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per Gold vs. the Dollar?
종이 골드 vs. 달러의 운명
(부제: 금융과 국가안보 - Russia가 골드화폐를 들고 나온다면)
July 7, 2010
Interview by: Chris Whalen with James Rickards
번역: 경제닷컴 (www.GyungJe.com)
The Institutional Risk Analytics (IRA)의크리스 왜일런은 제임스 뤼카즈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달러의 연약함과 금환본위 화폐의 창출로 인한 달러의 기축통화력 와해에 대한 가능성을 논의합니다.
(Chris Whalen) The IRA: Thank you for taking the time to talk with us. We previewed this interview yesterday on CNBC in a discussion with Ian Bremmer of Eurasia Group and Nouriel Roubini. We wanted to talk to you today about the global economy and the dollar. You may have seen our reference last week ("Country Risk: The World According to Robert Rubin (Updated)", June 29, 2010) to the new borrowing rights that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has created at the behest of the inflationist tendency in the White House.
IRA: 참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은 어제 유라시아 그룹의 이안 브레머씨와 누리엘 루비니 교수와 함께 CNBC (증권 TV 채널) 좌담에 나가서 오늘의 인터뷰 주제인 글로벌 경제와 달러 대한 이야기를 미리 나눈 적이 있었습니다.
Rickards: My day job is working with funds and banks, but by night I focus on the geo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global macroeconomic outlook. The intersection of finance and geopolitics is a place that far too few analysts feel comfortable. The people who can speak to a three-star general about asymmetrical warfare and then turn around and speak to a swap counterparty about collateral issues are few and far between. At Omnis we are finding more and more call for just this type of expertise. When credit default swaps are taking down Greece and you realize that Greece is a NATO ally, the reason for interest in financials by the security community is obvious.
뤼카즈: 저는 하루 일과 중, 낮에는 펀드들과 은행들과 일을 하고 밤에는 글로벌 거시경제 전망에 영향을 주는 지정학적 영향 또는 관계에 대한 연구에 몰두합니다. 금융과 지정학이 교차하는 테두리내에서 연구하는 분석가들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별세개를 단 장군과 비대칭 전시전략에 대해서 논의하고, 돌아서서는 스왑 카운터 파티와 담보 자산에 대한 이슈를 논의 할 수 있는 사람들이 그리 많지 않다는 얘기죠. 저희 옴니스 (컨설팅)에서는 그런 종류의 전문가를 찾는 고객들이 늘고 있음을 체험합니다. 그뤼스가 크레딧 디폴트 스왑으로 무너질 때, 동시에 그 나라는 나토 동맹국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국방계에서 금융에 관심을 가져야하는 이유가 바로 그런 것이죠.
The IRA: As we have said before, we note an increased interest in financial markets by members of the security community. If you go through the contract awards for SEC and the bank regulatory agencies you will see some names that are most often seen in the defense community.
IRA: 전에도 지적했던대로 국방계 사람들이 금융시장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습니다. 증권감독국이나 은행감독기관들로 부터 계약을 따 내가는 하청업자들의 목록을 살펴보면 그중에 보안(국방)계에서 볼 수 있는 이름들이 자주 눈에 뜨입니다.
Rickards: There are actually two flows at the moment. The capital markets have a voracious appetite for geopolitical insights involving, for example, Iran and Israel with obvious implications for oil prices. At the same time the national security community needs to understand capital markets because the security of nations is being undermined by fiscal policies and credit default swaps as we've seen in Greece. My firm is comfortable processing information in both directions; helping the national security community understand markets and helping capital markets participants understand geopolitics.
뤼카즈: 실상은 쌍방향의 흐름을 볼 수 있습니다. 자본시장은 지정학적 안목을 얻는데 왕성한 입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이란과 이스라엘간의 알력은 원유가에 큰 영향을 주게 되죠. 동시에 국가 보안계는 자본시장에 관심이 많습니다. 왜냐면 그뤼스의 경우를 통해 알수 있듯이 국가의 예산정책과 크레딧 디폴트 스왑에 의해 국가 보안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죠.
The IRA: Using techniques tuned to predict security events can also help with screening incoming tips for a regulatory hotline, for example. But many of the "issues" facing regulators in better attacking problems in the financial markets involve process issues, not decision about the desired result. When our political class becomes so dissolute that their behavior threatens national security, it raises some issues that Americans are not used to dealing with.
