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업체노동력조사 보도자료는 종사자 및 입이직자 현황, 임금 및 근로시간 등을 제공하고 있음 ㅇ ‘300인 미만 또는 300인 이상 사업체’는 기업단위 규모 분류기준인 중소기업(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제3조에 따름) / 대기업과는 다름 ㅇ 종사상지위에 따른 분류인 상용직과 임시일용직은 고용형태별 분류인 정규직‧비정규직과는 다름 ㅇ 계절조정지수는 계절조정계열을 지수화(2015.12=100.0)한 것임 * 매년 1월 기준 고용 및 근로실태 결과 공표, 고용부문 최신 모집단 반영 시에 계절조정지수를 새롭게 작성하고 전체 시계열을 소급 보정함 ㅇ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2017년) 개정사항을 반영하여 고용부문 통계는 2018년 1월 자료부터, 근로실태부문은 2020년 1월 자료부터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결과를 공표함 □ 사업체노동력조사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노동수요 측면의 사업체 내 종사자 총량, 전체 근로자의 임금‧근로시간 총량 등을 파악하는 사업체 단위 조사로, 근로자 개인의 인적 속성(연령, 학력 등)은 조사하지 않음 ㅇ 조사목적, 조사대상, 조사기준 등이 노동공급 측면을 파악하는 가구조사인 경제활동인구조사와 다르므로 자료 이용시 유의하여야 함
□ 최신모집단 정보인 「2019년 사업체노동실태현황」이 공표됨에 따라 고용부문 통계는 2019년 1월 이후 자료부터 보정됨 ㅇ 또한, 2021년 6월 결과 공표 시부터 2021년 1월 이후 자료에 대하여 시도별 제조업 중분류 고용부문 통계를 제공함 □ 모든 통계자료는 세목과 총계가 각각 반올림되었으므로 세목의 합계가 총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음
목 차 Ⅰ. 고용부문(잠정결과) 1 1. 종사자 2 2. 입‧이직자 5 3. 시도별 고용부문 12 Ⅱ. 근로실태부문 16 1. 임금 17 2. 근로시간 19 □ 통계표 22 <참고1> 사업체노동력조사 개요 47 <참고2> 자주하는 질문 50 <참고3> 산업분류 약칭 설명 53 |
1. 종사자(’22.2월 말) □ (총괄) ’22.2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18,944천명으로 전년동월(18,416천명)대비 528천명(+2.9%) 증가 * 코로나19로 인해 전년동월 종사자 수가 감소한 기저효과 등으로 ’21.3월부터 12개월 연속 종사자 수 증가 □ 주요 특성별 ㅇ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는 전년동월대비 285천명(+1.8%) 증가, 임시일용근로자는 244천명(+14.4%) 증가, 기타종사자는 1천명(-0.1%) 감소 < 종사상지위별 종사자 수 동향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 ’21.2월 | ’22.1월 | 2월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전 체 | 18,416 | -218 | -1.2 | 18,879 | 500 | 2.7 | 18,944 | 528 | 2.9 | [계절조정지수, ’15.12=100] | [109.2] | | | [111.8] | | | [112.4] | | | | 상용 | 15,590 | -286 | -1.8 | 15,852 | 264 | 1.7 | 15,875 | 285 | 1.8 | | 임시일용 | 1,688 | 86 | 5.4 | 1,893 | 239 | 14.5 | 1,931 | 244 | 14.4 | | 기타종사자* | 1,139 | -17 | -1.5 | 1,134 | -3 | -0.3 | 1,138 | -1 | -0.1 |
* 기타종사자: 일정한 급여 없이 봉사료 또는 판매실적에 따라 판매수수료만을 받는 자와 업무를 습득하기 위하여 급여 없이 일하는 자 및 그 밖의 종사자 ㅇ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은 15,915천명으로 444천명(+2.9%) 증가, 300인 이상은 3,029천명으로 84천명(+2.8%) 증가 < 사업체 규모별 종사자 수 동향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 ’21.2월 | ’22.1월 | 2월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전 체 | 18,416 | -218 | -1.2 | 18,879 | 500 | 2.7 | 18,944 | 528 | 2.9 | | 300인 미만 | 15,471 | -239 | -1.5 | 15,869 | 421 | 2.7 | 15,915 | 444 | 2.9 | | 300인 이상 | 2,945 | 22 | 0.7 | 3,010 | 79 | 2.7 | 3,029 | 84 | 2.8 |
ㅇ (산업별) 증가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29천명, +6.6%),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68천명, +6.1%), 숙박 및 음식점업(+64천명, +6.1%) 순, - 감소한 산업은 금융 및 보험업(-5천명, -0.6%) 등 - 전 산업 중 종사자 수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약 19%)은 41천명 증가 * 제조업 증감(천명, 전년동월대비): (’21.11월)+32→ (12월)+28→ (’22.1월)+31→ (2월)+41 < 산업별 종사자 수 동향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 ’21.2월 | ’22.1월 | 2월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전 체 | 18,416 | -218 | -1.2 | 18,879 | 500 | 2.7 | 18,944 | 528 | 2.9 | | 광업 | 12 | 0 | -0.7 | 12 | 0 | -1.1 | 12 | 0 | -1.7 | | 제조업 | 3,645 | -75 | -2.0 | 3,679 | 31 | 0.8 | 3,686 | 41 | 1.1 | | 전기,가스,증기,공기조절공급업 | 69 | 1 | 2.0 | 70 | 1 | 0.8 | 69 | 0 | 0.0 | | 수도,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업 | 115 | 3 | 2.4 | 119 | 4 | 3.9 | 120 | 4 | 3.8 | | 건설업 | 1,363 | 11 | 0.8 | 1,352 | -12 | -0.9 | 1,370 | 6 | 0.5 | | 도매 및 소매업 | 2,255 | -47 | -2.0 | 2,292 | 37 | 1.7 | 2,293 | 38 | 1.7 | | 운수 및 창고업 | 703 | -29 | -4.0 | 705 | 1 | 0.1 | 704 | 2 | 0.2 | | 숙박 및 음식점업 | 1,049 | -160 | -13.2 | 1,119 | 