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영랑(金永郞, 1903~1950)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윈 설움에 잠길 테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 모란 : 작약과의 낙엽 활엽 관목/ 화자의 소망, 희망
* 봄 : 모란이 피는 계절/소망이 이루어지는 계절
* 여읜 : 이별한, 상실한.
* 서운케 : 서운하게.
* 보람 : 모란을 보는 기쁨/소망을 이룬 보람
* 삼백예순 날 : 서러운 정감의 깊이
* 하냥 : 한결같이, 늘.
* 우옵내다 : ‘우옵나이다’의 준말, 혹은‘우옵니다’의 전라도 방언
* 찬란한 슬픔 : 모란을 보는 기쁨과 지는 슬픔의 동시적 표현
봄을 기대하는 마음과 봄을 보내는 서러움을 모란을 통해 표현함으로써 ‘기다리는 정서’와 ‘잃어버린 설움’을 대응시키고 모란으로 상징되는 소망의 실현에 대한 집념을 보이고 있다.
시의 중심 소재인 모란은 화자에게 아름다움이자 삶의 보람이며 간절히 소망하는 대상이다. 화자가 참고 기다리고 또 우는 것도 모두 모란이 피고 지는 까닭에서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화자에게 ‘봄’은 모란이 피는 기쁜 시간이지만 모란이 지기 때문에 슬프고 고통스러운 시간이다. 화자는 모란이 피어 있는 잠깐의 시간을 위해 삼백예순 날의 기다림과 고통을 기꺼이 감수하겠다는 자세를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화자의 태도는‘찬란한 슬픔의 봄’이라는 역설적 표현으로 축약되어 제시되고 있다. 또한 11~12행에서 1~2행의 내용을 반복하면서 모란이 피기를 기다리겠다는 의지를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간절한 소망과 달성의 기쁨, 기쁨의 소멸과 좌절, 그리고 다시 간절한 소망, 이런 반복과 순환의 과정이 바로 삶 자체라는 깨달음을 바탕으로 한다.
한편, 이 시는 언어적 감각과 문학의 순수성을 중요시한 1930년대 시문학파의 경향을 잘 보여 주는 시로, 시의 음악성과 시어의 세련된 표현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모란’으로 상징되는 아름다움을 위해 자신의 전 생애를 바치겠다는 점에서 유미주의적 태도가 드러난다.
이 시에서 ‘모란’은 ‘봄’, ‘소망’, ‘보람’과 유사한 의미를 지닌다. ‘봄’은 소망, 보람, 삶의 가치로 상징되는 ‘모란’이 피는 기쁜 시간인 동시에 모란이 지는 슬픈 시간이다. 이와 같이 기쁨과 절망이 교차하는 상황과 화자의 복합적인 심경이 ‘찬란한 슬픔의 봄’이라는 역설적 표현에 집약되어 나타난다.
강진 영랑생가(康津 永郞生家. 중요민속문화재 제252호)는 전남 강진군 강진읍 영랑생가길 15. 현대문학사에 있어서 큰 자취를 남긴 시인 영랑 김윤식(永郞 金允植, 1903-1950)이 태어난 곳으로 현재 본채와 사랑채, 문간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주변 밭을 포함하고 있다. 역사적으로는 불탑이 있었고 문화적으로는 재능과 지식을 갖춘 '영랑 김윤식의 생가'라는 역사문화적 가치와 함께 20세기 초반 건조물인 전통한옥과 근대 건조물의 이행기의 가옥으로서 문화변용의 한 형태도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더불어, 영랑의 문학적 세계를 후손에게 길이 체감할 수 있는 공간으로 그 가치가 중요하다.
본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반인 팔작집으로 지붕은 후대에 보수하였다. 좌측 2칸은 전면에 유리창문을 달았으며 우측 3칸은 앞면은 마루이며 모두가 방이다. 사랑채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집으로 원형이 잘 보존되고 있는 편이다. 전면과 양칸에 ㄷ자형으로 마루를 깔았으며 우측 1칸에는 마루 앞에 나즈막한 난간을 설치한 것이 특이하다. 이 가옥을 통하여 전통한옥이 시대 변화를 따라 변용되어가는 모습을 알 수 있다.
