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국 의류, 신발 및 액세서리 시장 규모, 2015년 500억 파운드 돌파 -
- 최근 애슬레저 패션 및 남성 의류 관련 소비 증가세 -
□ 영국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영국 전체 패션시장
- 글로벌 컨설팅 회계기업인 PWC의 2016년 보고서(The UK 'premium lifestyle' clothing, footwear and accessories market)에 따르면 영국의 의류, 신발 및 액세서리 시장은 2009년과 2015년 사이에 꾸준히 성장했으며 2020년 전체 시장 규모(판매액)는629억 파운드에 이를 것으로 예상
- 2015년 기준 의류, 신발 및 액세서리 시장 규모는 500억 파운드를 돌파했는데, 이 중 여성의류는 237억 파운드, 남성의류는 108억 파운드, 아동의류는 53억 파운드, 신발류는 77억 파운드, 액세서리는 29억 파운드 판매를 기록함.
2005~2020년 영국 의류, 신발 및 액세서리 시장 규모
(단위: 십억 파운드)
자료원: PWC
ㅇ 품목별 판매 동향
여성의류 판매 동향
(단위: 백만 파운드)
구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나이트웨어 | 594.5 | 614.6 | 617.5 | 614.7 | 606.0 | 600.7 |
아우터웨어 | 16,973.7 | 17,590.8 | 18,017.5 | 18,277.7 | 18,363.9 | 18,445.2 |
청바지류 | 918.5 | 965.1 | 989.2 | 1,020.2 | 1,035.8 | 1,052.5 |
수영복 | 132.0 | 138.7 | 145.5 | 150.1 | 152.5 | 155.3 |
언더웨어 | 2,064.3 | 2,183.1 | 2,245.8 | 2,291.3 | 2,303.4 | 2,320.6 |
여성의류(전체) | 20,683.0 | 21,492.3 | 22,015.6 | 22,353.9 | 22,461.6 | 22,574.2 |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남성의류 판매 동향
(단위: 백만 파운드)
구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나이트웨어 | 202.1 | 201.6 | 202.4 | 204.7 | 204.2 | 204.6 |
아우터웨어 | 8,374.5 | 8,572.9 | 8,806.6 | 8,960.1 | 9,033.9 | 9,127.0 |
청바지류 | 1,192.9 | 1,234.4 | 1,267.0 | 1,309.1 | 1,331.8 | 1,359.6 |
수영복 | 146.0 | 152.2 | 162.0 | 167.8 | 171.1 | 174.4 |
언더웨어 | 808.4 | 846.2 | 861.2 | 879.8 | 874.6 | 870.7 |
남성의류(전체) | 10,723.9 | 11,007.3 | 11,299.2 | 11,521.5 | 11,615.6 | 11,736.4 |
자료원: Euromonitor
□ 최신 트렌드 분석
ㅇ 핫 트렌드, 애슬레저(Athleisure) 붐
- 애슬레저란 운동을 뜻하는 'athletic'과 여가를 뜻하는 'leisure'에서 파생된 합성어로, 텔레그래프지에 따르면 애슬레저라는 단어는 1976년 트레이너들을 위한 광고문구로 처음 사용됐지만 운동할 때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착용할 수 있는 패션의류를 뜻하는 말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음.
- 유로모니터(Euromonitor)의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브렉시트에 따른 경제적 불확실성에도, 2016년 영국의 의류 및 신발산업의 전발적인 매출 성장을 유지하는데 애슬레저 제품들의 판매증가가 일조를 함.
- 텔레크래프지의 기사에 따르면 영국 내 애슬레저 용품 관련 지출(Spending)은 2014년 45억 파운드에서 2016년 51억 파운드로13.33% 증가했으며 애슬레저 용품 지출 중 의류는 55%, 신발류는 34%를 차지
영국 애슬레저 용품 관련 지출 | 애슬레저 품목별 지출 |
|
|
자료원: 텔레크래프지
- 유로모니터는 애슬레저 패션 중 일상에서도 매일 입을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인 '레깅스' 제품에 주목했는데, 2016년 여성 레깅스의 특징은 대담한 무늬(예: 꽃무늬)의 패턴 레깅스가 인기를 끌었음. '편안함'뿐만 아니라 '저렴함'으로 가격에 민감한 영국 소비자들을 공략했다고 평가함.