Rickards: Agreed. To give you a sense of how much interest there is in financial matters in the national security community, I recently headed a panel at a program sponsored by the Johns Hopkins Applied Physics Laboratory, one of the premier private research centers in the U.S. for developing everything from new weapons to nuclear strategy. The topic of my paper was a hypothetical press release issued by the Russian central bank announcing the creation of a new, gold-back currency. In the hypothetical, the Russians also announce that exports of energy and other natural resources will have to be made in this new "gold ruble." The Russians would become a market maker in gold and effectively control the marginal price of gold transactions. This is basically a plan for taking down the dollar.
동의합니다. 국가보안계가 금융계에 얼마나 관심이 많은지 보기를 하나 들어보죠. 최근에 저는 쟌스합킨스 응용 물리 실험국이 주관한 포뤔을 관장한 적이 있습니다. 그곳은 신무기 개발부터 핵전략에 까지 이르는 광범위한 사설 연구기관이죠. 제가 가지고 나갔던 주제는 뤄시안 중앙 은행이 금환본위 화폐를 발행한다는 공문이 발표되는 가상의 시나리오였습니다. 또한 그 시나리오에는 그들이 수출하는 에너지와 지하자원에 대한 지불화폐를 골드루블로 정한다는 가상의 정책발표도 들어 있습니다. 뤄시안들은 골드를 통한 마켓 메이커가 되며 골드거래상의 가격변화를 효율적으로 통제하게 됩니다. 목적은미국달러를 무너뜨리는 것이죠.
The IRA: It is an entirely plausible scenario. The Russians could establish a "gold" price for oil and then the paper currencies would trade at a discount. Thanks to the lack of leadership in Washington by either party, the U.S. is quite vulnerable to the creation of a gold-backed or commodity-backed currency. This August is the 40th anniversary of the decision in 1971 by President Richard Nixon, aided and abetted by a Treasury official named Paul Volcker and Fed Chairman Arthur Burns, to break the link between the dollar and gold. The excuse then was justified based on the short-term need for growth and inflation. As a senior Fed official told us, look at the period since the 1990s. Count how many quarters we have not had either fiscal stimulus or accommodative interest rates by the Fed to maintain the illusion of growth.
그럴듯한 시나리오네요. 뤄시안들은 원유가를 골드로 정하고 지폐는 디스카운트에 거래 되겠군요. 미국 양당의 무능으로 인해 달러는 골드화폐에 굴복할 수도 있겠어요. 다음달 8월은 닉슨대통령이 금과 달러의 연결선을 잘라 버린지 40주년이 되는 달입니다. 선동자들은 당시 재무부의 폴 볼커와 연준위의 번스 위원장이었죠. 당시의 변명은 미국의 성장과 인플레이션을 위한 단기적 필요성이었습니다. 연준위 고위층의 한사람이 저희들에게 말했듯이, 지난 1990년대부터 지금까지 경기부양지출이나 통화완화정책이 없었던 분기가 몇번이나 있었는지 세어보라고 했죠. 성장이라는 환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말입니다.
Rickards: Precisely. But what is interesting is that a couple of days ago, we saw the arrest of this seemingly hapless Russian spy gang. These people were a relic of the Cold War, running around Montclair, New Jersey, and meeting in New York coffee shops. But the one little tidbit that came out of the complaint filed by prosecutors is that the one subject that got a lot of reaction from Moscow was gold. Whatever these people were collecting for the Russians, the information about gold was of great interest. Often times in intelligence you care less about what the field agents are collecting than who is asking and why they are asking. The paper I did is getting written up all over the web. But the fact that the information on gold touched a nerve in Moscow confirms my view about their intentions toward the dollar.
정확한 포인트입니다. 그러나 흥미로운 것은 지난 이삼일전에 우리는 불운의 뤄시안 스파이 갱단이 체포되었던 사건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냉전의 유물에 불과합니다. 몬트클레어, 뉴저지, 뉴욕 커피샵등을 돌아다니던… 그러나 검찰의 진술서 내용 중에 한가지 군침이 생기게 했던 사실은 모스크바가 골드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만은 유난히 큰 반응을 보였다는 점입니다. 그 사람들이 무슨 정보를 구하려 했는지는 잘 모르지만 골드에 대한 관심은 대단했었던 것 같습니다. 정보계에서는 스파이들이 무슨 정보를 원했는지 보다도 누가 왜 그런 일을 시켰는지에 더 큰 관심을 두게 되죠. 나의 글은 웹에서 사방팔방으로 전달되었습니다. 하지만 골드에 대해서 모스크바가 신경을 곤두세웠다는 사실은 그들이 미국달러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의도를 의심해 왔던 제 견해를 확인시켜 준 것입니다.