72 | 6.9 | 1,113 | 64 | 6.1 | | 정보통신업 | 638 | 32 | 5.2 | 689 | 54 | 8.4 | 691 | 53 | 8.3 | | 금융 및 보험업 | 773 | 16 | 2.1 | 770 | -3 | -0.4 | 768 | -5 | -0.6 | | 부동산업 | 420 | 12 | 3.0 | 437 | 18 | 4.4 | 440 | 20 | 4.9 | |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 1,118 | 37 | 3.4 | 1,182 | 70 | 6.3 | 1,186 | 68 | 6.1 | |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서비스업 | 1,110 | -59 | -5.0 | 1,117 | 8 | 0.7 | 1,121 | 11 | 1.0 | |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 806 | 35 | 4.6 | 817 | 36 | 4.6 | 848 | 42 | 5.2 | | 교육서비스업 | 1,577 | -9 | -0.5 | 1,628 | 42 | 2.6 | 1,614 | 37 | 2.4 | |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 1,950 | 73 | 3.9 | 2,068 | 118 | 6.1 | 2,079 | 129 | 6.6 | |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 | 287 | -40 | -12.3 | 293 | 18 | 6.6 | 297 | 10 | 3.5 | | 협회,단체,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 | 526 | -18 | -3.4 | 531 | 6 | 1.1 | 533 | 7 | 1.4 |
| < 참 고 > | | | | 【산업중분류별 종사자 수 증감 현황(’22.2월)】 ㅇ (제조업) 제조업 산업중분류(25개) 중 종사자 수가 증가한 산업은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2천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1천명), 화학 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6천명) 순, - 감소한 산업은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4천명), 의복,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3천명), 섬유제품 제조업(-3천명) 순 < 제조업 중분류별 종사자 수 및 증감(’22.2월) > ㅇ (비제조업) 비제조업 산업중분류(46개) 중 종사자 수가 증가한 산업은 사회복지서비스업(+77천명), 음식점 및 주점업(+60천명), 보건업(+52천명) 순, - 감소한 산업은 육상 운송 및 파이프라인 운송업(-4천명), 금융업(-3천명), 보험 및 연금업(-1천명) 순 < 비제조업 중분류별 종사자 수 및 증감(’22.2월) > * 비제조업(46개 중분류) 중 전년동월대비 증가, 감소 순위 각 12개 중분류를 선정 |
2. 입‧이직자(’22.2월 중) * 입‧이직자는 사업체 종사자 중 기타종사자를 제외하고 조사함 □ (총괄) ’22.2월 중 입직자는 889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6천명(+5.5%) 증가, 이직자는 828천명으로 21천명(+2.6%) 증가 < 입직자 및 이직자 동향 >
<참고> ▸ ’22.2월은 입직자가 이직자보다 61천명 많음 → 이는 상용+임시일용근로자가 전월(’22.1월)보다 ’22.2월에 61천명 증가하였음을 의미 ▸ 전년동월대비 입직 증가(+46천명)가 이직 증가(+21천명)보다 25천명 더 큼 → 이는 상용+임시일용근로자의 ’22.2월 증감폭(+529천명)이 ’22.1월 증감폭(+503천명)보다 상대적으로 확대(+25천명)되었음을 의미 |
ㅇ (입·이직률) ’22.2월 입직률은 5.0%로 전년동월대비 0.1%p 상승, 이직률은 4.7%로 전년동월대비 비슷한 수준 < 입직자(률) 및 이직자(률) 동향 > (단위: 천명, %, %p, 전년동월대비)
| ’21.2월 | ’22.1월 | 2월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입직자 | 843 | 72 | 9.4 | 1,108 | 86 | 8.5 | 889 | 46 | 5.5 | | 입직률1) | 4.9 | 0.5 | | 6.2 | 0.3 | | 5.0 | 0.1 | | 이직자 | 807 | -125 | -13.4 | 1,139 | 47 | 4.3 | 828 | 21 | 2.6 | | 이직률2) | 4.7 | -0.6 | | 6.4 | 0.1 | | 4.7 | 0.0 | |
주: 1)입직률 = 입직자/[{조사기준월 근로자(상용+임시일용) + 조사기준전월 근로자(상용+임시일용)}/2]×100 2)이직률 = 이직자/[{조사기준월 근로자(상용+임시일용) + 조사기준전월 근로자(상용+임시일용)}/2]×100
ㅇ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 입직자는 775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3천명(+5.8%) 증가, 이직자는 727천명으로 15천명(+2.1%) 증가 - 상용 300인 이상 사업체 입직자는 113천명으로 4천명(+3.3%) 증가, 이직자는 101천명으로 6천명(+6.0%) 증가 < 사업체 규모별 입직자 및 이직자 동향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 ’21.2월 | ’22.1월 | 2월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300인 미만 | 입직자 | 733 | 52 | 7.6 | 934 | 72 | 8.3 | 775 | 43 | 5.8 | | 이직자 | 712 | -130 | -15.4 | 976 | 58 | 6.4 | 727 | 15 | 2.1 | 300인 이상 | 입직자 | 110 | 20 | 22.9 | 174 | 14 | 9.0 | 113 | 4 | 3.3 | | 이직자 | 95 | 4 | 4.8 | 163 | -11 | -6.4 | 101 | 6 | 6.0 |
□ (입‧이직 사유별) 입직 중 채용은 788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71천명(+9.9%) 증가, 기타 입직은 101천명으로 25천명(-19.6%) 감소 ㅇ 이직 중 자발적 이직은 297천명으로 44천명(+17.2%) 증가, 비자발적 이직은 419천명으로 10천명(-2.3%) 감소, 기타 이직은 112천명으로 13천명(-10.2%) 감소 < 입‧이직 사유별 입직자 및 이직자 동향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 ’21.2월 | ’22.1월 | 2월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상용+임시일용근로자 | 17,277 | -200 | -1.1 | 17,745 | 503 | 2.9 | 17,806 | 529 | 3.1 | 입직자 | 843 | 72 | 9.4 | 1,108 | 86 | 8.5 | 889 | 46 | 5.5 | | 채용 | 716 | 37 | 5.5 | 936 | 123 | 15.2 | 788 | 71 | 9.9 | | 기타 | 126 | 35 | 38.7 | 173 | -37 | -17.6 | 101 | -25 | -19.6 | 이직자 | 807 | -125 | -13.4 | 1,139 | 47 | 4.3 | 828 | 21 | 2.6 | | 자발적 | 253 | -85 | -25.1 | 328 | 47 | 16.9 | 297 | 44 | 17.2 | | 비자발적 | 429 | -19 | -4.2 | 615 | 19 | 3.2 | 419 | -10 | -2.3 | | 기타 | 125 | -21 | -14.7 | 196 | -19 | -8.9 | 112 | -13 | -10.2 |