ㅇ 남성의류 소비에 대한 관심 급증
-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영국 남성들은 패션트렌드와 스타일에 점점 더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는데 이는 페이스북(facebook) 및 인스타그램(Instagram)과 같은 소셜미디어의 영향인 것으로 분석함. 특히 이러한 경향은 40세 이하의 젊은 남성층에 강력하게 나타나지만, 60세 이상 남성층에서도 밝은 색이나 파스텔 색 패션에 대한 실험적 시도가 증가하는 등 남성의 패션에 대한 관심은 모든 연령대의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음.
- 특히 영국 남성들은 품질에 중점을 두며, 결과적으로는 적은 수의 물건을 구입하면서도 더 많은 돈을 지불하려는 경향이 있음.
- 2016년 애슬레저 패션에 대한 소비는 여성보다 두드러지진 않았으나, 남성의류에도 업무상 용도와 사교적 용도로 모두 입을 수 있는 캐주얼한 디자인으로의 전환이 특징적으로 나타남.
ㅇ 온라인 및 모바일을 통한 매출 성장
- PWC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의류, 신발 및 액세서리 전체 판매(약 500억 파운드) 중 20%는 온라인에서 이루어졌으며, 2020년에는 전체 판매(약 630억 파운드) 중 28.8%가 온라인에서 거래될 것으로 예측
영국 의류, 신발 및 액세서리 판매채널(온·오프라인) 비중 비교
자료원: PWC
- 유로모니터도 스마트폰을 활용한 소비 증가에 주목했는데, 현대인들이 스마트폰에 점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면서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과 같은 플랫폼이 마케팅 채널로써 더욱 각광받고 있다고 분석
□ 영국 내 수입동향 분석
ㅇ 영국의 최근 3년간 수입 규모
- HS Code(61기준): 의류와 그 부속품(메리야스 편물이나 뜨개질 편물)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명 | 2014년(점유율) | 2015년(점유율) | 2016년(점유율) |
1위 | 중국 | 2,964,690(24.90) | 2,667,741(23.58) | 2,465,658(22.61) |
2위 | 방글라데시 | 1,192,379(10.01) | 1,360,956(12.03) | 1,385,142(12.70) |
3위 | 터키 | 1,497,212(12.57) | 1,289,904(11.40) | 1,141,825(10.47) |
4위 | 인도 | 703,860(5.91) | 692,751(6.12) | 650,007(5.96) |
5위 | 독일 | 474,752(3.99) | 468,338(4.14) | 570,499(5.23) |
6위 | 캄보디아 | 512,521(4.30) | 558,451(4.94) | 526,856(4.83) |
7위 | 이탈리아 | 677,701(5.69) | 588,103(5.20) | 496,004(4.55) |
8위 | 네덜란드 | 378,379(3.18) | 383,358(3.39) | 447,010(4.10) |
9위 | 파키스탄 | 337,160(2.83) | 336,226(2.97) | 350,377(3.21) |
10위 | 프랑스 | 335,609(2.82) | 342,616(3.03) | 343,438(3.15) |
전체 | 11,908,459(100) | 11,312,720(100) | 10,906,205(100) |
주*: 순위는 2016년 기준
자료원: Global Trade Atlas(GTA)
- HS Code(62기준): 의류와 그 부속품(메리야스 편물이나 뜨개질 편물 제외)
(단위: 천 달러, %)
순위* | 국가명 | 2014년(점유율) | 2015년(점유율) | 2016년(점유율) |
1위 | 중국 | 3,225,255(27.29) | 2,907,136(25.70) | 2,682,939(24.41) |
2위 | 방글라데시 | 1,111,165(9.40) | 1,257,454(11.12) | 1,294,235(11.78) |
3위 | 이탈리아 | 729,221(6.17) | 661,836(5.85) | 693,829(6.31) |
4위 | 인도 | 735,086(6.22) | 693,884(6.13) | 633,693(5.77) |
5위 | 터키 | 633,957(5.36) | 571,795(5.06) | 565,276(5.14) |
6위 | 독일 | 449,445(3.80) | 442,009(3.91) | 537,681(4.89) |
7위 | 프랑스 | 461,102(3.90) | 471,736(4.17) | 474,239(4.32) |