The IRA: Well it is so obvious. We interviewed David Kotok of Cumberland Advisers last month, some of which will appear in Chris Whalen's upcoming book. Kotok just published a bullish book on Europe, Invest in Europe Now, and Kotok is even more bullish today. As he puts it, the Greeks gave the Germans a 20% currency devaluation. Kotok thinks that the crisis in Europe will eventually force the EU to fully integrate. But we speak to insiders with precisely the opposite view, who say the Europeans do not have a grip on the financial problems. Does the EU emerge stronger from the crisis?
당연한 것 아니겠습니까? 저는 지난달에 컴벌랜드 어드바이저스의 데이빗 코톡을 인터뷰한 적 있습니다. 그와의 인터뷰 내용은 저의 책에 들어 갈 예정입니다. 코톡은 유럽에 대해서 낙관적 견해의 책을 발간할 겁니다. 책 이름은 “유럽에 지금 투자하라”입니다. 그는 요즘에 들어서 더욱 낙관적입니다. 그의 표현을 빌리면, 그뤼스인들은 독일에게 20%의 화폐절하를 주었다 입니다. 코톡은 이번 유럽의 위기가 EU를 완전히 결합시키는 힘을 발휘할 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속사정을 잘 아는 사람들과 대화를 나눠보면 그와는 정반대의 상황이라고도 합니다. 그들은 유럽이 아직도 금융사태에 대한 대안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고 하는데요. 과연 EU가 이번 위기를 계기로 더욱 강해질 수 있을까요?
Rickards: I agree with the view that says the EU gets stronger. I keep reminding people that the European Central Bank and the 16 members of the monetary system have over 10,000 tons of gold. They have more gold than the U.S. Treasury. We have just over 8,100 tons ourselves. If the EU were to go to even a partial reserve coverage with gold, say 20% backing, it would put Europe at an enormous advantage. They have enough gold today to set a target and make a two-way market in gold. I think that the first major currency bloc that goes to gold will dominate the financial world because it will become the only currency anybody will want. The first mover will force the other nations to follow.
저는 EU가 더욱 강해질 것이라는 관점에 동의합니다. 제가 누차 말했듯이, EU 중앙은행과 통화멤버 16개의 국가가 1만톤이 넘는 골드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미국 재무부보다 골드를 더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8천백톤을 가지고 있거든요. 만약 EU가 부분적으로나마 골드화폐제로 간다면 (예를 들어서 20% 정도) 유럽은 대단히 유리한 고지에 올라서게 됩니다. 오늘날 그들이 소유하고 있는 골드의 양은 타겟을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쌍방의 금시장을 형성해 낼 수 있습니다. 누군가 먼저 골드화폐제로 들어갈 수 있는 쪽에서 세계 금융시장을 정복하게 될 것입니다. 왜냐면 골드만이 사람들이 원하는 화폐가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선제권을 탈환하는 국가를 타 국가들은 따르게 되어 있습니다.
The IRA: This is the idiocy of the U.S. position. We have set ourselves up as an easy target for our enemies. It is astounding that the Chinese have not been more aggressive in selling dollars. Maybe they are going to manage our downfall gently.
미국의 처지가 무척 바보스럽군요. 우리 원수들에게 좋은 표적이 되었네요. 중국이 좀더 의욕적으로 달러를 매각하지 않고 있는게 놀랍습니다. 어쩌면 우리가 무너지는 것을 좀더 젠틀하게 만지려고 그러는지도 모르죠.
Rickards: I think the Chinese probably are doing it gently. The Japanese and Chinese are both influenced by Zen which, in Western jargon, is really about optionality. The whole idea of Zen is to avoid black and white decisions and instead create a range of options and possible outcomes. Instead of committing yourself to a binary decision, you create a fan of probabilities and look for your openings. So in that sense, if you think of it in options space, the Chinese are probably content to play the American paper game with the dollar, but all the while preparing for the day when the dollar collapses completely.
아마도 중국이 젠틀하게 맞이하려고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일본과 중국은 젠 (선)의 원리에 영향을 입었습니다. 서구 말에 의하면 그것은 임의/수의라고도 하죠. 젠의 원리는 흑백과 같은 이분법의 결정이 아니라 옵션과 가능한 결과들을 늘어놓고 차분히 선택하는 것입니다. 미국 달러지폐 게임을 끝까지 플레이하면서도 달러가 완벽하게 무너질 때를 대비해 놓습니다.