주) 「기타 입직」은 본‧지사간 전입, 복직 등 「자발적 이직」은 근로자 스스로 퇴직한 경우 등 「비자발적 이직」은 고용계약종료, 구조조정, 합병 및 해고 등에 따른 면직 등 「기타 이직」은 본‧지사간 전출, 정년퇴직‧사망, 병가‧육아휴직, 무급휴직 등
ㅇ (채용) 채용(788천명) 중 상용직은 341천명으로 48천명(+16.2%) 증가, 임시일용직은 446천명으로 23천명(+5.5%) 증가 - 증가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7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16천명) 순, 감소한 산업은 운수 및 창고업(-6천명),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1천명) 순 < 산업별 채용 동향(’22.2월 중)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 채용 | | | | | 상용 | | | 임시일용 |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전 체 | 788 | 71 | 9.9 | 341 | 48 | 16.2 | 446 | 23 | 5.5 | | 광업 | 0 | 0 | -32.0 | 0 | 0 | -27.7 | 0 | 0 | -40.4 | | 제조업 | 109 | 9 | 9.2 | 66 | 10 | 17.0 | 44 | 0 | -0.7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0 | 0 | -30.8 | 0 | 0 | -45.7 | 0 | 0 | -7.4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 | 3 | 0 | 1.4 | 2 | 0 | 5.1 | 2 | 0 | -2.2 | | 건설업 | 211 | 15 | 7.5 | 21 | 3 | 18.9 | 190 | 11 | 6.4 | | 도매 및 소매업 | 73 | 8 | 12.0 | 41 | 6 | 16.5 | 32 | 2 | 6.7 | | 운수 및 창고업 | 14 | -6 | -28.6 | 8 | 0 | 4.1 | 6 | -6 | -50.4 | | 숙박 및 음식점업 | 95 | 16 | 21.0 | 30 | 4 | 15.9 | 65 | 12 | 23.5 | | 정보통신업 | 18 | 2 | 10.2 | 14 | 2 | 13.9 | 4 | 0 | -2.7 | | 금융 및 보험업 | 5 | 1 | 14.0 | 4 | 0 | 14.5 | 1 | 0 | 12.6 | | 부동산업 | 11 | 2 | 19.1 | 10 | 2 | 21.6 | 1 | 0 | 1.9 | |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28 | 1 | 5.3 | 22 | 2 | 9.3 | 6 | 0 | -7.0 | |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 63 | 7 | 11.8 | 37 | 5 | 14.9 | 25 | 2 | 7.4 | |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 34 | 0 | 1.4 | 2 | 0 | -1.7 | 31 | 1 | 1.7 | | 교육서비스업 | 18 | -1 | -3.2 | 12 | 0 | -2.1 | 6 | 0 | -5.2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 74 | 17 | 29.1 | 59 | 14 | 29.9 | 15 | 3 | 26.3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 15 | -1 | -4.9 | 5 | 0 | 5.2 | 11 | -1 | -8.7 |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 16 | 1 | 5.8 | 8 | 1 | 7.2 | 8 | 0 | 4.4 |
ㅇ (기타 입직) 기타 입직(101천명) 중 상용직은 99천명으로 25천명(-20.4%) 감소, 임시일용직은 2천명으로 1천명(+32.8%) 증가 - 감소한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7천명), 운수 및 창고업(-4천명) 순이며 대부분의 산업에서 감소 < 산업별 기타 입직 동향(’22.2월 중)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 기타 입직 | | | | | 상용 | | | 임시일용 |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전 체 | 101 | -25 | -19.6 | 99 | -25 | -20.4 | 2 | 1 | 32.8 | | 광업 | 0 | 0 | 18.5 | 0 | 0 | -3.7 | 0 | 0 | - | | 제조업 | 9 | -3 | -21.4 | 9 | -3 | -23.5 | 0 | 0 | 148.6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2 | -1 | -36.7 | 2 | -1 | -38.6 | 0 | 0 | -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 | 1 | 0 | -15.8 | 1 | 0 | -15.7 | 0 | 0 | 0.0 | | 건설업 | 2 | -1 | -22.9 | 2 | -1 | -23.9 | 0 | 0 | 21.2 | | 도매 및 소매업 | 6 | -1 | -8.2 | 6 | -1 | -8.8 | 0 | 0 | 215.0 | | 운수 및 창고업 | 12 | -4 | -27.1 | 12 | -4 | -26.6 | 0 | 0 | -62.3 | | 숙박 및 음식점업 | 3 | -7 | -70.4 | 3 | -7 | -73.1 | 0 | 0 | 34.8 | | 정보통신업 | 2 | -1 | -34.5 | 2 | -1 | -31.9 | 0 | 0 | -73.2 | | 금융 및 보험업 | 6 | -2 | -30.1 | 6 | -2 | -30.4 | 0 | 0 | 42.9 | | 부동산업 | 1 | 0 | -7.7 | 1 | 0 | -1.9 | 0 | 0 | -95.7 | |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5 | -2 | -27.0 | 5 | -2 | -27.8 | 0 | 0 | 283.3 | |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 4 | 0 | 5.1 | 4 | 0 | 5.8 | 0 | 0 | -14.5 | |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 39 | 0 | -0.7 | 38 | 0 | -0.8 | 0 | 0 | 19.5 | | 교육서비스업 | 4 | 0 | -0.6 | 4 | 0 | -3.3 | 0 | 0 | 2,060.0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 3 | -1 | -18.9 | 3 | -1 | -27.6 | 0 | 0 | 5,750.0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 2 | -2 | -51.8 | 2 | -2 | -58.5 | 1 | 0 | 2.2 |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 1 | 0 | 7.9 | 1 | 0 | 7.9 | 0 | 0 | 50.0 |