8위 | 스페인 | 410,371(3.47) | 419,219(3.71) | 447,002(4.07) |
9위 | 루마니아 | 457,664(3.87) | 447,960(3.96) | 408,895(3.72) |
10위 | 베트남 | 334,963(2.83) | 363,880(3.22) | 402,738(3.66) |
전체 | 11,819,388(100) | 11,310,687(100) | 10,990,336(100) |
주*: 순위는 2016년 기준
자료원: Global Trade Atlas(GTA)
ㅇ 최근 3년간 영국의 대한 수입 규모
- HS Code(61류 기준): 의류와 그 부속품(메리야스 편물이나 뜨개질 편물)
(단위: 천 달러)
HS Code | 항목명 | 2014년 | 2015년 | 2016년 |
6116 | 장갑류(gloves) | 5,096 | 4,476 | 4,909 |
6115 | 팬티호스(panty hose)·타이츠(tights)·스타킹과 그 밖의 양말류 | 3,446 | 2,147 | 2,334 |
6110 | 저지(jersey)·풀오버(pullover)·카디건(cardigan)· 웨이스트코트(waistcoat)와 이와 유사한 의류 | 898 | 735 | 891 |
61류 | HS Code 61류(전체) | 12,428 | 9,228 | 10,399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GTA)
- HS Code(62류 기준): 의류와 그 부속품(메리야스 편물이나 뜨개질 편물 제외)
(단위: 천 달러)
HS Code | 항목명 | 2014년 | 2015년 | 2016년 |
6204 | 여성용이나 소녀용 슈트·앙상블(ensemble) 기타 | 865 | 755 | 1,261 |
6205 | 남성용이나 소년용 셔츠 | 149 | 175 | 772 |
6210 | 의류(직물류, 직물로 만든) | 1,516 | 628 | 447 |
62류 | (전체) | 5,122 | 3,441 | 5,842 |
자료원: Global Trade Atlas(GTA)
□ 영국 내 주요 경쟁기업
여성의류(소매)분야 Top7 기업별 시장점유율(단위: %)
기업명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Marks & Spencer Plc | 6.7 | 6.4 | 6.2 | 6.1 | 6.0 |
Asda Stores Ltd | 5.2 | 5.4 | 5.5 | 5.5 | 5.5 |
Primark Stores Ltd | 4.0 | 4.1 | 4.2 | 4.3 | 4.4 |
Arcadia Group Ltd | 4.4 | 4.2 | 4.1 | 4.1 | 4.1 |
Next Plc | 4.2 | 3.9 | 4.0 | 4.0 | 4.0 |
New Look Retailers Ltd | 2.7 | 2.7 | 2.8 | 2.9 | 3.0 |
H&M Hennes&Mauritz (UK) | 1.8 | 1.9 | 1.9 | 2.0 | 2.0 |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남성의류(소매)분야 Top7 기업별 시장점유율(단위: %)
기업명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Marks & Spencer Plc | 9.2 | 8.9 | 8.8 | 8.8 | 8.7 |
Next Plc | 6.7 | 6.4 | 6.4 | 6.5 | 6.4 |
Primark Stores Ltd | 5.6 | 5.7 | 5.8 | 5.8 | 5.8 |
Asda Stores Ltd | 4.8 | 4.6 | 4.7 | 4.6 | 4.6 |
Matalan Ltd | 3.0 | 3.0 | 3.0 | 3.0 | 3.0 |
Arcadia Group Ltd | 2.8 | 2.8 | 2.8 | 2.9 | 2.9 |
adidas (UK) Ltd | 2.1 | 2.2 | 2.3 | 2.5 | 2.6 |
자료원: 유로모니터(Euromonitor)
□ 관세율 및 주요 규제 사항
ㅇ 영국 HS Code 분류기준별 주요 수입 관세율
HS Code | EU외 지역 수입 관세율(%) | 대한 수입 관세율(%) |
6110.20.1000(면으로 만든 저지, 풀오버류) | 12.00 | 0.00 |
6115.95.0000(면으로 만든 팬티호스,타이츠,양말류) | 12.00 | 0.00 |
6116.91.0000(양모, 동물의 털로 만든 장갑류) | 8.90 | 0.00 |
6204.12.0090(면으로 만든 여성용 슈트류 기타) | 12.00 | 0.00 |
6205.20.0090(면으로 만든 남성용 셔츠류 기타) | 12.00 | 0.00 |
자료원: 영국 정부 사이트(gov.uk)
ㅇ 주요 규제
- 영국 정부 사이트(gov.uk)에 따르면 영국 내에서 수입 의류 및 신발류를 판매하는 경우, 관련 제품이 안전 규정 및 라벨링 요구사항을 충족했는지 확인해야 함.