The IRA: Americans are convinced that it cannot happen here, the greatest nation on earth. Reminds us of France after WWI. Same degree of self-delusion. And no reaction by U.S. officials to the Chinese and Russia gold purchases?
지구상에서 가장 위대한 국가라고 믿고 있는 미국인들은 그런 시나리오를 믿지 않습니다. 1차 세계대전의 종전이후의 프랑스를 회상해 봅시다. 똑 같은 착각이죠. 그리고 중국과 뤄시아가 골드를 사모으고 있는 것에 대한 미국의 반응이 없죠?
Rickards: The Russians do not hide their purchases of gold. The incremental growth of Russian gold reserves is visible in their monthly statistics. The Chinese have been more surreptitious in their purchases but even they have announced the reserves doubled in recent years. The way that both of these nations add to gold without impacting the global price is that they are buying from internal, captive producers. And they pay below market prices because even paying $800 per ounce still gives their miners a tremendous profit. Between 2004 and 2008, China almost doubled the gold stocks of Peoples Bank of China, but they bought it through other state agencies to keep it off their books.
뤄시안들은 그들이 골드를 매입하고 있음을 비밀시하지 않습니다. 정부 월별 기록에도 그들의 골드뤼저브의 수위가 오르고 있음이 담겨져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은밀스럽습니다. 그런데도 중국은 최근 몇년사이에 골드뤼저브 수준이 두배로 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들이 골드시세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사들일 수 있는 것은 그들이 내부 공급원을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시장가 보다 낮은 가격으로 매입하고 있습니다. 온스당 800달러를 받는다 하더라도 내부 공급원들에게는 큰 이윤이 됩니다. 지난 2004 -2008년 사이에 중국은행은 골드의 양을 두배가까이 늘렸는데 그들은 타 지역의 에이전시를 통해서 사들임으로써 장부에 포함시키지 않는 방식을 쓰고 있습니다.
The IRA: So there is the pretense of coordination among the G-20, but meanwhile China is preparing to operate in a hard currency world. Is this a good way to describe your view?
따라서 중국은 G-20에서 협조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 같지만 한편으로는 국제적 경화제도에 대비하고 있다는 말이죠? 맞습니까?
Rickards: We have been operating in a dollar world for decades. Notwithstanding the demise of Bretton Woods in 1971, it's still a dollar system. All of the world's expectations, all of its productive capacity, all of its allocations of capital are built around that system. When the caretakers of that system allow weeds in the garden and for the system to disintegrate and fall apart, which is what I see happening in the U.S., the immediate reaction is first confusion, then panic and then self help. This gets to the heart of the national security implications of the financial crisis. Initially other nations were content to wait for the U.S. response, but now I see nations like China, Russia and Germany increasingly willing to act on their own.
우린 달러의 세계속에서 수십년을 살아왔습니다. 1971년 브레튼우즈가 무너진 이후에도 우린 아직도 달러제도하에 있습니다. 세상의 모든 기대치와, 모든 생산용량과, 모든 자본분배가 달러경제의 구조안에 속해 있습니다. 정원사들이 정원에 잡초를 그냥 내버려두고, 구조가 붕괴하도록 놔 둔 것인데 그 결과가 지금 미국에서 표면화되고 있는 것입니다. 그에 대한 첫 반응은 혼돈이었고, 패닉, 그리곤 자구심이 뒤따르는 것이죠. 그것이 바로 금융위기가 국가보안 이슈로 번져가는 과정입니다. 초기당시 타 국가들은 미국의 대처방안을 지켜보았지만, 이제는 중국과 뤄시아, 그리고 독일이 자구책을 들고 나오고 있습니다.
The IRA: The euro was up to 25% of global flows prior to the crisis. You could price oil in euros. It's a big enough currency to be the unit of account and means of exchange for global energy.
금융사태 직전, 유로는 세계 통화유통의 25%까지 달했습니다. 원유를 유로로 거래할 수도 있었죠. 글로벌 에너지자원의 거래단위로 책정될 수 있을 만큼 영향력을 가진 화폐였습니다.
Rickards: The trend in the amount of global trade priced in dollars has been going down for decades. This brings us today to the key question, which is what is the U.S. plan? Fed Chairman Bernanke wakes up every morning and tries to trash the dollar with quantitative easing, zero interest rates and swaps lines with the central banks. But it has not been working. The Fed has never taken it to the next step and asked what happens when quantitative easing does not work.