ㅇ (자발적 이직) 자발적 이직(297천명) 중 상용직은 243천명으로 25천명(+11.4%) 증가, 임시일용직은 54천명으로 19천명(+53.2%) 증가 - 증가한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13천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천명) 순이며 대부분의 산업에서 증가 < 산업별 자발적 이직 동향(’22.2월 중)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 자발적 이직 | | | | | 상용 | | | 임시일용 |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전 체 | 297 | 44 | 17.2 | 243 | 25 | 11.4 | 54 | 19 | 53.2 | | 광업 | 0 | 0 | 17.5 | 0 | 0 | 19.7 | 0 | 0 | -28.6 | | 제조업 | 55 | 4 | 7.2 | 50 | 4 | 7.8 | 5 | 0 | 1.7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0 | 0 | 107.8 | 0 | 0 | 111.1 | 0 | 0 | 100.0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 | 1 | 0 | -7.4 | 1 | 0 | -6.1 | 0 | 0 | -34.7 | | 건설업 | 18 | 2 | 10.8 | 15 | 0 | 0.1 | 3 | 2 | 137.2 | | 도매 및 소매업 | 37 | 4 | 13.0 | 29 | 0 | 1.3 | 9 | 4 | 84.7 | | 운수 및 창고업 | 8 | 0 | -3.7 | 8 | 0 | -5.6 | 1 | 0 | 26.7 | | 숙박 및 음식점업 | 46 | 13 | 41.2 | 26 | 6 | 29.3 | 19 | 7 | 61.1 | | 정보통신업 | 11 | 3 | 30.4 | 10 | 2 | 26.1 | 1 | 1 | 72.6 | | 금융 및 보험업 | 3 | 1 | 49.0 | 3 | 1 | 52.0 | 0 | 0 | 21.4 | | 부동산업 | 6 | 1 | 23.2 | 5 | 1 | 18.0 | 0 | 0 | 208.9 | |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15 | 2 | 13.5 | 14 | 2 | 13.9 | 1 | 0 | 9.3 | |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 26 | 3 | 12.3 | 22 | 2 | 7.3 | 4 | 1 | 57.7 | |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 2 | 0 | 19.0 | 1 | 0 | 27.5 | 1 | 0 | 10.6 | | 교육서비스업 | 9 | 0 | 3.9 | 8 | 0 | 6.0 | 1 | 0 | -7.4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 48 | 8 | 19.6 | 42 | 6 | 15.2 | 5 | 2 | 69.3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 5 | 2 | 49.6 | 3 | 1 | 29.0 | 2 | 1 | 108.2 |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 7 | 1 | 22.1 | 6 | 1 | 29.9 | 1 | 0 | -17.5 |
ㅇ (비자발적 이직) 비자발적 이직(419천명) 중 상용직은 70천명으로 11천명(-14.1%) 감소, 임시일용직은 350천명으로 2천명(+0.5%) 증가 - 증가한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8천명), 교육서비스업(+2천명) 순, 감소한 산업은 운수 및 창고업(-7천명), 건설업(-6천명) 순 < 산업별 비자발적 이직 동향(’22.2월 중)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 비자발적 이직 | | | | | 상용 | | | 임시일용 |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전 체 | 419 | -10 | -2.3 | 70 | -11 | -14.1 | 350 | 2 | 0.5 | | 광업 | 0 | 0 | -49.4 | 0 | 0 | -57.6 | 0 | 0 | -47.4 | | 제조업 | 46 | -5 | -9.5 | 9 | -3 | -26.6 | 37 | -2 | -4.3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0 | 0 | -0.7 | 0 | 0 | -52.5 | 0 | 0 | 14.2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 | 2 | 0 | 25.9 | 0 | 0 | -9.6 | 1 | 0 | 33.5 | | 건설업 | 174 | -6 | -3.4 | 4 | 1 | 28.5 | 170 | -7 | -4.0 | | 도매 및 소매업 | 35 | 0 | 0.6 | 7 | -1 | -13.3 | 27 | 1 | 5.1 | | 운수 및 창고업 | 6 | -7 | -54.8 | 2 | 0 | 0.0 | 4 | -7 | -65.8 | | 숙박 및 음식점업 | 54 | 8 | 17.2 | 8 | -3 | -26.6 | 47 | 11 | 29.9 | | 정보통신업 | 5 | 0 | 11.6 | 2 | 0 | 30.2 | 3 | 0 | 1.4 | | 금융 및 보험업 | 1 | 0 | 18.9 | 1 | 0 | 92.9 | 1 | 0 | -18.9 | | 부동산업 | 2 | -1 | -22.6 | 2 | -1 | -23.9 | 1 | 0 | -18.0 | |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8 | 1 | 10.7 | 3 | 0 | -8.9 | 5 | 1 | 29.0 | |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 31 | -2 | -6.0 | 11 | -2 | -15.3 | 20 | 0 | -0.3 | |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 5 | -1 | -12.9 | 0 | 0 | 12.7 | 4 | -1 | -14.4 | | 교육서비스업 | 19 | 2 | 14.6 | 7 | -2 | -24.1 | 12 | 5 | 58.1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 16 | -1 | -5.5 | 12 | -1 | -5.0 | 5 | 0 | -6.8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 6 | 2 | 49.6 | 1 | 0 | 60.1 | 5 | 2 | 47.4 |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 8 | -2 | -19.0 | 1 | -1 | -46.6 | 7 | -1 | -10.8 |