김영랑(金永郞, 1903~1950)의 본명은 윤식(允植)이다. 서울의 휘문고보를 거쳐 1919년 기미독립운동이 발발하자 고향에 내려와 강진지역의 독립운동을 주도하다가 일본 경찰에 발각되어 대구교도소에서 6개월간의 옥고를 치뤘다. 출옥 후 영랑은 고향집에서 문학에 뜻이 있는 인사들과 함께『靑丘(청구)』라는 동인지를 내며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일본 東京 靑山학원에서 수학한 후 귀국하여 용아 박용철(1904. 6. 21-1938. 5. 12) 등과 교류하면서 최초로『시문학』 동인지를 만들면서부터 작품을 발표하였다. 그의 문학은 두말할 나위 없이 일본강점기 치하에서 설움 받은 내용을 시로 표현하고 그의 젊은 정열과 민족의 기상을 은연중 문학을 통해서 불살랐던 우리나라 현대문학의 큰 별이라고 할 수 있겠다.
모란[학명: Paeonia suffruticosa ANDR.]은 작약과의 낙엽활엽관목이다. 목단(牧丹), 목작약(木芍藥), 화왕(花王), 백화왕(百花王), 부귀화(富貴花), 부귀초(富貴草), 천향국색(天香國色), 낙양화(洛陽花), 상객(賞客), 귀객(貴客), 화신(花神), 화사(花師), 화사부(花師傅) 등 다른 이름이 있다.
모란의 다른 이름인 목작약(木芍藥)은 작약(芍藥)과 비슷한 목본(木本)이란 뜻이다. 모란(牧丹)과 작약은 다 같이 그 꽃모양이 장려하고 잎모양이 단정하여 모든 꽃 가운데 뛰어나다고 일컬어져 왔다. 그래서 "앉으면 모란, 서면 작약"이란 말도 생겨났다. 중국사람은 이 두 가지 꽃을 다 같이 사랑하여 나무에 속하는 모란과 풀에 속하는 작약을 접목·교배 등을 해서 친족관계에서 혈족관계로까지 발전시켰다. 그리하여 모란을 목작약이라 하고 작약을 초목단(草牧丹)이라고 하기까지에 이른 것이다.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이용한다. 꽃말은 '부귀, 영화, 왕자의 품격, 행복한 결혼'이다.
작약( 芍藥, 학명: Paeonia lactiflora Pall.)은 작약과의 여러해살이풀
요즘 꽃놀이라면 벚꽃이나 장미가 최고인줄 알지만, 동양에서 꽃의 왕은 모란(목단牧丹)이고 꽃의 재상은 함박꽃(작약芍藥)이다. 모란은 꽃의 왕답게 계절의 여왕인 5월에 핀다. 재위 17년, 태종은 격무로 바쁜 와중에도 형님인 상왕 정종을 모시면서 “지금 모란꽃도 활짝 피었으니 좋은 때를 헛되게 저버릴 수가 없다”며 술자리를 마련하기도 했다. 그만큼 모란은 조선 꽃놀이의 백미였다.
당 현종(唐玄宗 李隆基)과 양귀비(楊貴妃, 719~756)는 모란꽃 감상회를 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태백(李太白)은 이때 한림학사(翰林學士)로 초대받아 마음껏 아양을 떨었다. “명화와 경국지색(傾國之色)이 어울려 왕의 얼굴에 미소 가득하네”로 시작하는 ‘청평조사(淸平調詞)’는 이때 지어졌다.
✺ 모란의 지조 ― 臘日宣詔幸上苑(납일선조행상원) 납일 상원으로 행차한다는 교지를 내리다
/ 武則天(무측천)
明朝遊上苑(명조유상원) 내일 아침 정원으로 나들이 갈 참이니
火急報春知(화급보춘지) 서둘러 봄에게 알리도록 하라
花須連夜發(화수연야발) 꽃들은 밤을 새워서라도 다 피어 있으라
莫待曉風吹(막대효풍취) 새벽바람 불기를 기다리지 말고
✵ 시어 풀이
○ 臘日(납일): 동지가 지난 뒤 셋째 미일(未日). . 납향(臘享)을 함.
