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내용을 삭제하지 마세요!!
아래 선 아래에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
옮겨온 곳 : 붓다의 메아리
글쓴이 : 조만보 님
부처님이 진심을 담아서 가르치시려고 하는 가르침의 참된 진의(眞義), 의도는 무위의 해체된 열반이다.
그런 의미에서 참된 공덕은 무위의 공덕일 뿐이며 일반적인 공덕은 부처님에게 큰 의미를 부여하지 못하는 것이다.
허망하기 때문이며, 영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공덕의 무더기는 (참된 무위의)공덕의 무더기가 아니기 때문에 (단지 유위의)공덕의 무더기이다”
라고 말하는 것이다.
부처님은 형성이 해체된 무위의 상태를 체험했을 뿐만 아니라 항상 그러한 상태에 머무르시기에,
세간의 가치인 유위의 공덕을 방편적으로 인정해 주시긴 하였지만, 본심으로는 그러한 상태에 대해 크게 의미를 부여하지 않으신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금강경에
“만약 어떤 이가 이 경 가운데서 4구게 만이라도 받아 지녀서 남을 위해 설해 주었다면, 그 복덕이 3천 대천세계에 가득 찬 보물을 보시한 공덕보다 훨씬 뛰어나리라”라고 하시는 것이다.
금강경 4구게는 크게 두 가지로 이해된다.
하나는 말 그대로 4구로 된 문장을 말하고,
또 다른 하나는 인도 논리학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존재에 대한 4가지 양태의 표현을 말한다.
즉, 존재는
있거나(有),
없거나(無),
있기도 없기도 하며(有無),
있지도 없지도 않은 상태(非有非無),
이 네 가지이다.
그리고 이에 상응하는 가장 대표적인 4구게는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 非相 則見如來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 비상 즉견여래)’
‘범소유상’은 바로 존재하는 세계의 ‘有’를 지칭하고 ‘개시허망’은 ‘無’를 말한다.
‘약견제상 비상’은 ‘有와 無’의 동시적 상태를, 즉견여래는 비유비무(非有非無)’를 말하는 것이다.
또 다른 4구게는 10장 장엄정토분의
‘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味觸法生心
應無所住 而生其心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미촉법생심
응무소주 이생기심)’이다.
색성향미촉법은 ‘有’, 색에 머물지 않음은 ‘無’이고, ‘응무소주 이생기심’은 ‘비유비무’ ‘불응주성향미촉법생심’은 수행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처럼 4개의 구절에 4가지 의미를 모두 갖춘 것을 4구게라 하고, 이는 탐진치에 의해 드러난 현상적인 측면, 현상의 무상한 측면 그리고 탐진치를 소멸한 본래의 상태와 수행과정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상의 가치에서 본래적 가치로 회귀하는 것을 수행자라고 한다. 본래적 가치로 회귀한다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이 세상에 있는 모든 보배로 보시한 공덕이 경의 4구게를 설명한 것만 못하다는 것이다.
그것은 모든 성자들이 바로 무위의 체험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금강경은 불모(佛母)경이다. 금강경의 4구게가 바로 무위의 체험을 말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부처님의 시설하신 가르침은 왜 참된 가르침이 아닌가?
하면 가르침은 언어에 의지한 유위법이고, 참된 가르침은 무위법 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4구게가 의도하는 바는 무위의 해체된 상태이고, 이는 언설에 의해 닿지 않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불법은 참된 상태를 가리키는 손가락이지 달 자체는 아닌 것이다.
그리하여 부처님의 가르침은 (참된 무위의)
부처님의 가르침이 아니기 때문에 (유위의)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금강경은 모든 것(법)에 본체가 없음, 본래 없음, 모양 없음이라고 하는 해체된 측면을 강조한다.
본래 없음 이라고 하는 것은 해탈, 열반, 무위의 상태이고, 그러한 관점을 강조하는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
하나는 무집착의 수행이란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법의 본래적인 측면이다.
이런 관점에서 금강경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내용이 실생활에 끼치는 영향이란
고락苦樂(수受), 시비是非(想), 호오好惡(行)의 욕망들은 모두 형성된 유위의 법이기 때문에 집착할 것이 아무것도 없고,
집착할 것 없으니 머무르지 말고,
마음을 자유롭게 하여 살라는 것이다.