ㅇ (기타 이직) 기타 이직(112천명) 중 상용직은 106천명으로 11천명(-9.1%) 감소, 임시일용직은 6천명으로 2천명(-25.2%) 감소 - 증가한 산업은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2천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1천명) 순, 감소한 산업은 운수 및 창고업(-4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3천명) 순 < 산업별 기타 이직 동향(’22.2월 중)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 기타 이직 | | | | | 상용 | | | 임시일용 |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전 체 | 112 | -13 | -10.2 | 106 | -11 | -9.1 | 6 | -2 | -25.2 | | 광업 | 0 | 0 | 44.0 | 0 | 0 | 44.0 | 0 | 0 | - | | 제조업 | 10 | -2 | -18.6 | 10 | -1 | -13.4 | 1 | -1 | -51.3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2 | -1 | -24.6 | 2 | -1 | -26.7 | 0 | 0 | 611.1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 | 0 | 0 | -31.7 | 0 | 0 | -36.9 | 0 | 0 | 192.3 | | 건설업 | 2 | -1 | -24.9 | 2 | -1 | -23.9 | 0 | 0 | -35.9 | | 도매 및 소매업 | 6 | -1 | -13.2 | 5 | -1 | -12.3 | 1 | 0 | -18.3 | | 운수 및 창고업 | 13 | -4 | -23.9 | 13 | -4 | -23.5 | 0 | 0 | -39.2 | | 숙박 및 음식점업 | 3 | -3 | -45.3 | 2 | -2 | -48.3 | 1 | 0 | -34.2 | | 정보통신업 | 3 | 0 | 9.0 | 2 | 0 | 5.1 | 0 | 0 | 32.6 | | 금융 및 보험업 | 7 | -1 | -16.5 | 7 | -1 | -16.7 | 0 | 0 | 1.3 | | 부동산업 | 2 | -1 | -28.0 | 1 | -1 | -36.1 | 0 | 0 | 661.5 | |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6 | -1 | -19.5 | 5 | -2 | -23.7 | 0 | 0 | 109.8 | |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 5 | 2 | 61.9 | 5 | 2 | 65.9 | 0 | 0 | -18.2 | |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 41 | 1 | 3.1 | 40 | 1 | 3.8 | 1 | 0 | -23.5 | | 교육서비스업 | 4 | -2 | -31.7 | 4 | -1 | -23.6 | 0 | -1 | -80.8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 4 | 0 | -0.8 | 4 | 0 | 10.1 | 1 | 0 | -37.1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 2 | 0 | -1.1 | 2 | 0 | -14.6 | 0 | 0 | 689.1 |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 2 | 0 | 37.0 | 2 | 1 | 46.8 | 0 | 0 | -57.8 |
3. 시도별 고용부문 □ 종사자(’22.2월 말) ㅇ ’22.2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전년동월대비 서울(+147천명), 경기(+128천명) 등 전 지역에서 증가 ㅇ 종사자 수 증감률이 높은 지역은 강원(+6.0%), 제주(+5.5%), 세종(+5.4%) 순, 낮은 지역은 전남(+1.6%), 부산(+1.8%), 대구(+1.9%) 순 < ’22.2월 기준 시도별 종사자 수 및 증감률 > < 시도별 종사자 수 동향 > (단위: 천명, %, 전년동월대비)
| ’21.2월 | ’22.1월 | 2월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전국 | 18,416 | -218 | -1.2 | 18,879 | 500 | 2.7 | 18,944 | 528 | 2.9 | | 서울 | 4,384 | -130 | -2.9 | 4,521 | 142 | 3.2 | 4,531 | 147 | 3.4 | | 부산 | 1,158 | -17 | -1.4 | 1,182 | 30 | 2.6 | 1,179 | 21 | 1.8 | | 대구 | 739 | 0 | 0.0 | 747 | 9 | 1.2 | 753 | 14 | 1.9 | | 인천 | 853 | -18 | -2.0 | 884 | 34 | 4.0 | 886 | 33 | 3.9 | | 광주 | 504 | -12 | -2.4 | 515 | 11 | 2.2 | 518 | 14 | 2.7 | | 대전 | 511 | -2 | -0.4 | 521 | 9 | 1.7 | 526 | 15 | 2.9 | | 울산 | 430 | -7 | -1.6 | 438 | 9 | 2.0 | 438 | 9 | 2.1 | | 세종 | 113 | 4 | 4.1 | 118 | 6 | 5.0 | 119 | 6 | 5.4 | | 경기 | 4,468 | -25 | -0.5 | 4,583 | 124 | 2.8 | 4,596 | 128 | 2.9 | | 강원 | 493 | -3 | -0.6 | 522 | 33 | 6.7 | 523 | 29 | 6.0 | | 충북 | 608 | -3 | -0.5 | 621 | 12 | 2.0 | 623 | 15 | 2.4 | | 충남 | 787 | -9 | -1.1 | 806 | 21 | 2.7 | 809 | 23 | 2.9 | | 전북 | 565 | -3 | -0.5 | 573 | 10 | 1.7 | 576 | 11 | 2.0 | | 전남 | 616 | -1 | -0.1 | 620 | 4 | 0.7 | 626 | 10 | 1.6 | | 경북 | 876 | 4 | 0.5 | 890 | 20 | 2.3 | 894 | 18 | 2.1 | | 경남 | 1,106 | 6 | 0.6 | 1,126 | 20 | 1.8 | 1,130 | 23 | 2.1 | | 제주 | 206 | -3 | -1.4 | 213 | 7 | 3.4 | 217 | 11 | 5.5 |