○ 詔(조) 조서 조
○ 宣詔(선조) 조칙을 내리다. 교지를 내리다.
○ 幸 (옛날) 임금이 행차하다.
○ 上苑(상원): 천자(天子)의 정원. 궁궐안에 있는 후원. 비원.
○ 火急(화급): 걷잡을 수 없이 타는 불과 같이, 썩 급함.
○ 報(보): 알리다. 알림. 통지.
○ 連夜(연야): 여러 날 밤. 며칠 밤. 연야. 연소(連宵).
○ 曉風(효풍): 새벽에 부는 바람.
○ 莫(막): ~하지 말라. 불가하다.
✵ <臘日宣詔幸上苑(납일선조행상원)>: 화왕(花王)의 영예를 가진 모란은 부귀영화의 상징이자 지조, 절개의 표상이기도 하다. 중국 유일의 여황제 무측천이 지은 이 시에는 전설 같은 후일담이 뒤따른다.
어느 엄동설한, 여황제가 문득 황실 정원의 꽃을 완상(즐겨 구경하다)하고 싶다고 하자 한 신하가 아첨을 떨었다. “내일 아침 모든 꽃이 만발하도록 폐하께서 성지를 내리시지요.” 측천은 5언시로 된 이 조서를 발했다. 꽃의 요정들은 이 조서를 보자 화들짝 놀라 밤새 바지런히 꽃망울을 터뜨렸다. 다음 날 아침 황제가 정원으로 나와 보니 과연 백화가 만발해 있었다. 한데 유독 모란만은 꽃을 피우지 않았다. 시도 때도 없이 꽃망울을 내밀기엔 자존심이 허락지 않았던 것이다. 황제의 명령에도 눈 하나 까딱하지 않는 오연(傲然)한 지조였다. 화가 머리끝까지 치민 황제는 모란을 뿌리째 뽑아 불에 태우라고 명령했고, 그래도 분이 풀리지 않았던지 아예 모란을 수도 장안에서 멀리 낙양(洛陽)으로 내쳐버렸다.
황당해 보일지라도 전설의 발원에는 한 가닥 모티프가 내재하고 있을 터, 그것은 한 여장부의 비범한 자신감일 것이다. 남성 중심 사회에서 일개 궁녀의 신분으로 자신의 운명을 완전히 뒤바꾸어 일약 황제로까지 등극했던 그 자신감 말이다. 그 후 낙양은 모란의 번성지가 되어 각종 진귀한 품종이 생겨났고, 오늘까지도 낙양의 봄날 공원에는 ‘낙양홍(洛陽紅)’이라는 이름으로 모란이 한껏 기세를 떨치고 있다.
✵ 무측천(武則天, 624~705): 무후(武后). 당나라 제3대 황제 고종(高宗)의 황후. 이름은 조(曌)고, 병주(幷州) 문수(文水) 사람이다. 당나라 창업에 공헌한 무사확(武士彠)의 딸이다. 일설에는 정관(貞觀) 4년(630)에 태어났다고도 한다. 뛰어난 미모로 14살 때 태종(太宗)의 후궁이 되었지만, 황제가 죽자 비구니가 되었는데, 고종의 눈에 띄게 되어 다시 불려 총애를 받았다. 그 후 간계를 써서 황후 왕씨(王氏)를 모함하여 쫓아내고 영휘(永徽) 6년(655) 황후가 되었다.