- 섬유 제품(Textile Products)에 대한 규정 주요내용
① 섬유 제품은 섬유로 구성돼 있음을 나타내는 라벨(label) 또는 마크(Mark)가 있어야함. 섬유 함량은 통일된 글자로 명확히 읽을 수 있게 표시돼야 하며, 상표 및 비즈니스명을 제외한 모든 다른 정보와 분리돼 식별 가능해야 함.
② 섬유 제품의 정의 : 상품 중량의 80%이상이 섬유(Textile) 성분으로 구성돼 있어야 함. 특히 '100%', 'Pure(순수)', 'All(모든)'과 같은 설명은 제품이 하나의 섬유로만 구성된 경우 사용해야 함.
③ 제품이 2개 이상의 섬유로 구성돼 있고 한 섬유가 중량의 최소 85%를 차지하는 경우, 주요 섬유는 %와 함께 표시됨(예: 85% Cotton 혹은 Cotton 85%).
④ 자세한 규정 관련 내용은 'the Textile Products (Indication of Fibre Content) Regulations 1986' 참조
- 사이즈 관련: 옷의 크기는 국가마다 상이하며, 상점마다 다를 수 있음. 법으로 준수해야 하는 규정은 없지만 일반적인 의류의 사이즈 표기 관련해서는 유럽의 3가지 표준(EN 13402-1: 2001, EN 13402-2: 2002 및 EN 13402-3: 2004)이 알려져 있음.
- 영국 내 어린이 의류 및 신발이 수입돼 고객에게 판매되는 경우에는 안전과 관련해 후드(Hood), 코드와 끈 및 잠옷(Nightwear)의 인화성 관련 다음 세 가지 ①the General Product Safety Regulations 2005, ②the Children’s Clothing(Hood Cords) Regulations 1976, ③the Nightwear(Safety) Regulations 1985 규정을 충족해야 함.
□ 시사점
ㅇ 영국의 의류, 신발 및 액세서리 시장 규모는 2015년 500억 파운드를 돌파했으며, 2019~2020년 600억 파운드를 넘어설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음.
- 브렉시트로 인한 불확실성 확산에도 불구하고, 일상생활에서도 입을 수 있는 운동복과 같은 애슬레저 패션이 유행하면서 2016년 영국의 의류 및 신발산업의 전발적인 매출 성장세를 유지하는데 일조를 함.
- 또한 소셜미디어 등의 영향으로 남성세대들의 패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남성 패션 관련시장이 점점 커져가고 있는 추세
ㅇ 영국 소매 컨소시엄(British Retail Consortium)의 회장이자 영국 유명백화점인 존 루이스(John Lewis)와 슈퍼마켓인 웨이트로즈(Waitrose)를 소유하고 있는 존 루이스 파터너십 회장인 찰리 메이필드 경(Sir Charlie Mayfield)은 영국 유명 패션 트레이드 쇼를 개최하는 퓨어 런던(Pure London)의 보고서에서 "영국의 유통업계는 점점 더 새로운 브랜드와 공급업체(Suppliers)를 찾고 있다"며시장의 새로운 패션 제작자들, 디자이더, 브랜드 및 공급업체들이 영국과 유통시장을 주목해 주기를 권장함.
ㅇ 영국에서는 매년 패션관련 주요 전시회들이 개최되고 있으며, 전시참가는 최신 트렌드 파악뿐만 아니라 새로운 유통망을 찾을 수 있는 기회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
영국 주요 패션 관련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 | 개최 일정 및 장소 |
LONDON FASHION WEEK (런던 패션 위크, 세계 4대 컬렉션) | 2017년 9월 15~19일(S/S 시즌) 2018년 2월 16~20일(F/W 시즌) |
PURE LONDON(패션 트레이드 쇼) | 2018년 2월 11~13일(Olympia London) |
MODA UK(패션 트레이드 전시회) | 2018년 2월 18~20일(NEC 버밍험) |
자료원: LONDON FASHION WEEK, PURE LONDON, MODA UK 홈페이지
자료원: PWC, 유로모니터(Euromonitor), 텔레크래프지, Global Trade Atlas(GTA), 영국정부 사이트(gov.uk), PURE LONDON, LONDON FASHION WEEK, MODA UK 및 KOTRA 런던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