□ 입‧이직자(’22.2월 중) ㅇ (입‧이직자) ’22.2월 중 입‧이직자는 경기(입직 197천명, 이직 186천명), 서울(입직 192천명, 이직 181천명), 경남(입직 53천명, 이직 49천명) 순으로 많음 - 전년동월대비 입직자는 경기(+13천명), 서울(+13천명) 등에서 증가, 충남(-5천명), 부산(-5천명) 등에서 감소 - 이직자는 서울(+10천명), 경기(+9천명) 등에서 증가, 충남(-6천명), 전남(-5천명) 등에서 감소 ㅇ (입‧이직률) ’22.2월 중 입‧이직률은 전북(입직률 7.0%, 이직률 6.5%), 광주(입직률 6.9%, 이직률 6.4%), 전남(입직률 7.1%, 이직률 6.2%) 순으로 높음 - 전년동월대비 입직률은 전북(+2.0%p), 대구(+1.7%p) 등에서 상승, 세종(-1.9%p), 충남(-0.8%p) 등에서 하락 - 이직률은 전북(+1.3%p), 대구(+1.1%p) 등에서 상승, 세종(-2.2%p), 대전(-1.0%p) 등에서 하락 < 시도별 입직자 및 이직자 동향(’22.2월 중) > (단위: 천명, %, %p, 전년동월대비)
| 입직자 | 이직자 | 입직률 | 이직률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증감률 | | 증감 | | 증감 | 전국 | 889 | 46 | 5.5 | 828 | 21 | 2.6 | 5.0 | 0.1 | 4.7 | 0.0 | | 서울 | 192 | 13 | 7.1 | 181 | 10 | 5.8 | 4.5 | 0.2 | 4.2 | 0.1 | | 부산 | 43 | -5 | -10.0 | 45 | 1 | 2.0 | 4.0 | -0.5 | 4.1 | 0.0 | | 대구 | 41 | 12 | 43.0 | 36 | 9 | 31.3 | 5.9 | 1.7 | 5.1 | 1.1 | | 인천 | 40 | -2 | -5.6 | 38 | -2 | -4.1 | 4.8 | -0.5 | 4.5 | -0.4 | | 광주 | 33 | 4 | 12.8 | 30 | 1 | 2.4 | 6.9 | 0.6 | 6.4 | 0.0 | | 대전 | 33 | 1 | 1.9 | 28 | -4 | -12.8 | 6.7 | -0.1 | 5.8 | -1.0 | | 울산 | 21 | 3 | 14.8 | 20 | 2 | 13.2 | 4.9 | 0.5 | 4.8 | 0.5 | | 세종 | 8 | -2 | -17.9 | 6 | -2 | -23.6 | 6.6 | -1.9 | 5.7 | -2.2 | | 경기 | 197 | 13 | 7.3 | 186 | 9 | 5.3 | 4.6 | 0.2 | 4.4 | 0.1 | | 강원 | 29 | -2 | -5.5 | 28 | 1 | 3.6 | 6.0 | -0.8 | 5.8 | -0.2 | | 충북 | 26 | 1 | 3.0 | 25 | -2 | -6.7 | 4.5 | 0.0 | 4.2 | -0.4 | | 충남 | 36 | -5 | -12.7 | 33 | -6 | -16.0 | 4.7 | -0.8 | 4.3 | -1.0 | | 전북 | 38 | 11 | 42.1 | 35 | 8 | 29.7 | 7.0 | 2.0 | 6.5 | 1.3 | | 전남 | 41 | -1 | -2.5 | 35 | -5 | -12.8 | 7.1 | -0.3 | 6.2 | -1.0 | | 경북 | 46 | -3 | -6.1 | 43 | 1 | 1.3 | 5.4 | -0.5 | 5.1 | 0.0 | | 경남 | 53 | 6 | 11.9 | 49 | 2 | 3.4 | 4.9 | 0.4 | 4.5 | 0.1 | | 제주 | 13 | 3 | 28.9 | 10 | -1 | -8.6 | 6.5 | 1.3 | 4.6 | -0.6 |
| < 참 고 > | | | | 【시도별 제조업 중분류 동향(’22.2월)】 ㅇ (종사자) ’22.2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제조업 종사자는 전년동월대비 경기(+21천명), 인천(+5천명) 순으로 증가, 서울(-2천명), 대구(-1천명) 순으로 감소 - 경기는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7천명),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6천명), 인천은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천명),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1천명) 등에서 증가 ㅇ (입직자) ’22.2월 중 입직자는 경기(+2천명), 강원(+2천명) 순으로 증가, 인천(-1천명) 등에서 감소 - 경기는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2천명), 기타 제품 제조업(+1천명), 강원은 식료품 제조업(+1천명) 등에서 증가 ㅇ (이직자) ’22.2월 중 이직자는 서울(+1천명), 경북(+1천명) 순으로 증가, 경기(-3천명), 경남(-2천명) 순으로 감소 - 서울은 의복,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1천명) 등에서 증가 < 시도별 제조업 종사자 및 입‧이직자 동향 > (단위: 천명, %)
|
< ’22.2월 말 시도별 제조업 중분류 상위 5순위 종사자 수(단위: 천명) >
* 상단 계열은 전년동월대비 증감 |
1. 임금 □ (총괄) ’22.1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은 4,722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21.8%(+845천원) 증가 * 임금총액 증가는 명절상여금 지급시기 변경, 코로나19 등으로 전년도 감소한 기저효과와 성과급 지급시기 변경 및 확대 등으로 특별급여가 증가한 영향 (설 연휴: ’21.2.11.~2.13.→’22.1.31.~2.2.) <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단위: 천원, %) >
| ’21.1월 | ’21.10월 | 11월 | 12월 | ’22.1월 | 전체근로자 | 3,877 | (-5.2) | 3,455 | (3.6) | 3,430 | (4.0) | 4,305 | (7.5) | 4,722 | (21.8) | [계절조정지수, ’15.12=100] | [118.3] | | [118.1] | | [120.3] | | [123.3] | | [130.2] | |
주: 임금은 세금공제 전 임금, ( )내는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주요 특성별 ㅇ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임금총액은 5,020천원으로 22.8%(+933천원) 증가, 임시일용근로자는 1,782천원으로 4.0%(+69천원) 증가 - 상용근로자 임금을 내역별로 보면, 정액급여는 3,351천원으로 4.2%(+134천원) 증가, 초과급여는 201천원으로 1.9%(+4천원) 증가, 특별급여*는 1,468천원으로 118.4%(+796천원) 증가 * 특별급여 증가는 명절상여금 지급시기 변경, 코로나19 등으로 전년도 감소한 기저효과, 반도체 관련 제조업, 금융 및 보험업,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등에서 성과급 지급시기 변경 및 확대 등의 영향 < 종사상지위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내역별 임금(단위: 천원, %) >