지난 수십년을 거쳐, 달러바탕의 무역량은 줄어드는 추세였습니다. 그러한 사실은 한가지 중요한 질문을 던집니다. “미국의 계획은 무었이냐?”라는 질문이죠. 버냉키는 아침마다 침대에서 일어날 때 Quantitative Easing (채권매입을 통한 통화량증가정책), 제로금리, 그리고 중앙은행과의 스왑라인등으로 달러를 죽일 궁리만 합니다. 하지만 QE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어요. 버냉키는 그처럼 QE가 실패하고 난 그 다음 단계에 대해서 질문을 던지고 있질 않습니다.
The IRA: The folks at the Fed have been talking about it. Read Vince Reinhart's FOMC briefing materials from October 2003. We also got some great stuff with Kotok on the 2001-2003 period that will appear in the book. But to your point, the problem since 2001 has been deflation. As we said above, since the 1990s the U.S. economy has been on one form of stimulus or another. The same political class who want to pretend that the economy is growing will never embrace gold because it implies a deceleration of the economy that could cut points off of GDP around the world. And as we have said before, the Fed's low rate policy is driving deflation, both by coloring perceptions and slowly destroying the income from fixed income assets.
연준위 사람들 사이에 돌고 있는 말이 있죠. 빈스 롸인하트의 FOMC 브리핑과 코톡의 2001-2003년 자료에도 잘 묘사되어 있습니다. 뤼카즈씨의 쟁점으로 돌아가서…2001년 이후로 진짜 문제는 디플레이션이었습니다. 조금전에도 말했듯이 1990년대부터의 미국 경제는 언제나 정부 경기 부양정책하에 놓여 있었습니다. 골드화폐로 영원히 돌아가지 않을 것으로 믿고 싶어하는 그 정치계파는 그로인한 경제 성장율 후퇴가 잠시나마 세계 GDP 수치에 지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누차 말하지만 연준위의 저금리 정책이 디플레이션을 부축이고 있습니다. 사람들의 지각력을 흐리고 고정 이자 수입 자산을 파괴시키면서 말입니다.
Rickards: We are taught that Money Supply * Velocity = Real GDP * Inflation. The equation is what it is. But what the Fed always assumed was that velocity would remain constant and use the other variables for policy. Then the only question was what the inflation component would be. But velocity is not constant. And if velocity declines faster than the Fed can print money, then GDP will decline with it. Deflation is the dominant trend in my view but we could have a burst of hyperinflation on the path to deflation if the Fed is unwilling to accept the inevitable consequences of the easy money and asset price bubbles of 1998 to 2007.
우리는 [통화량(M) x 화폐유통속도(V) = 실질GDP x 물가상승(π)]이라고 배웠잖아요. 그 공식 그대로 일 뿐입니다. 하지만 연준위가 가정하고 있는 것은 유통속도는 고정된 상태에서 다른 요소들만 변한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핵심 질문은 인플레이션 요소는 뭐냐는 겁니다. 유통속도는 고정수치가 아니죠. 유통속도가 돈을 찍어내는 속도보다 빠르게 감소한다면 GDP도 따라서 감소하겠죠. 제 견해로는 앞으로의 문제가 디플레이션으로 봅니다. 디플레이션으로 가는 중간에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터질수도 있어요 – 버냉키가 QE와 저금리의 결과가 1998-2007 버블의 주 요인이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말입니다.
The IRA: The issue of velocity makes you wonder what part of the Depression many economists studied. Everyone in Washington is so surprised to see the Europeans retrenching instead of spending more on stimulus. Being conservative in times of economic stress is the normal human reaction, a reaction that is not transcended by Keynesian economics, especially when the markets will not allow you to borrow. This is no longer about ideology but reflects the weight of accumulated debt and the public perception of future income vs. today's debt load.
화폐유통속도에 대한 생각을 하다보면 경제 전문가들이 공황의 어느 부분을 연구해 오고 있었는지 의문이 생깁니다. 워싱턴 사람들은 유럽인들이 정부지출을 줄이고 있는 것에 대해 무척 놀란 표정을 짓고 있습니다. 경제가 최악일때 경제적으로 축소하려는 것은 인간의 본능일 수도 있습니다. 특히 돈을 빌릴 수 있는 길이 막혀 있을 때는 더욱 그렇겠죠. 케인지안 관점에서는 삼키기 어려울 겁니다. 이제는 사상과 학설따위가 이슈가 아니라 축적된 빚더미가 누르는 무게와 그 빚더미의 크기와 미래소득에 대한 기대치의 관계를 국민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느냐가 관건입니다.
