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공규택 / 판형 135×200mm / 장정 무선 / 쪽수 268 / 가격 17,500원
출간일 2025년 1월 20일 / 분야 청소년 > 인문/사회
청소년 > 청소년 공부/학습법 / 청소년 > 논술참고도서
ISBN 979-11-93378-34-2 (43370)
국어 공부가 지루한 너에게,
따분할 틈 없는, 살아 있는 국어 시간이 왔다!
■ 책 소개
따분한 국어 시간, 달라질 순 없을까?
문학작품 들고 세상으로 나아가는, ‘차이나는’ 국어 시간!
국어는 교과 과정에서 빠질 수 없는 필수 과목이지만, 그런 만큼 진부하고 뻔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누구나 학창 시절 세세한 문법 규정이나 뜻도 안 통하는 고전 시가를 달달 외느라 고생하고, 시험이 끝나자마자 머릿속에서 지워 버린 경험이 있을 것이다. 요즘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이런 걸 왜 배워야 하느냐”거나 “이런 거 몰라도 사는 데 지장 없다”며 퉁명스럽게 교과서를 덮는 학생들을 찾기는 어렵지 않다.
『차이나는 국어 시간』은 국어 교육의 미래에 대한 30년차 국어 교사 공규택 나름의 답변이다. K팝 가사에서 고전문학을 읽어 내고, 스포츠에서 인문학적 이야깃거리를 풀어내는 등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살아 있는 국어 교육’에 전념해 온 저자의 노력이 이번 책에서 집대성되었다. 과학과 예술, 경제와 역사, 심지어 AI와 미래까지 종횡무진하며, 낯익은 문학작품의 새로운 매력을 발굴해 낸다.
■출판사 리뷰
AI가 알아서 읽고 써 주는 시대,
왜 여전히 국어를 배우고 익혀야 할까?
사람보다 똑똑하고 사람처럼 대화하는 생성형 AI의 도래는 우리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대격변을 예고하고 있다. 교육 현장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모르는 게 없는 인공지능을 마주한 교사들은 저도 모르게 의기소침해진다. “이러다 진짜 선생님도 필요 없어지는 거 아니야?”
하지만 관점을 바꿔 보면, 생성형 AI는 ‘자기 주도적 학습 습관을 들이는 데 최적화된 도구’가 될 수도 있다. 베테랑 국어 교사인 저자는 생성형 AI가 ‘정답’이 아닌 ‘대화’를 제공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국어 교육의 핵심인 ‘소통’을 떠올린다. 새로운 도구를 최대한 잘 써먹으려면 우리는 질문을 ‘잘’해야 하고, 그러려면 서로 다른 분야들을 연결시키는 융합적인 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 책은 교과서에 갇힌 뻔한 국어가 어떻게 다른 분야로 확장되는지를 5교시의 실제 예시를 들어 보여 주려고 했다. 생성형 AI에게 실제로 질문을 던지고, 대화를 주고받는 과정도 예시로 실었다.
역사, 지리, 사회, 경제는 물론 예술, 문화, 과학, 미래까지
“니가 왜 거기서 나와?!”
이 책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1교시: 과학을 알고 나니 다르게 보이는 국어 시간’에서는 얼핏 동떨어져 보이는 과학과 문학이 연결되는 지점을 탐구한다. ‘2교시: 시간과 공간의 흐름을 읽는 국어 시간’에서는 역사와 지리를 가로지르는 문학작품들을 렌즈 삼아 지금 우리의 현실을 들여다본다. ‘3교시: 나란히 겹쳐 보면 더 재밌는 국어 시간’에서는 교과서에서 스치듯 지나가는 문학작품들이 다른 분야의 예술 작품들과 만날 때 빚어지는 참신한 상상력을 들려준다. ‘4교시: 세상에 눈뜨는 국어 시간’에서는 익숙한 작품들에 대한 뻔한 해석 방식에서 벗어나, 사회경제적인 시선으로 새롭게 읽는 법을 제안한다. 마지막 ‘5교시: 어제를 통해 내일을 보는 국어 시간’은 오늘날 사람들을 놀라게 하고 또 헷갈리게 하는 ‘메타버스’, ‘가짜 뉴스’와 같은 키워드들이 이미 오래전 작가들의 시선 속에 녹아 있었음을 보여 주며, 인류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에 관한 흥미로운 이정표를 제시한다.