| ’21.1월 | ’21.10월 | 11월 | 12월 | ’22.1월 | 상용근로자 | 4,087 | (-5.8) | 3,640 | (3.5) | 3,612 | (3.9) | 4,576 | (7.8) | 5,020 | (22.8) | | 정액급여 | 3,217 | (2.5) | 3,171 | (3.5) | 3,172 | (3.7) | 3,374 | (4.0) | 3,351 | (4.2) | | 초과급여 | 197 | (0.8) | 229 | (5.4) | 211 | (1.0) | 210 | (0.3) | 201 | (1.9) | | 특별급여 | 672 | (-33.1) | 240 | (1.8) | 229 | (10.2) | 992 | (25.0) | 1,468 | (118.4) | 임시일용근로자 | 1,714 | (5.9) | 1,703 | (3.7) | 1,714 | (3.1) | 1,753 | (2.8) | 1,782 | (4.0) |
주: 1) 임금은 세금공제 전 임금, ( )내는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2) 임시일용근로자 임금은 내역별로 구분하여 조사하지 않음 * ’21.1월 종사상지위별 임금 특징: (상용근로자) 코로나19 및 최저임금 상승률 둔화로 정액급여 상승률은 둔화되었으며, 명절상여금 지급시기 변경 등의 영향으로 임금총액 감소 (임시일용근로자) 코로나19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임금수준이 낮은 산업의 임시일용근로자가 전년동월대비 감소하여 임금총액 증가
ㅇ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는 3,822천원으로 15.1%(+501천원) 증가, 300인 이상은 9,248천원으로 38.2%(+2,557천원) 증가 * 전반적으로는 명절상여금 지급시기 변경, 코로나19 등으로 전년도 임금총액이 감소한 기저효과 등으로 임금총액 증가, 300인 미만은 금융 및 보험업, 300인 이상은 반도체 관련 제조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등에서 성과급 지급시기 변경, 확대 등도 영향 < 사업체 규모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단위: 천원, %) >
| ’21.1월 | ’21.10월 | 11월 | 12월 | ’22.1월 | 300인 미만 | 3,321 | (-5.1) | 3,171 | (3.4) | 3,167 | (4.0) | 3,734 | (5.0) | 3,822 | (15.1) | 300인 이상 | 6,690 | (-7.0) | 4,896 | (4.4) | 4,763 | (3.8) | 7,194 | (14.6) | 9,248 | (38.2) |
주: 임금은 세금공제 전 임금, ( )내는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ㅇ (산업별) 임금총액이 많은 산업은 금융 및 보험업(10,457천원),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6,463천원) 순, 적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2,050천원),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2,780천원) 순 < 산업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단위: 천원, %) >
| ’21.1월 | ’21.12월 | ’22.1월 | 전 체 | 3,877 | (-5.2) | 4,305 | (7.5) | 4,722 | (21.8) | | 광업 | 4,590 | (-2.3) | 4,571 | (1.2) | 5,180 | (12.8) | | 제조업 | 4,851 | (-4.8) | 5,271 | (11.9) | 6,401 | (32.0)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5,682 | (-4.1) | 8,911 | (-4.3) | 6,463 | (13.8)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 | 3,957 | (-4.2) | 5,278 | (8.5) | 4,426 | (11.9) | | 건설업 | 3,150 | (-5.3) | 3,327 | (5.1) | 3,546 | (12.6) | | 도매 및 소매업 | 3,610 | (-7.5) | 4,073 | (4.4) | 4,176 | (15.7) | | 운수 및 창고업 | 3,861 | (-1.2) | 4,978 | (21.1) | 4,362 | (13.0) | | 숙박 및 음식점업 | 1,914 | (-5.4) | 2,007 | (7.9) | 2,050 | (7.1) | | 정보통신업 | 4,968 | (-3.6) | 5,293 | (7.0) | 6,367 | (28.2) | | 금융 및 보험업 | 7,705 | (-4.5) | 8,568 | (4.7) | 10,457 | (35.7) | | 부동산업 | 2,905 | (-6.0) | 3,295 | (6.1) | 3,311 | (14.0) | |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5,010 | (-9.9) | 6,459 | (8.1) | 6,216 | (24.1) | |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 2,487 | (-2.1) | 2,702 | (3.6) | 2,780 | (11.8) | | 교육서비스업 | 3,569 | (-12.9) | 3,309 | (-0.1) | 4,111 | (15.2)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 3,001 | (-5.9) | 3,165 | (3.5) | 3,343 | (11.4)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 2,986 | (-5.9) | 3,378 | (1.9) | 3,426 | (14.7) |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 2,713 | (-1.6) | 2,882 | (4.6) | 3,115 | (14.8) |
주: 임금은 세금공제 전 임금, ( )내는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2. 근로시간 □ (총괄) ’22.1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56.7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0.6시간(-0.4%) 감소 *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른 월력상 근로일수는 전년과 동일(20일) <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단위: 시간, 일, %) >