대금연주
https://youtu.be/buJXROWLsto
@마고본성
누가 어느 나라가
불행하고 힘겹게 인생살며
전쟁통에 망가지고 죽고 싶겠어요..
행복하고 즐겁게 평화롭게
다같이 만족스럽고 잘 살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지를
가장 최고로 합당한 의견과 방안을 내놓는 데가 있다면
좋지 않겠습니까...세계 비핵화로 항구적 평화지대 건설도 그런 취지고
@인향만리
그러니까 황궁씨께서
천부를 비추어서 수증하고
미혹함을 깨끗이 씻어
남김이 없으면 天性을
회복할 것이니
노력하고 노력하소....! ""
라고 당부하셨지요...
그래서 부도지의 기록과
천부의 경이
생겨났는지 모르지만요..
아뭏튼 우리나라엔
천부의 맥脈이 이어져 내렸습니다...태고이래로
@마고본성 네~ 선생님 오늘도 감사합니다~
@인향만리 아유...
질문이 너무 어려웠어요...
결국은 깨달음의 세계에서 현실은 허망인가요?
그냥 흘러가는대로 집착않고 물질과 육체에 의존하는 삶의 굴레에 정신? 마음을 두지않고...
다른 세상에 두면 미친사람 되니까...
마음은 순간순간 감사하며 오늘을 살아라?
순전히 이성과 논리적인 측면에서 드는 의구심입니다.
감성은 다르지만요~^^
깨달음을 얻게 된다면...
아마도 사랑과 감사로 충만할 것입니다~
@인향만리
무엇을 깨닫게 되면 허망할까요??
지복을 얻죠..
모두가 은혜의 관계임을 알게되고
복은 이치가 존립하는데 있다 했으니...
이치를 알면 편안하다...
@마고본성 네~^^
불교는 '실존적 심학'입니다. 물론 우주적 이치의 가장 큰 깨달음인 ' 연기' 일체는 '생주이멸'하는 항상 없는 '일시적 존재상'인 동시에 일체는 시작없는 우주의 과거 전체(인)의 (결)'과'이기에 미세한 먼지하나에도 우주전체가 스며들어있다는 것이지요.
'공-가(유)-중'의 3층위의 사유의 이행과 그 전체를 알아채는 사유관은 변증법적 사유의 전형입니다.
자연-사회-인간(인류) 3층위의 전개와 이행의 '매개'이자 중간항인 사회를 사유하고 사회적 해탈-자리이타 중 '이타'-을 추구하지 않는 실존적 심학은 에고강화로 귀결될 수 밖에 없습니다.
자연적 존재-사회적 존재-실존적 존재 3층위로 사유하든, 자연적 존재-실존적 존재-사회적 존재로 사유하든 중간 '매개항'을 사유하고 행하지 않는 깨달음은 '허망'한 자기강화와 집착입니다.
@너른들 '천-지-인' 3재사상도 현대적인 사유체계로 변형.발전적 전개로 이해하려면 천(우주자연)-지(사회역사)-인간(인류)로 새롭게 새겨 그 구별.차이.다양성. 진화의 양상과 더불어 삼위일체의 전체상.동일성을 함께 사유해야 합니다.
@너른들 감사합니다~^^
사유의 방식에 대한 변증법적 접근과 매개(연결고리)를 고려한 접근은 신선합니다..
결국은 관계(망) 속에서 상호작용하고 있는 법칙과 인과를 탐구하는 것이 과학,종교,철학의 영역에서 교집합으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인향만리
한 큐로 정리해서 말씀하시네요
세상의 모든 교와 학이
십승의 이치에서 만나네.
/격암유록
이 정도를 활용..
형이하학 세상인 물질
과학문명이 앞질러 꽃이 피는 바람에 돈병이 드는 세상이 되었으니
인간의 정신문명도
정도를 정립하여
정신 문명이 주체가 되어 과학문명을 선용 하여야 미래가 밝다는 것..
이.것이 미륵이고 정도령의 역할..
@마고본성 너른들님 말씀 중 핵심은...
상호작용하는 연결망(매개)인 관계의 중요성과 그 속에서 자기역할을 얘기하고 계시네요~^^
@인향만리
나도 이롭고
상대도 이롭고
사회도 이로운
자리이타 중도적 개념이 어디서
기반된 것임을 알고 그 철학과 사상을 장착한
개인들의 역할이 곧 정도령의 역할이겠지요..