MBTI 검사를 적용하여 문학작품 속 인물들을 재해석하고, 천문학적 지식을 통해 고전시가가 쓰인 시기를 특정하고, 행동경제학과 사회경제학의 틀을 빌려 고전소설을 다시 읽는다. ‘제페토’ 같은 Z세대들의 가상현실 플랫폼에서 『홍길동전』을 읽고 쓰던 당대 사람들의 희망을 읽어 내기도 한다. 익숙한 틀을 벗어나면, 새로운 길이 열린다.
아직도 국어가 재미없다고 생각하는 너에게
나만의 질문을 찾아 떠나는 새로운 문학 여행
소통은 서로 다른 것들을 번역하고 잇고 연결하는 과정이다. 요컨대 ‘융복합’적 작업이다. 그 기초에는 국어(언어)가 있다.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일련의 행위들은 결국 나 자신과 다른 사람들, 그리고 이를 둘러싼 세상에 말을 걸고 소통하는 과정이다. 더구나 하루가 멀다 하고 낯선 것들이 태어나는 요즘 세상에서, 교육은 틀에 박힌 지식을 전달하는 기관으로 머물러서는 안 될 것이다. 앞으로의 국어 시간은 경계를 넘나들어야 한다.
생성형 AI의 등은 우리를 두렵게 하지만, 오히려 이를 통해서 우리는 자유롭게 뻗어 가는 호기심의 촉수를 뻗어 ‘나’만의 질문을 찾을 수 있을 것장이다. 저자와 함께 5교시 수업을 신나게 구경하고 나면, 우리는 국어가 실은 지루하고 따분한 과목이 아니라 세상을 읽고 해석하는 방법 그 자체임을 알게 될 것이다.
■ 저자 소개
지은이 공규택
오랫동안 중고등학교에서 국어 교사로 재직하였다. 언어, 인성, 창의성, 진로, 케이팝, 스포츠 등 10대를 위한 다양한 분야의 인문학 책을 집필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BTS, 윤동주를 만나다』, 『국어시간에 노랫말 읽기』, 『경기장을 뛰쳐나온 인문학』, 『인문학아 부탁해! 나의 꿈, 나의 미래 1, 2』 등이 있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집필에도 참여한 바 있다.
이 책에는 최근의 국어 교육 현장에서 보고 듣고 느낀 바를 종합하여, 자칫 고루한 과목으로 여겨질 수 있는 국어 시간이 다른 분야와 융합할 때, 살아 있는 수업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주고자 했다. 이와 동시에 생성형 AI를 국어 시간에 즐겁고 유익하게 활용하는 방법을 실례로 제시하였다.
■ 목차
아침 조회: 모르는 게 없는 척척박사 챗GPT, 국어 공부와도 친해질 수 있을까?
1교시. 과학을 알고 나니 다르게 보이는 국어 시간 (국어 X 과학)
1. 과학으로 빚어낸 뜻밖의 노래, SF소설 너머 ‘SF시’의 세계로!
2. 노랫말 속에 담긴 하늘의 비밀, 천문학을 품은 옛 노래와 옛 그림
3. 동이는 허 생원의 아들일까? 혈육이 뭐길래, 유전학이 뭐길래
2교시. 시간과 공간의 흐름을 읽는 국어 시간 (국어 X 역사·지리)
4. 닮아도 너무 닮은 옛이야기와 그리스 로마 신화, 과연 우연일까?
5. ‘서울 1964년’을 건너, 지금의 서울을 묻다
6. “바보야, 문제는 부동산이야”, ‘소설 속’ 문제를 ‘현실 속’ 전문가의 렌즈로 읽다
3교시. 나란히 겹쳐 보면 더 재밌는 국어 시간 (국어 X 예술·문화)
7. “MBTI를 맞혀 봐”, 내가 좋아하는 캐릭터가 MBTI 검사를 한다면
8. 히어로끼리는 통한다! 전우치와 스파이더맨
9. 밀레의 그림에서 정지용의 향수에 젖다
4교시. 세상에 눈뜨는 국어 시간 (국어 X 사회·경제)
10. ‘풍자는 이렇게 예술은 새롭게’, 학자와 화가가 맞장구친 까닭은?
11. 콩밭에서 금 캐기, 빚 내서 투자하기
12. 아무 계약이나 하면 안 되는 이유! 너는 아는데 왜 나만 몰라?
5교시. 어제를 통해 내일을 보는 국어 시간 (국어 X 미래)
13. 알고 보니 이미 메타버스에서 살고 있었다, 「구운몽」과 「만복사저포기」
14. 가짜 뉴스, 삼국시대에도 있었고 『1984』에도 있었다
15. 조선시대의 ‘제페토’, 『홍길동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