| ’21.1월 | ’21.10월 | 11월 | 12월 | ’22.1월 | 전체근로자 | 157.3 | (-0.2) | 151.4 | (0.6) | 168.6 | (3.6) | 172.4 | (3.4) | 156.7 | (-0.4) | [계절조정지수, ’15.12=100] | [93.3] | | [94.7] | | [94.0] | | [95.0] | | [94.3] | | 근로일수 | 19.3 | (0.0) | 18.6 | (1.1) | 20.8 | (4.0) | 21.3 | (3.9) | 19.3 | (0.0) |
주: ( )내는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 주요 특성별 ㅇ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는 1인당 162.4시간으로 0.4시간(-0.2%) 감소, 임시일용근로자는 100.7시간으로 0.4시간(+0.4%) 증가 * 종사상지위별 근로시간 특징: (상용근로자) 통상 월력상 근로일수 증감에 영향을 크게 받는 편으로 월력상 근로일수가 전년과 동일함에도 초과근로시간 감소 등으로 근로시간 감소 (임시일용근로자)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등에서 코로나19 방역 대응 등으로 근로시간이 증가한 영향 < 종사상지위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내역별 근로시간(단위: 시간, 일, %) >
| ’21.1월 | ’21.10월 | 11월 | 12월 | ’22.1월 | 상용근로자 | 162.8 | (-0.5) | 157.2 | (0.5) | 175.7 | (3.5) | 179.9 | (3.5) | 162.4 | (-0.2) | | 근로일수 | 19.9 | (0.0) | 19.2 | (1.1) | 21.5 | (3.9) | 22.0 | (3.8) | 19.9 | (0.0) | | 소정실근로시간 | 154.6 | (-0.5) | 148.1 | (0.5) | 167.5 | (3.9) | 171.8 | (4.0) | 154.6 | (0.0) | | 초과시간 | 8.1 | (-1.2) | 9.0 | (-1.1) | 8.2 | (-4.7) | 8.1 | (-5.8) | 7.8 | (-3.7) | 임시일용근로자 | 100.3 | (2.3) | 96.7 | (1.0) | 101.3 | (2.6) | 102.3 | (1.4) | 100.7 | (0.4) | | 근로일수 | 13.5 | (1.5) | 13.1 | (0.8) | 13.7 | (1.5) | 13.9 | (1.5) | 13.7 | (1.5) |
주: ( )내는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ㅇ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는 156.3시간으로 0.4시간(-0.3%) 감소, 상용 300인 이상은 158.9시간으로 1.4시간(-0.9%) 감소 * 300인 이상 근로시간 감소는 제조업 등에서 근로시간이 감소한 영향 < 사업체 규모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단위: 시간, %) >
| ’21.1월 | ’21.10월 | 11월 | 12월 | ’22.1월 | 300인 미만 | 156.7 | (-0.4) | 151.6 | (1.0) | 168.2 | (3.7) | 172.4 | (3.5) | 156.3 | (-0.3) | 300인 이상 | 160.3 | (0.8) | 150.3 | (-1.3) | 170.3 | (2.7) | 172.3 | (2.6) | 158.9 | (-0.9) |
주: ( )내는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ㅇ (산업별) 근로시간이 긴 산업은 수도,하수 및 폐기물처리,원료재생업(172.9시간), 광업(171.0시간) 순, 짧은 산업은 교육서비스업(131.9시간), 건설업(135.3시간) 순 < 산업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단위: 시간, %) >
| ’21.1월 | ’21.12월 | ’22.1월 | 전 체 | 157.3 | (-0.2) | 172.4 | (3.4) | 156.7 | (-0.4) | | 광업 | 179.8 | (6.0) | 192.2 | (-1.2) | 171.0 | (-4.9) | | 제조업 | 170.8 | (1.5) | 186.0 | (2.3) | 169.1 | (-1.0) |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 165.0 | (2.0) | 169.4 | (-0.9) | 165.8 | (0.5)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업 | 175.1 | (3.5) | 191.7 | (4.2) | 172.9 | (-1.3) | | 건설업 | 135.5 | (-0.8) | 145.5 | (3.3) | 135.3 | (-0.1) | | 도매 및 소매업 | 160.5 | (0.2) | 175.8 | (3.1) | 159.9 | (-0.4) | | 운수 및 창고업 | 155.8 | (-2.5) | 170.6 | (4.0) | 158.2 | (1.5) | | 숙박 및 음식점업 | 144.2 | (-5.4) | 156.9 | (6.2) | 144.0 | (-0.1) | | 정보통신업 | 160.0 | (0.5) | 176.6 | (4.4) | 160.1 | (0.1) | | 금융 및 보험업 | 158.5 | (0.4) | 176.1 | (4.4) | 156.5 | (-1.3) | | 부동산업 | 169.4 | (-0.1) | 182.6 | (1.7) | 166.3 | (-1.8) | |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 158.1 | (1.0) | 174.0 | (4.7) | 158.3 | (0.1) | |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 158.3 | (-0.9) | 173.9 | (3.0) | 158.6 | (0.2) | | 교육서비스업 | 130.1 | (-0.4) | 148.5 | (5.6) | 131.9 | (1.4) |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 153.6 | (-1.5) | 170.9 | (2.8) | 152.4 | (-0.8) | |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 | 137.4 | (-8.8) | 161.0 | (8.8) | 147.1 | (7.1) | |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 | 159.6 | (3.4) | 175.6 | (4.4) | 159.5 | (-0.1) |
주: ( )내는 전년동월대비 증감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