Rickards: I very quickly reach the point where this is no longer about left or right, it's about the mathematics of compounding and the dynamics of complex systems. The Europeans get that point. We went from Dubai to Greece very quickly. The contagion effect was visible. You could not push Greece off the bus without unwinding the entire EU and the Europeans do not want to see that happen. You start with the Thirty Years War and work your way through Napolean, WWI and WWII. You have centuries of war and destruction in Europe. The Europeans arrived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and decided that they needed to come together to avoid another war. The monetary side has been a success, but political and diplomatic integration not so much to date. But the EU is the shinning success for Europe after centuries of war and holocaust and annihilation. They are not going to let it go.
이제는 좌파냐 우파냐를 따질때가 아니라고 봐요. 지금은 기하수학과 복잡한 구조의 다이내믹을 논의해야 할 때 입니다. 유럽인들은 그점을 이해하죠. 두바이에서 그뤼스로 빠른 속도로 건너갔거든요. 전염은 가시적이었습니다. EU 전체를 언와인드 하기전에는 그뤼스를 버스 바깥으로 던져버릴 수가 없었어요. 더불어 유럽사람들은 그런 사태가 재연되는 것을 보고 싶어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들은 30년의 전쟁으로 시작해서 나폴레옹 시절을 거치고, 1차세계대전, 2차세계대전을 거쳤잖습니까? 우린 수백년의 전쟁과 파괴를 겪은 유럽을 봤습니다. 유럽사람들은 20세기 중반에 들어와 다시는 전쟁을 겪지 말자고 했습니다. 그 이후, 통화구조에서는 성공했으나 정치적, 외교적 화합에서는 부족함이 남아 있습니다. 수백년의 전쟁과 학살, 파멸을 겪고 난 이후였던 것을 감안하면 EU는 빛나는 성공이었습니다. 그렇기에 그들은 EU를 놓지 않을 것입니다.
The IRA: So here is the question: if the U.S. has its head buried in the sand, who is the leader of the global currency system going forward?
제 질문은 이겁니다. 만약에 미국이 머리를 모래에 박아버린다면 누가 국제 화폐구조의 리더가 되는 겁니까?
Rickards: Well, the leader of the process is not clear. This gets back to a whole series of very revealing interviews given by Treasury Secretary Timothy Geithner in the late 1990s that we have to dig out. He embraces something that he calls "convening power," I call it "a bunch of guys." Geithner's world view essentially consists of getting the finance ministers or heads of state in a room, developing an agenda, and then pursuing that process wherever it takes you. I think the US has embraced multilateralism within the G-20 as an alternative to U.S. leadership. I think we look at the G-20 differently than does China, Russia, Brazil and some others. The U.S. looks at the G-20 as a kind of benign, kumbaya, kind of global board of directors that working with the IMF can bring the world in for a soft landing. I don't think the Chinese or the Russians see it that way. They see the G-20 as an interesting tool but from a state-centric view.
그 과정에서의 리더가 누가 될지는 불확실합니다. 가이드너가 1990년대 후반에 “소집능력”이라는 말을 한적이 있습니다. 저는 그것을 “몇몇 사람들”이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가이드너가 보는 세계는 결국 몇개의 국가 재무장관들이 한방에 모여서 아젠다를 도모하고 논의해 가면서 나오는 결과라고 표현할까요? 미국을 대신할 리더쉽을 G-20내에서 다국간 공동정책 방식을 미국은 선호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미국은 중국, 뤄시아, 브라질, 그리고 다른 나라들이 보는 G-20와는 다른 각도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은 G-20를 볼때 친근하고 화기애애한, 각국의 이사진들이 모여서 IMF를 위주로 소프트랜딩이나 도모하는…그런 식이죠. 하지만 중국이나 뤄시아는 그렇게 호락호락하게 보고 있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들은 G-20를 유용한 도구라고는 보지만 중앙집권 국가의 관점에서 보고 있죠.
The IRA: Geithner's strategy, if you can call it that, reminds us of the shallow management pretense visible in many Wall Street firms. The Chinese and Russians see themselves in the ascendancy and, unlike the U.S., these nations have a vision of where they want to be a century from now. Americans just want to borrow more money.
