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위는 핀테크 활성화와 디지털금융 혁신지원을 위해 온라인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0을 5.28(목)부터 개최 예정
■ 핀테크를 통한 개방형 혁신(Fintech for Open Innovation)을 주제로 특별세션, 온라인 전시, 온라인 채용설명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 준비
ㅇ 온라인 전시관에서는 핀테크 기업, 금융회사 및 유관기관 약 150곳이 참여하여 영상 등 핀테크 디지털 컨텐츠를 전시할 계획
ㅇ 디지털금융 분야의 주역이 될 인재 양성을 위해 금융회사 및 금융유관기관, 핀테크 기업이 참여하는 온라인 채용설명회도 예정 |
1 | 온라인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0 추진개요 |
□ 금융위는 디지털 금융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5.28(목)부터 제2회 글로벌 핀테크 박람회인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0을 온라인으로 개최합니다.
※ 온라인 코리아 핀테크 위크 개최장소: www.fintechweek.or.kr/2020
(5.28(목) 10시부터 순차적으로 특별세션 및 온라인 채용설명회 공개예정)
ㅇ 이번 박람회에서는 핀테크 분야 핵심 트렌드인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주제로 하여 핀테크 관련 주요기관의 특별세션과 온라인 전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2 | 온라인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0 운영방안 |
(오프닝세션) 금융위원장, 금융감독원장, 영국 Lord Mayor, 글로벌 핀테크 액셀러레이터 등 국내외 핀테크 주요인사 환영사 및 축사
(특별세션) 최근 핀테크 분야 핵심 트렌드인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과 관련된 국내외 산업동향 및 분야별 세미나 운영
[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0 특별세션(잠정) ]
※ 일부 연사 및 주제 등은 변동 가능
① [금융위원회] 대한민국 디지털금융 혁신방향
② [금융감독원] 레그테크·섭테크 쇼케이스
* 금감원, 금융회사, 레그테크 전문업체 등이 레그테크 도입·활용 우수사례를 발표
③ [KPMG] 2020 한국 핀테크 산업 및 정책동향
④ [World Bank] 위기대응과 경제발전을 위한 디지털금융 – 세계은행의 역할
⑤ [VISA-한국핀테크지원센터] 글로벌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 협업 성공사례 공유
⑥ [금융결제원] 오픈뱅킹 성과와 향후 발전방향
⑦ [금융보안원] 4차산업혁명 시대의 금융보안,
⑧ [코스콤] 금융클라우드와 금융컴플라이언스 대응 |
(온라인 핀테크 채용설명회) 한국핀테크지원센터와 한국인터넷진흥원 공동주관 온라인 채용설명회 진행(34개 기업 참여, 40여명 채용예정)
(온라인 전시관) 실제 오프라인 박람회와 유사하게 구현된 온라인 전시장에서 금융회사, 핀테크기업 등 약 150개 디지털 컨텐츠 전시
(사이버 보이스피싱 예방 체험관) 금융감독원과 한국핀테크지원센터, 기업은행 주관 보이스피싱 간접체험·대처법 및 보이스피싱 방지 앱·기술 소개
☞ 자세한 문의는 한국핀테크지원센터 이메일 및 유선문의 fintechweek@fintechcenter.or.kr / 070-4150-4490, 070-8873-9006 |
| ☞ 본 자료를 인용 보도할 경우 출처를 표기해 주십시오. | 금융위원회 대 변 인 prfsc@korea.kr | |
“혁신금융, 더 많은 기회 함께하는 성장”
참고 1 |
| 온라인 전시관 참여기업(5.8. 18시 기준) |
□ 참여 현황 : 147개 기업 참여 예정 ※ 글로벌관은 일부 변동 가능
ㅇ (핀테크 생태계관) 금융유관기관, 금융회사 핀테크 랩 등 18곳
* 유관기관 : 금융결제원, 금융보안원, 디캠프, 코스콤, 한국성장금융, 한국예탁결제원
금융회사: 농협은행 NH디지털Challenge+, 서울핀테크랩, 스타트업 둥지, 신한퓨처스랩, 우리금융디노랩, 하나은행 1Q Agile Lab, 한화생명드림플러스, DGB금융그룹 피움랩, IBK 1st Lab, KB이노베이션허브
기 타 :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한국사회투자 |
ㅇ (금융핀테크관) 주요 시중은행, 카드사, 금투업, 보험사 등 21곳
* 은행 : KB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대구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카카오뱅크
카드/보험 : KB국민카드, 현대카드 / 신한생명, 캐롯손해보험, 한화생명, SGI서울보증보험
