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인 준비물
* 교통편
문원동행 1번 마을버스 탑승 -> 종점 하차 후 청계 1길 직진(도보 3~5분)
※ 전체 일정
시간 | 첫째 날(1월 20일 금요일) | 시간 | 둘째 날(1월 21일 토요일) | |
9:30~ 9:50 | 등록 | 10:00~ 10:10 | 함께 부르는 노래 | |
10:00~ 10:10 | 여는식 | 10:10~ 12:00 | 공동육아 어린이집 교사회 - 공동육아 지역페다제 제안 | |
10:10~ 12:00 | 기조강연 - 교육에 대한 상상력(유혜령 교수) | |||
공동육아 방과후, 지역공동체학교 - 강연 :교사로 살아간다는 것 (고병헌, 성공회대학교 교수) | ||||
12:00~ 13:30 | 점심 | 12:00~ 13:30 | 점심 및 평가서 작성 | |
13:30~ 14:30 | 사무총장 인사 가입회원 소개와 축하 소금꽃어린이터전, 포구나무어린이집 어린이집현장학교 1,2,3단계 수료식 방과후현장학교 수료식 | 13:30~ 13:40 | 몸 풀기 체조, 이벤트 | |
14:30~ 15:00 | 교육사례발표 1 | 공동육아방과후: '2017년 사업 공유와 승인'
지역공동체학교: '2017년 활동 세부계획 논의' | 13:40~ 14:40 | 근속교사 감사패 전달(10년, 20년) 축하공연 |
14:40~ 14:50 | 이벤트 | |||
15:10~ 15:40 | 교육사례발표 2 | |||
14:50~ 16:50 | 사)공동육아와공동체교육 교사회 총회 | |||
15:50~ 16:20 | 교육사례발표 3 | |||
16:50~ 17:00 | 닫는식 | |||
16:30~ 17:00 | 교육사례발표 4 |
※ 교육사례발표 주제
사례발표 내용 | 이름(터전) |
푸른숲 자연놀이 | 김보라(푸른숲어린이집) |
자발적인 놀이에서 찾아내는 공동육아 일곱살 아이들의 꽃은 무엇인가 | 김정림(해맑은어린이집) |
온 마을이 놀이터다 | 권미숙(너른마당어린이집) |
친구랑 아이들의 자유놀이 시간 | 노지영(친구랑어린이집) |
아이의 ‘발견’과 ‘환경’으로서의 교사 연령의 발견과 교사 운영체계 변화 | 서진숙(해와달어린이집) |
공동육아 교사로 잘 살아가기 | 송선화(영차어린이집) |
철 따라 놀며 철이 드는 신나는 아이들 | 신란미(신나는어린이집) |
“‘줄’ 줄은 ○○입니다.” | 심선혜, 최수현(참나무어린이집) |
유아시기의 노작 교육은 생활교육으로 | 유권근(파란하늘어린이집) |
현장에서 바라 본 조합과의 원활한 소통 | 이현주(꿈나무놀이터어린이집) |
나들이를 통한 교사협력과 소통 | 정삼숙(하늘땅어린이집) |
공동육아의 아날로그 문화와 디지털 문화 | 정은미(감나무어린이집) |
우리 터전의 오후살이 살펴보기 | 정현주(씩씩한어린이집) |
놀면서 만들어 가는 우리들의 놀이 | 조은영(우리노리어린이집) |
나는 경력교사일까 | 진현정(재미난어린이집) |
실내놀이의 즐거움 | 최경민(배곧호반어린이집) |
* 일정에 따라 내용과 시간이 변동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