가이드너의 전략은 (뭐 그렇게 부르자고 한다면) 월스트릿 기업들의 얕은 경영방식을 보는 것과 같아요. 미국과는 달리 중국과 뤄시아는 자신들이 우세한 위치에 놓여있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으며 100년 미래의 비젼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인은 그저 돈이나 더 빌릴 궁리만하고 있죠.
Rickards: Correct. The U.S. exit strategy, as seen from Washington, involves special drawing rights (SDRs) issued by the IMF. This brings up Triffin's Dilemma, which says that the world needs a global liquidity pump. If there is not one leading country willing to run deficits, then global trade grinds to a halt. The only problem, thus the dilemma, is that the deficit nation goes broke.
맞습니다. 워싱턴 정계의 분위기로 봤을 때 미국의 출구전략은 IMF가 발행하는SDR (특별인출권)쪽입니다. 그것은 세계경제에 유동성을 퍼 넣어야 한다는 트리픈의 딜레마 (국제통화 유동성 딜레마 – 답이없다는 뜻과 통용)를 초래합니다. 경상적자를 짊어질 국가가 나타나질 않으면 세계무역질서가 무너지게 되죠. 문제는 경상적자를 맡은 나라는 깡통을 차게된다는 겁니다.
The IRA: That would be us. The conventional view has always been that the other nations of the world, seeing their currencies rise in value as the U.S. defaults on its debt via inflation, would eventually inflate their own money to maintain some type of parity for trade purposes. What happens when the U.S. embraces quantitative easing as part of normal policy and begins to explicitly monetize the federal deficit?
그렇다면 그게 우리가 되네요? 통상적 관점으로는 미국이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채무불이행을 하게 되면 상대적 국가의 화폐가치가 오르게 되는데 그것은 궁극적으로 무역균형에 유지하는 메카니즘이 형성 되는 게 아니겠습니까? 미국이 QE를 정상적 정책으로 간주하고 대놓고 연방적자를 통화제정을 시키면 어떻게 됩니까?
Rickards: Well we are not there yet. Where the Treasury would like to lead us to is the SDR. Two important things happened in 2009.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 IMF leveraged its balance sheet. In the past, the IMF quota system was essentially equity. The IMF has obtained binding commitments to borrow over $500 billion worth of debt denominated in SDRs. The greater use of and acceptance of the SDR is step one and solves Triffin's dilemma. Then step two, as China rises, we can dial up the value of the SDR by including the yuan. Remember that the SDR is rebalanced every five years and the yuan is not currently reflected.
아직 거기까지는 가지 않았습니다. 재무부가 가고자 하는 곳은 SDR쪽 입니다. 2009년에 두가지의 중요한 일이 있었습니다. 사상 처음으로 IMF가 발란스쉬트를 레버리지 했습니다. 과거의 IMF 쿼타는 에퀴티였습니다. IMF가 SDR 채권500빌리언 달러가 넘는 액수를 빌릴 것으로 공약했습니다. 그것에 대한 수용이 커지는 것이 1차 해결책이요 트리픈의 딜레마를 풀어가는 방법이 될 것입니다. 2차해결책은 중국의 유안이 쎄지면서 SDR에 유안을 포함시키는 것입니다. SDR은 5년마다 재조정을 받게 됩니다. 현재는 유안이 반영되고 있지 않아요.
The IRA: So if you add the Chinese yuan to the SDR, you devalue the dollar?
만약 유안이 SDR에 포함되면 달러는 떨어지는 겁니까?
Rickards: Yes. The dollar buys fewer SDRs. This not only solves Triffin's dilemma but also addresses beggar thy neighbor. We are not going to walk around with SDRs in our pockets, but this is how we balance global capital accounts and rebalance deficit and surplus countries in the trading system. You create a new asset against which you can devalue. But you also create a new asset which you can print without accountability to any democratic process. Nobody elects the G20 or the IMF.
네. 달러가 SDR을 적게 살 수 밖에 안되게 됩니다. 이 방식은 트리픈의 딜레마를 해결함과 동시에 타국가들의 발목을 잡는 문제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우리 주머니에 SDR을 넣고 다닐 일은 없습니다. 국제 자본구조를 조율시키고 무역에서는 적자와 흑자를 재균형시키게 됩니다. 가치절하가 가능한 것으로 새로운 자산을 창조하는 겁니다. 또한 돈을 찍어낼 수 있되 민주적 과정과 책임을 저버리지 않아도 되는 자산을 만들어 낼 수도 있습니다. 아무도 G-20나 IMF를 선출하지 않습니다.
