精神論[编辑] 衰旺論[编辑] 中和論[编辑]
精神論[编辑]
정신론(精神論) 편집(編輯)이라
人有精神,不可以一偏求也,要在損之益之得其中。
五行大率以金水為精氣,木火為神氣,而土所以實之者也,有神足不見其精,而精自足者,有精足不見其神,而神自足者,有精缺神索而日主孤弱者,有神不足而精有餘者,有精不足而神有餘者,有精神俱缺而氣旺者,有精缺而得神以助之者,有神缺而得精以生之者,有精助精而精反洩者,有神助神而神反斃者,皆無氣以生也,凡此不可以一偏求之,俱要損益其進退,勿使過興不及可也。
사람에게는 정성스런 골수(骨髓)[진짜베기가 들어박힘]와 신령(神靈)스러움 두 가지가 있음이니 한쪽으로 치우침을 찾는 것은 불가하다
중요한 것은 덜고 더함을 그속에서 얻는 거다
오행의 크게 통솔 됨을 본다면 금수(金水)로써 정성스러움의 기운을 삼고 목화(木火)를 신령스런 기운을 삼아서 토(土)로써 알찬 결실을 맺게하는 것이다 신령스러움이 족하다면 정성스러움이 안보여도 정성스러움이 자연 족한 것이고 정성스러움이 족함 있음 그 신(神)이 안보여도 신(神)이 자연 족한 것이다 정수(精髓) 결여(缺如)를 신(神)에서 찾음 있음 일간(日干)이 외롭고 허약함을 주도(主導)하게 되는 것이다
신령스러움이 부족하여도 정성스러움이 남음이 있는 것이고 정성스러움이 부족하여도 신령스러움이 남음이 있는 것이고 정신 둘다 결여되어도 기운이 왕성함 있는 것이고 정수(精髓)가 결여 되어도 신(神)을 얻음로써 도와가는 것이고, 신(神)이 결여됨이 있어도 정수(精髓)를 얻음으로써 살게하는 것이고, 정(精)을 갖고 정(精)을 도움있음 정(精)을 되려 설기(洩氣)시키는 것이 있고, 신(神)을 갖고 신(神)을 도움 신(神)을 되려 죽이는 것이 됨이 있다, 다 기운 없게 함으로써 생기는 거다, 무릇 이래서 한쪽으로 치우쳐 찾음이 불가 하다 하는 거다...중요한 것은 그 덜고 더함을 그 나아가고 물러감에서 갖추려 하데 하여금 너무 흥함은 미치지 못한 것이라 그렇게 하지 말게하는 것이 바른 거다.
衰旺論[编辑]
쇠왕(衰旺)론 편집(編輯)이라
能知衰旺之真機,其於立命之奧,思過半矣。
旺則宜洩宜傷,衰則喜幫喜助,子平之理也,然旺中有衰者存,不可損也。衰中有旺者存,不可益也。旺之極者不可損,以損在其中矣,衰之極者不可益,以在其中矣。至於所當損者而損之反凶,所當益者而益之反害,此中真機皆能知之,何難於立命之微奧乎
잘 쇠왕의 참 기틀을 안다면 그 명의 심오(深奧)함을 세움에서 과반은 생각한 것이 될거다
왕성한 것이라면 설기함이 마땅하고 손상시킴이 마땅하며 쇠한것이라면 돕고 도움을 깃거워 하는 것이 자평의 이치라 그러나 왕성함속에 쇠함이 존재함이 있음 덜어냄을 불가한 거고 , 쇠한속에 왕성함이 존재한다면 더함이 불가한 거다, 왕성 함이 극성을 부리는 것은 일부러 덜어내는 것이 불가한 것이니 왜냐하면 덜어짐이 그속에 있기 때문이다 쇠함이 극에 달한것이라면 더해 주는 것이 옳치 않으니 더해 주는 것이 그속에 있기 때문이다 응당 덜은 바에 다다른 것을 또 덜어낸다면 되려 흉한거고 응당 더한바에 이른 것을 또 더한다함 되려 해롭게 되는거다 이런 속에서 참 기틀을 다 잘 알것이니 어찌 명을 미세한 심오함 세움에서 어렵다 할 것인가
中和論[编辑]
중화(中和)론 편집이라
能識中和之正理,而於五行之妙,有全能焉。
中而且和,子平之要法,雖曰有病方為貴,無傷不是奇,然畢竟云:格中如去病,財祿兩相隨,則又中和矣,是必歸於中和,乃為至貴,若身弱而財官旺也,取富貴不必於中也,用神強,亦取富貴不必於和也,偏氣古怪,亦取富貴不必於中且和也,則以天下之財官,止有此數,而天下之人才,最邪巧也。
잘 중화(中和)의 바른 이치를 알아서만이 오행의 묘(妙)함에서 전능(全能)함을 두게 될거다
중간 위상 균형 잡히고 또한 화평한 것 자평의 팩트 요점 법이다 비록 말하건데 병이 있다면 대처방안을 아는 것이 귀한 것이 된다 상처에는 반드시 치료하는 짝이 있는 것이니 상처 없는데 놀랄일 있느냐 놀랄일 없음이니 그러나 필경은 이르기를 격중(格中)에 병(病)을 제거(除去)한다할 것 같음 재(財)와 록(祿) 두 모양이 따른다면 또 균형이 잡히고 화평한 것이 될 것이다 이는 필시 중화로 돌아감인 것이 되서 이리하여 지극히 귀함이 될 것이다 만약 신약(身弱)한데도 재관(財官)만이 왕성하다면 부귀를 취한다해도 가운데 균형을 잡음에서는 반듯 하지 못할거다 용신(用神)이 강해서도 역시 부귀를 취함에 있어서도 화평함에서는 반듯하지 못할 거다 기운이 치우쳐 기괴(奇怪)하게 보여도 역시 부귀를 취한다 해도 균형과 또한 화평함에 반듯하지 못하다면 천하의 재물(財物)과 관성(官性)으로써 이런 수에 머무름이 있다해도 천하의 인재(人才)가 가장 사벽스럽고 우연에일치 공교롭다 할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