명 혈관촬영술
+)
-GCS: Glasgow coma scale, 글라스고우 혼수척도

->최고점 15점, 최하점 3점!!!!!
+)AVPU scale: awake, verbal respose, respond to painful stimulation, completely unresponsive

-TCD: Trans-cranial Doppler, 두개내초음파
-Echo: echocardiography, 심초음파 검사
-의식수준: alert, (nearly alert), drowsy, (deep drowsy), stuper, semi-coma, coma.
-IPD: Idiopathic parkinson disease, 특발성 파킨슨병
-s/o: suspicious of. 가진단을 내릴 때 사용된다... (r/o, rule out과 비슷한 의미인듯)
-h/o: history of. 과거력 적을 때 씀
-d/t: due to, 이런 것의 이유로~
-pontine infar: pontine infarction, 뇌교 경색. (pons는 명사, pontine은 형용사라고 함..)
-dysarthria: 구음장애
-gait disturbance: 보행장애
-ACA: anterior cerebral artery, 전방뇌동맥
-PCA: posterior cerebral artery, 후방뇌동맥
-BA: basilar artery, 뇌 기저동맥
-OPD: Out-Patient Department, 외래
-temporal windows poor(=poor temporal window): 어떤 지식인 느님이 잘 답변해주셔서 첨부해봄..

->한마디로 측두골 쪽의 window가 poor해서 검사 결과가 쫌 정확하지 않을거예요, 뭐 요런 뜻?
-imp: impression, 예진. 예비진단.
-VFSS: Video 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비디오촬영 연하조영검사.
-Lindegaard ratio (승리의 구글링..)

-c/w: compatible with, 검사결과과 진단명과 일치한다는 뜻
-Rec): recommend, 추천하다, 권하다
-IMT: Intima-media thickness, 내막중막 두께
-CCA: Common Carotid Artery, 총경동맥
-ICA: Internal Carotid Artery, 내경동맥
정형외과 이후로
의학용어 이렇게 달려본건 오랜만...
ㅋㅋㅋ
모르는게 많다보니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