The IRA: It turns the IMF into a global clearing house and central bank. In the post WWII period, the global ledger was dollars and gold on one side as reserve assets and the other currencies on the other. Now we are putting the dollar with everyone else. Does this arrangement result in fiscal discipline in Washington?
IMF가 국제중앙은행이면서 클리어링 하우스가 되는 것이네요. 2차대전이후 국제장부의 한쪽은 골드와 달러, 그리고 다른 한쪽은 타국가들의 화폐였습니다. 이제는 달러를 다른 나라 화폐와 같은 쪽에 집어 넣는 겁니다. 그 방법이 워싱턴 정치인들의 헤픈 씀씀이를 잡아줄 수 있을까요?
Rickards: No, I think it just kicks the game upstairs and down the road. China was a big buyer of these SDR bonds. They diversified with minimal market impact. The IMF took in dollars for their SDR notes and lent the dollars to Hungary, Iceland, etc. Thus the IMF not only levered their balance sheet, but they also created over a hundred billion in new SDRs. The IMF essentially printed money and they spread them all over the world to all of the member nations. I see this as testing the plumbing. Now the IMF is on standby. The next time we are in the situation that existed in 2008, you won't see another $1 trillion stimulus package because we cannot afford it. Instead you'll see a trillion SDRs going out the door suddenly. Remember, when they were first created in the 1970s SDRs were called "paper gold."
아니요. 그건 그저 한번 게임을 위로 떠 올렸다 다시 길 아래로 차버리는 것과 같다고 봅니다. 중국은 이미 SDR 채권의 주 매입자였죠. 그들은 시장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뤼스크를 분산시켜 놓았습니다. IMF는 중국이 지불한 달러를 받아 헝거뤼, 아일랜드등과 같은 나라에 빌려줬어요. 결과적으로 IMF는 발란스쉬트를 레버리지 했던 것만이 아니라 수백빌리언 달러상당의 신규 SDR을 발행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IMF는 새돈을 찍어내서 멤버국가들에게 뿌려준 셈이죠. 저는 그게 배관을 시험해 본거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IMF는 스탠바이하고 있어요. 다음에 또 2008년과 같은 사태가 터진다면 1트릴리언 공적자금은 없을 겁니다. 미국은 이제 돈이 없거든요. 대신 SDR 1트릴리언이 투입될 것입니다. 기억하세요? 70년대에 만들어졌던 SDR을 “종이골드”라고 불렀던 것을요?
The IRA: Global quantitative easing? So the old problem remains, namely supporting global growth. So here is the question going back to the EU: If you are Poland or the Czech Republic, do you align with NATO and the Europeans or cut a deal with Moscow? Does this SDR-based exit fantasy of Robert Rubin and Tim Geithner exist alongside the resurgent euro?
글로벌 QE? 그렇다면 문제는 아직도 남아있는거네요? 이번에 글로벌 성장을 돕기 위한 명목이라는 것일뿐. 그러면 EU를 향해 질문을 던집니다. 당신의 국가가 폴란드 또는 첵 공화국이라고 한다면, 나토 그리고 유럽국가들과 동맹을 맺어야 하나요 아니면 모스크바와 협상을 해야하나요? 이번 SDR은 롸벌트 루빈 전 재무장관과 팀 가이드너 현 재무장관들의 환상속에서 탈피하고 재활되는 유로와 함께 존재하게 되는 것인가요?
Rickards: I think you already see in formation a German-Russian axis. Merkel and Medvedev have been very active in their discussion. I can't think of two economies in the world that are better matched than Germany and Russia. The former is an export technological powerhouse, Russia is a commodity producer and importer of technology. Russia has a credibility problem, but combined with the EU they would become the new alternative to the dollar.
우린 이미 독일-뤄시아 축의 형성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멀켈과 메드베데프는 긴밀히 협의해 오고 있었습니다. 독일과 뤄시아의 연합만큼 잘 어울리는 경제는 찾기 힘들겁니다. 독일은 수출국이면서 기술의 파워하우스고 뤄시아는 원자재 생산국이면서 기술을 수입하는 나라입니다. 그런데 뤄시아는 아직 신용이 없습니다. 그래서 EU와 동맹을 하게 되면 그들은 달러를 대신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The IRA: We'll be watching. Thanks Jim.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고마워요 제임스.
첫댓글 장문 이군요. 내용은 잘이해 하지못하지만 끝까지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