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 물 (財物)
1. 재물에 공평해야 대장부이다.
酒中不言은 眞君子요
주중불언은 진군자요
財上分明은 大丈夫니라.
재상분명은 대장부니라.
술에 취하면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참다운 군자요,
재물을 보고도 이치에
어긋나지 않아야 대장부이다.
2. 크게 될 사람은 어릴 적부터 안다.
成家之兒는 惜糞如金 하고
성가지아는 석분여금하고
敗家之兒는 用金如糞이니라.
패가지아는 용금여분이니라.
집안을 일으킬 아들은
거름을 금처럼 아끼고,
집안을 망칠 아들은
금 쓰기를 거름처럼 한다.

3. 훌륭한 장사꾼은 밑져도 판다.
良農은 不爲水旱不耕하고
양농은 불위수한불경하고
良賈는 不爲折閱不市하며
양고는 불위절열불시하며
士君子는 不爲貧窮怠乎道니라.
사군자는 불위빈궁태호도니라
순자가 말하였다.
훌륭한 농부는 가뭄이
들었다 하여 농사를 그만두지 않고,
훌륭한 상인은 손해를
본다 하여 장사를 그만 두지 않으며,
사군자는 가난하다 하여
학문을 게을리 하지 않는다.
4. 부귀는 남과 함께 누려라.
身居富貴 而能下人者는 何人而不與富貴니라.
신거부귀 이능하인자는 하인이불여부귀니라.
높은 자리에 있으면서도
자신을 낮출 줄 아는 사람에게
어떤 사람이 그와 부귀를
함께 하지 않겠느냐?"
5. 구차하게 재물을 탐내지 말라.
臨財毋苟得이요 臨難毋苟免이니라.
임재무구득이요 임난무구면이니라.
재물을 보고 구차하게
얻으려고 해서는 안 되고,
어려운 일에 처했을 때
구차하게 피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
6. 노력 없이 얻은
재물은 사라지기 쉽다.
堪歎人心毒似蛇니 誰知天眼轉如車요
감탄인심독사사니 수지천안전여거요
去年妄取東隣物터니 今日還歸北舍家라.
거년망취동린물터니 금일환귀북가라.
無義錢財湯發雪이요 黨來田地水堆사라.
무의전재탕발설이요 당래전지수퇴사라.
若將狡譎爲生計면 恰似朝雲暮落花라.
약장교휼위생계면 흡사조운모락화라.
세상 인심은 꼭 선한 것만은 아니나,
하늘의 눈은 두루 굽어 살피고 있다.
재물이란 무상하기 짝이 없어
작년에 얻은 물건이 오늘에는
남의 집 소유가 되어 있다.
더군다난 옳지 못한 재산은 더운
물에 녹는 눈처럼 쉽게 사라지고,
갑자기 얻은 논밭은 물살이 모래를
미는 것처럼 한 순간에 없어진다.
교활한 방법으로 생계를 꾸려 나가는
것은 마치 곧 스러지는 아침 안개나
저녁에 지는 꽃처럼 오래 가지 못한다.
7. 지난친 욕심을 버려라.
大廈千間이라도 夜臥八尺이요
대하천간이라도 야와팔척이요
良田萬頃이라도 日食二升이니라.
양전만경이라도 일식이승이니라.
1천간이나 되는 큰 집이라 하더라도
밤에 잠을 자는 곳은 8척이면 충분하고,
좋은 전답이 1만 경이나 되더라도
하루에 먹는 것은 두 되면 충분하다.
8. 가난했던 때를 잊지 말라.
薄施厚望者는 不母하고 貴而忘賤者는 不久니라.
박시후망자는 불모하고 귀이망천자는 불구니라.
조금 베풀고 많이 바라는 사람은
보답을 받지 못하고,
귀하게 되어 미천할 때를 잊는
사람은 오래 가지 못한다."
9. 재물이 많으며 몸을 망치기 쉽다.
慾多像神하고 財多累身하니라.
욕다상신하고 재다누신하니라.
노자가 말하였다.
욕심이 많으면 정신을 상하게 하고,
재물이 많으면 몸을 더럽힌다."
10. 재물을 너무 밝히면 소인이 된다.
德勝財면 爲君子요 財勝德은 爲小人이니라.
덕승재면 위군자요 재승덕은 위소인이니라.
덕이 재물을 이기면 군자가 되고,
재물이 덕을 이기면 소인이 된다. ”
11. 재물로 혼인함은 야만인이다.
婚娶而論財는 夷盧之道也니라.
혼취이론재는 이로지도야니라.
혼인을 하면서 재물을 논하는 것은
오랑캐나 하는 일이다."