몇 년 뒤 고종의 건강을 핑계로 스스로 정무를 맡아보며 독재 권력을 휘둘렀고, 문예와 이무(吏務)에 뛰어난 신흥관리를 등용하여 세력을 구축하면서 옛 귀족층을 배척했다. 고종과 함께 이성(二聖)으로 불렸다. 홍도(弘道) 원년(683) 고종이 죽자 자신의 아들 중종(中宗)과 예종(睿宗)을 차례로 즉위시키고, 그녀에게 반항하여 난을 일으킨 이경업(李敬業)과 당나라의 황족 등을 무력으로 탄압했다. 뿐만 아니라 어사(御史)와 밀사를 이용하여 대규모의 탄압을 자행하는 한편, 불경(佛經)을 위조하고 부서(符瑞)를 날조하여 무씨(武氏)의 천하를 합리화시켰다. 천수(天授) 원년(690) 스스로 성신황제(聖神皇帝)라 칭하며 나라 이름도 주(周)로 고치고(역사에서는 武周라 한다.) 16년 동안 재위했다. 혹리(酷吏)를 임용하기도 했지만 사람을 잘 써 명상(名相)이 많이 배출되었다. 만년에는 호사로운 생활에 빠져 폐정(弊政)이 거듭되었다. 신룡(神龍) 원년(705) 재상 장간지(張柬之) 등이 중종에게 황위를 선양(禪讓)했고, 그 해 병에 걸려 죽었다. 시호는 측천황후(則天皇后)다.
화왕(花王)의 영예를 가진 모란은 부귀영화의 상징이자 지조, 절개의 표상이기도 하다. 중국 유일의 여황제 무측천이 지은 이 시에는 전설 같은 후일담이 뒤따른다. 어느 엄동설한, 여황제가 문득 황실 정원의 꽃을 완상(즐겨 구경하다)하고 싶다고 하자 한 신하가 아첨을 떨었다. “내일 아침 모든 꽃이 만발하도록 폐하께서 성지를 내리시지요.” 측천은 5언시로 된 이 조서를 발했다. 꽃의 요정들은 이 조서를 보자 화들짝 놀라 밤새 바지런히 꽃망울을 터뜨렸다. 다음 날 아침 황제가 정원으로 나와 보니 과연 백화가 만발해 있었다. 한데 유독 모란만은 꽃을 피우지 않았다. 시도 때도 없이 꽃망울을 내밀기엔 자존심이 허락지 않았던 것이다. 황제의 명령에도 눈 하나 까딱하지 않는 오연(傲然)한 지조였다. 화가 머리끝까지 치민 황제는 모란을 뿌리째 뽑아 불에 태우라고 명령했고, 그래도 분이 풀리지 않았던지 아예 모란을 수도 장안에서 멀리 낙양(洛陽)으로 내쳐버렸다.
황당해 보일지라도 전설의 발원에는 한 가닥 모티프가 내재하고 있을 터, 그것은 한 여장부의 비범한 자신감일 것이다. 남성 중심 사회에서 일개 궁녀의 신분으로 자신의 운명을 완전히 뒤바꾸어 일약 황제로까지 등극했던 그 자신감 말이다. 그 후 낙양은 모란의 번성지가 되어 각종 진귀한 품종이 생겨났고, 오늘까지도 낙양의 봄날 공원에는 ‘낙양홍(洛陽紅)’이라는 이름으로 모란이 한껏 기세를 떨치고 있다.
중국 원산이고, 함경북도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국에서 재배하고 있다. 많은 재배품종이 있으며, 높이 2m이며 가지는 굵고 털이 없다. 잎은 3겹으로 되어 있고 작은 잎은 달걀모양이며 2∼5개로 갈라진다. 잎 표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잔털이 있으며 흔히 흰빛이 돈다.
꽃은 양성으로 5월에 홍색으로 피고 지름 15cm 이상이며 꽃턱이 주머니처럼 되어 씨방을 둘러싼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꽃잎은 8개 이상이며 크기와 형태가 같지 않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게 깊이 패어 있는 모양이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2∼6개로서 털이 있다. 열매는 9월에 익고 내봉선(內縫線)에서 터져 종자가 나오며, 종자는 둥글고 흑색이다.