금투업 : NH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삼성자산운용, 신한금융투자, 키움증권, 한국포스증권, 한화자산운용
기 타 : 한국간편결제진흥원 |
ㅇ (핀테크 스타트업관) 업력 5년 이내인 스타트업 47곳
* 송금/결제/해외송금 : 글로벌머니익스프레스, 다이브, 스텝페이, 에이치에스비코퍼레이션, 올링크, 와이어바알리, 유핀테크허브, 직뱅크, 파이어씨드, 페이플, 페이히어, 핀샷
크라우드펀딩/P2P : 그래노라, 디렉셔널, 시소플랫폼, 주나펀드, 한국어음중개
금융투자/자산관리 : 머니스테이션, 모핀, 빅쏠, 시스메틱, 씨비파이낸셜, 웰스가이드, 웰스트리에스지, 카사코리아, 콴텍, 쿼터백자산운용, 핀다, 한국금융솔루션
보안/인증 : 스텔스솔루션, 에스엔피랩, 에이젠글로벌, 위닝아이, 스파이스웨어
기타 : 그레이드헬스체인, 로민, 보난자팩토리, 보맵, 스몰티켓, 언더핀, 에임스, 이브이케어, 크레파스솔루션, 탱커펀드, 팔백미터, 포티투마루, 핀마트 |
ㅇ (핀테크 스케일업관) 업력 5년 이상 핀테크기업 25곳
* 송금/결제/해외송금 :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세틀뱅크, 페이민트, 한국NFC
크라우드펀딩/P2P : 8퍼센트, 투게더앱스, 피플펀드
금융투자/자산관리 : 고위드, 디셈버앤컴퍼니자산운용, 빅밸류, 위즈도메인
보안/인증 : 리얼아이덴티티, 스틸리언, 아톤, 지코드이노베이션
기타 : 4차혁명, 레이니스트(뱅크샐러드), 마이뱅크, 마인즈랩, 메인라인, 에이브앱, ㈜업, 코드에프, 피노텍 |
ㅇ (빅테크관) NHN페이코, NICE평가정보, KCB, 네이버파이낸셜, 더존비즈온, 데이콘, 카카오페이, 컴트루테크놀로지, 쿠콘, 핀크, 효성FMS 11곳
ㅇ (글로벌관) 페이팔, 비자코리아, 플러그앤플레이, AWS 등 25곳
※ 글로벌관은 코로나 팬데믹 상황을 감안하여 접수연장 중으로 확대가능
참고 2 |
| 온라인 핀테크 채용설명회 참여 기업(5.8. 18시 기준) |
□ 참여 현황 : 34곳 참여 예정
ㅇ (금융관) 주요 은행 및 금융공공기관 등 14곳
ㅇ (핀테크관) 네이버파이낸셜(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비바리퍼블리카(토스), 레이니스트(뱅크샐러드) 등 20곳
구분 | 금융관 | 핀테크관 |
1 | KB국민은행 | 글로벌머니익스프레스 |
2 | 금융결제원 | 네이버파이낸셜(네이버페이) |
3 | 농협은행 | 레이니스트(뱅크샐러드) |
4 | NH투자증권 | 리얼아이덴티티 |
5 | 미래에셋대우 | 머니스테이션 |
6 | 신한은행 | 모핀 |
7 | 우리은행 | 비바리퍼블리카(토스) |
8 | 인트로글로벌 | 빅쏠 |
9 | 중소기업은행 | 오케이첵 |
10 | 캐롯손해보험 | 올링크 |
11 | 한국예탁결제원 | 왓섭 |
12 | 한국투자증권 | 위닝아이 |
13 | 한국포스증권 | 지속가능발전소 |
14 | VISA | 직뱅크 |
15 |
| 카카오페이 |
16 |
| 투게더앱스 |
17 |
| 티클 |
18 |
| 페이민트 |
19 |
| 페이플 |
20 |
| 한국어음중개 |
※ 순서는 가나다순으로 정렬
참고 3 |
| 레그테크 쇼케이스 구성(안) |
□ 온라인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0」의 특별세션 內에 ‘레그테크 쇼케이스’ 메뉴를 별도 운영(금융감독원)
ㅇ 이를 통해 금융회사가 법규 준수를 위해 레그테크를 적용한 우수사례 등을 공유하고 레그테크 도입을 가속화
□ 콘텐츠 구성
ㅇ 레그테크 확산 시범사업 사례 공유(금융감독원·코스콤 및 금융보안원)
- 머신리더블 레귤레이션*(MRR : Machine Readable Regulation) 시범사업 결과 및 금융보안 레그테크 포탈 운영 사례를 발표
* IT시스템이 “❶금융규제 이해(기계인식 가능언어로 변환)→❷관련 데이터 추출→❸업무보고서 작성→❹감독당국 제출”이라는 일련의 업무보고서 작성 프로세스를 스스로 수행
ㅇ 레그테크 솔루션 소개(레그테크 전문기업)
- 레그테크 전문기업 2개사가 금융회사 등의 금융규제 준수 업무 지원 솔루션(자금세탁 방지, 보험금 착오지급 점검)을 발표
ㅇ 레그테크 도입·활용 사례(금융회사)
- 금융회사 2개사가 레그테크 도입에 따른 법령 및 내규 준수 업무의 효율성 및 정확성 제고 사례를 발표
레그테크 쇼케이스 참여기관 구성(안)
기관명 | 분야 | 주요 내용 |
금융감독원·코스콤 | MRR | 전자금융거래법 관련 MRR 시범사업 결과 |
금융보안원 | 금융보안 레그테크 포탈 | 정보보호 수준 자율진단, 금융보안 보고서 자동 생성 등 |
에임스 | 보험금 착오지급 방지 | 보험약관의 자동 알고리즘화 및 보험금 착오지급 검출 |
옥타솔루션 | 자금세탁방지 | 전자금융업자 등 업종 맞춤형 자금세탁방지 솔루션 제공 |
신한은행 | 글로벌 정보보호 | 뉴욕주 사이버보안법 등 글로벌 정보보호 법규 준수 여부 점검 |
우리은행 | 수출입 선적서류 심사 | 서류 분류→텍스트 추출→데이터 축적→심사 등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