12. 재물은 허물을 짓게 한다.
賢而多財卽損其志하고 愚而多財卽益其過니라.
현이다재즉손기지하고 우이다재즉익기과니라.
어질면서 재물이 많으면
그의 뜻을 손상시키고,
어리석으면서 재물이 많으면 그의
허물을 보태게 된다."
13. 한 가지 기술이 천금보다 낫다.
黃金滿籯이 不如敎子一經이요
황금만영이 불여교자일경이요
賜子千金이 不如敎子一藝니라.
사자천금이 불여교자일예니라.
광주리에 가득 찬 황금보다 자식에게
경서 하나를 가르치는 것이 더 낫고,
자식에게 천금을 주는 것보다 한 가지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훨씬 낫다."
(明心寶鑑 - 訓子篇)
명심보감 훈자편에서
14. 이익을 챙기려다 큰 일을 그르친다.
無欲速하며 無見小利니 欲速卽不達이요
무욕속하며 무견소리니 욕속즉부달이요
見小利卽大事不成이니라.
견소리즉대사불성이니라.
빨리 하고자 하지 말며,
작은 이익을 살피지 말아야 한다.
속히 하고자 하면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작은 이익을 살피면 큰 일을 이루지 못한다."
15. 저축으로 앞날을 대비하라
裁省冗費하며 禁止奢華하여
재생용비하며 금지사화하여
常須梢存籯餘하여 以備不虞니라.
상수초존영여하여 이비불우니라.
쓸데없는 잡비를 줄이고 사치를
금지하여 항상 약간의 저축을 하여
예기치 못한 일에 대비해야 한다.
(擊蒙要訣 - 居家章)
격몽요결 가거장에서

16. 부귀는 하늘에 달려 있다.
子夏曰 死生이 有命이요 富貴在天이니라.
자하왈 사생이 유명이요 부귀재천이니라
자하가 말하였다.
죽고 사는 것은 운명이 있는 것이고,
부귀는 하늘에 달려 있는 것이다.

17. 명예와 비난은 함께 온다.
景行錄에 云甚愛必甚費요 甚譽必甚毁니라.
경행록에 운심애필심비요 심예필심훼니라.
甚喜必甚優요 甚臟必甚亡이니라.
심희필심우요 심장필심망이니라.
경행록에 이런 말이 있다.
"매우 사랑하면 반드시
허비함이 많게 되고,
매우 칭찬하면 반드시 헐뜯게 된다.
매우 기뻐하면 반드시 근심하게 되고,
뇌물을 많이 받으면 반드시 크게
망한다."
(明心寶鑑 / 省心篇)
명심보감 / 성심편
18. 생활에 여유가 있으면 자신감이 생긴다.
人貧智短하고 福至心靈이니라.
인빈지단하고 복지심령이니라.
생활이 어려우면 교제의 범위가 넓지
못하고 지혜를 발휘할 기회도 적지만,
복이 이르러 생활에 여유가 생기면
활력이 넘쳐 매사에 자신감이 생기기
마련이다.

19. 세상의 인심은 야박하다.
人義는 盡從貧處斷이요 世情은 便向有錢家니라.
인의는 진종빈처단이요 세정은 편향유전가니라.
사람의 의리는
모두 가난함을 따라서 끊어지고,
세상의 인정은
돈이 있는 집을 향해 기울어진다.

20. 가난하면 남을 원망하기 쉽다.
子曰 貧而無怨은 難하고 富而無驕는 易니라.
자왈 빈이무원은 난하고 부이무교는 이니라.
공자가 말하였다.
"가난한 사람은 생활이 어려워
남을 원망하기가 쉽지만,
부유한 사람이 교만하지 않고
겸손하기는 어려운 일이 아니다."

21. 가난하면 서럽다.
貧居요市無相識이요 富住深山有遠親이니라.
빈거요시무상식이요 부주심산유원친이니라.
가난하면 시끄러운 시장에 살아도
서로 아는 사람이 없고,
부유하면 깊은 산 속에 살아도
먼 친척도 찾아온다

첫댓글 정읍신사님..
워요..
오늘도 주신글..
마음에 새겨야할 명심보감..감사히 봅니다..
향긋한 봄내음이
점점 짙어가는 4월입니다.
정읍신사님께 좋은일만 함께할수 있기를 기원 합니다..
수고 많으셨어요.^^
방장님 수고가 많으십니다
옛 성현님들의 말씀을 상기하며
살았으면 밝은사회가 돼겠습니다.
고운 흔적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돼세요~~~
명심보감할 감동글 감사합니다***********************
미래님 반갑습니다
고운 흔적 감사드리며
좋은 하루 돼세요~~~
절로 고개숙여집니다,
말장사님..
워요..

해 드립니다...^^
감동방에 고운 인연 주셔서 감사 합니다..
자주 오셔서 아름다운 동행 함께해요..
우수회원으로
닉네임이 재미있네요 ㅎㅎ
고운 흔적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돼세요~~~
명심보감이 맞읍니다 ㅎㅎㅎㅎ
오효님 반갑습니다
고운 흔적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돼세요~~~
좋은글 잘 새기고 감니당






사근달님 반가워용 ㅎㅎ
내가 사근달님 팬인데 반갑습니다 ㅎ
고운 흔적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돼세요~~~
구구절절 금언과 명구들이네요.
좋은 글에 언제나 박수를 보내며,,, 별 5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