꽃이 아름다우면 뿌리의 약효도 좋을 듯하지만 반대다. 본초강목은 “많은 거름과 토양으로 색다른 진귀한 꽃을 피우면 뿌리는 약효가 없다”고 지적한다. 한의학에서 모든 존재는 완벽한 태극으로 이뤄져 음양의 양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겉이 딱딱한 것은 속이 부드럽다. 자라 거북은 껍데기는 단단하지만 속 몸통은 부드럽다. 반대로 복숭아나 자두는 겉은 부드럽지만 속은 단단한 씨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같다. 음과 양은 존재를 구성하는 필수적인 요소다.
모란도 음양이 균형감 있게 조화를 이뤘다. 흐드러진 꽃은 생의 가장 아름다운 시절을 보여주는 것 같다. 모란 뿌리는 갱년기 자궁 위축을 치료하는 가장 훌륭한 약재다. 한의학에서 여성성은 우리 몸의 주요 혈맥 중 하나인 ‘충맥(衝脈)’이 주도한다. 충맥은 상승하면서 비워진 곳을 채워주는 기능을 한다. 젊은 여성은 혈액이 생기면 처음에는 자궁을 채운 다음, 가슴과 머리로 올라간다. 하지만 갱년기가 돼 자궁이 위축되면 자궁을 채울 혈액이 가슴으로 몰리면서 심장의 혈류량이 넘쳐 흐르고 열기가 위로, 머리로 올라간다. 상부로 올라온 열기는 두통과 상기증, 어지러움, 이명, 상부 온열감, 하체 냉감, 두근거림, 심리적 초조감을 만들어낸다.
모란도병풍(牡丹圖屛風, 괴석모란도8폭 병풍), 조선 19세기 ~ 20세기 초, 비단에 채색, 크기: 병풍 각 폭 세로: 202.4cm, 가로: 52.5cm | 화면 각 폭 세로: 167.3cm, 가로: 45cm,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탐스러운 꽃송이들이 달린 모란 줄기가 가득찬 여러 폭의 화면으로 구성된 그림이다. 비슷한 형태의 도안화된 그림이 각 폭에 반복되고 있으며 장식적인 성격이 강하게 드러난다.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모란도병풍은 4폭 · 6폭 · 8폭의 형태이며, 병풍 높이가 3m 이상일 정도로 대형인 것도 있다. 모란 줄기만 그린 것과 모란 줄기가 올라오는 지면에 괴석이 놓여 있는 형태로 그린 것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세부적으로 조금씩 다른 화풍이 구사된 것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수직적인 구도와 평면적이고 도식적인 화풍을 보여 준다. 모란꽃은 크고 화려한 모양 덕분에 부귀영화의 상징으로 인식되어왔으며 꽃 중의 왕이라는 뜻의 ‘화왕(花王)’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왕실에서는 부귀라는 본래의 상징 의미를 넘어 국태민안(國泰民安)과 태평성대(太平聖代)의 상징을 담은 모란 그림을 큰 규모의 병풍으로 만들어 중요한 의례에 사용하였다. 모란도병풍은 가례(嘉禮)와 같은 경사스러운 일뿐 아니라 국장(國葬)과 같은 흉례(凶禮) 때와 왕실 사당인 종묘(宗廟)에서 여러 가지 의례를 올릴 때, 그리고 진전(眞殿)에 왕의 어진(御眞)을 봉안할 때에도 사용되었다.
[자료출처 및 참고문헌: 〈이준식의 漢詩 한 수(이준식, 성균관대 중어중문학과 교수, 동아일보 2022년 04월 22일.(금)〉, 《원색한국식물도감(이영노.교학사)》, 《한국의 자원식물(김태정.서울대학교출판부)》, 《우리 나라의 나무 세계 1(박상진.김영사)》, 《동아일보 (이상곤 갑산 한의원 원장)》, 《국립고궁박물관(문화유산 정보)》, 《Daum, Naver 지식백과》/ 글과 사진: 이영일 ∙ 고앵자 생명과학 사진작가 ∙ 채널A 정책사회부 스마트리포터 yil2078@hanmail.net]
첫댓글 예쁘네요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