그렇지는 않죠...
유와 무의 세계를 상통하는 중도를 보게되면.
유의 세계와 무의 세계를 똑같이 보게되죠...
따라서 유의 세계도 소중한 하나의 과정입니다...,
어느 선사의 말씀처럼 유의 세계를 수처작주 입처개진 처럼...
자기 스스로 주관을 가지고 살다가는 것이죠....
부모에게 효도하고 나라에 충성하고....
유의 세계(물질세계)에서 스스로 주인되어 살다가 무의 세계로 돌아가는 것...
네~ 고맙습니다🙏
불교의 가르침은 삼라만상이 다 마음의 반영이요.
마음이 일어나면 수많은 세계가 생겨나고 마음이 꺼지면
수많은 세계가 사라진다,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실재를 法이라 하고 주관적으로 인식한 세계를
相이라 하는데 문제는 이 相이 사람마다 마음마다 다르다는것이다
마음은 사적인 감정과 욕망으로 세계를 왜곡시킨다
주관적 환상속에서 벗어나 세계를 있는그대로 보는것을 空이라 말한다
儒佛仙의 氣運을 쏙~~뽑아 仙에 붙여놓았느니라.......甑山
주관적 인식의 세계가 相이라...
相은 상대와 작용을 하게하는? 세계인데....
작용이 있게 되면(인)...결과果는 작용하는 순간에 현상으로 나타나는 法이 되어지고...
그런 연장에서 相의 주관적 세계는 현실화 되지 않은 상호작용의 가능성? 확률?로써만 존재하는 세계가 되어지나요?
감사합니다~
주관적 환상을 쏙 제거하고 있는그대로 보는 空은... 仙에 있다는 말씀이시네요?
그럼 결국 원인 因을 염두해 두지않는 果만 보인다는 것인지요?
그 果도 또 다른 因으로 작용되니...어렵네요~^^
@인향만리
불교는
출가수행자 위주의 교단이 유지되어 내려와서
아직도 다분히 관념에 치우친
수행과 교학적인면이 있다고 봅니다.
공사상은 자칫 치열하고 적나라한 인간 세상의 의식주 인간관계적 현실을 별 의미없다고 생각하여
도피하게하고 급기야 허무주의로 흐르게 합니다.
생각속에서 관념으로 파악하려하기보단
법신이 화현된 현상 현실의 삶 속에서
법계의 성리인 과학의 원리와 접목시켜
보다 현실적이고 사실적인 논리를 도출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마고본성
전자기로 빛이 나는 원리
생명이 태어나고 살아가는 것이
곧
불교에서 말하는 법계의 성리와 상통하고 일치하는 플라톤적 이데아인데
공/과 색/이라는
있고 없음으로만
바라본다는 것이....
실상을 어떻게... 불교적으로 완벽히 설명할 수가 있겠는가...
결국은 디테일로 들어가면
과학적 사고와 용어들과 논리를 도입해야 한다고 봅니다..
허무하다고 생각하여 도피한 주처에서도 당장 의식주는 해결해야하는데
그 돈은 결국
사바세계 중생들이 그들과의 상호 긴밀한 조화와 경쟁사이에서 경제활동한 결과에서 나오는 것이지요..
종교가 이부분도 가치있게 조명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마고본성 선생님 말씀에 동감합니다~^^
@인향만리
누가 허망한 것인지...
무엇이 허망하다는 것인지...
응관 법계性里...해야할 시대
@마고본성 불교에서도 깨달음을 얻고 난 뒤에는 다시 제자리라고도 했으니...
비록 空인 몸뚱이로 살지만, 모든 게 空?임을 알고 몸뚱이 두발딛고 사는 현실에서는 남을 위하는 '마음'을 갖고 살아라...
이게 대승불교 아닐까요?
@인향만리 네 공즉색이라니^^
일반인으로서는 어려운 글이 올라
쉽지가 않습니다.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있군요.
금강경 사구게로부터 시작해서...
금강경 사구게라 하면
범소유상 게시허망.................
과 붙어 다니다싶이하는 또 하나.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
이 있는데..
어찌 생략이 되었을까요
그리고
.........응무소주 이생기심.
이 법문도 사구게에 해당하는가요?
처음 알았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