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베이스캠프 오르면서 본 마나슬루 1. 전체기간 : 2023. 10.29 ~ 2023.11.17. 19일간 2. 네팔 히말라야 " 마나슬루 써킷 (트레킹) " 3. 동행 : 수영형님 4. 세부일정 1) 2023. 10.29. 인천공항 출발 중국 청두 공항 도착 호텔 1박 2) 2023. 10.30. 청두공한 출발 네팔 카투만두 도착 타멜 숙소에서 1박 3) 2023. 10.31. 들머리 마차콜라 도착(버스 10시간,짚차 1시간) 4) 2023. 11.01. 산행 1일차 : 마차콜라 (869m) ~ 따또바니 ~ 도반 ~ 자갓(1,33m) 19km 5) 2023. 11.02. 산행 2일차 : 자갓 (1,330m) ~ 셀러리 ~ 필림 ~ 냑 ~ 뎅(1,860m) 20km 6) 2023. 11.03. 산행 3일차 : 뎅(1,860m) ~ 비히페디 ~ 갑 ~ 남눙(2,630m) 18km 7) 2023. 11.04. 산행 4일차 : 남눙(2,630m) ~ 쇼 ~ 로 ~ 살라(3,480km) 13km 8) 2023. 11.05. 산행 5일차 : 살라(3480km) ~ 사마가온(3520m) 7km 9) 2023. 11.06. 산행 6일차 : 고소적응 사마가온(3,520m) ~ 바이런드호수 ~ 마나슬루 베이캠프(4,823m) 왕복 14km 10) 2023. 11.07. 산행 7일차 : 사마가온(3520m) ~ 삼도(3,851m) 9.14km 11) 2023. 11.08. 산행 8일차 : 삼도(3,851m) 9.14km ~ 다람살라(4,460m) 6.1km 12) 2023. 11.19. 산행 9일차 : 다람살라(4,460m) ~ 라르케페디(5,103m) ~ 빔탕(3,740m) 16km 13) 2023. 11.10.산행10일차 : 빔탕(3,740m) ~ 고와(2,525m) 15km 14) 2023. 11.11.산행11일차 : 고와(2,525m) ~ 다라파니(1,816m) 10km 산행 끝 15) 2023. 11.12.일정12일차 : 다라파니(1,816m) ~ 베시사하르 (짚차 약 4시간 이동 44km) 16) 2023. 11.13.일정13일차 : 베시사하르 ~ 카투만두 타멜(버스이동 약 10시간) 17) 2023. 11.14.일정14일차 : 카투만두 타멜및 시내관광 18) 2023. 11.15.일정15일차 :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 "박타푸르" 관광 19) 2023. 11.16.일정16일차 : 네팔 카투만두 출발 ~ 중국 청두 공항에서 1박, 떠돌이 신세 ㅋ 20) 2023. 11.17.일정17일차 : 청두공항 출발 ~ 인천 국제공항 도착 들어가며... 마나슬루산( Mount Manaslunaslu, 8,156m)은 세계에서 8번째로 높은 산으로, 산스크리트어로 ‘영혼의 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1956.5.일본팀 처음으로 등정에 성공하였다.(위키백과) 그리고 이산은 히말라야 역사상 두 번째로 많은 15명(한국대원 4명, 일본,1명, 셀파 10명)이 죽은 비운의 산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선 1971년 김00 동생분이 등정 하다가 돌아가신 후 1972년 형 김00가 다시 도전하였다가 형 마저 돌아가신 곳 이기도 하다. 대한민국에서는 1980. 4.28. 동국대학교 산악반에서 처음 등정 했다. 마나슬루 써킷 : 마나슬로 봉을 가운대로 두고 들머리 마차콜라(869m)에서 시작하여 최고높이 라르케라패스 즉 고개 (5,106m)를 넘어 안나푸르나써킷 시작점이자 마나슬로 써킷 끝나는 다라파니 (1,816m)까지 둘레길 약 142km (사이드 트레킹 : 마나슬루 베이스캠프왕복 약 14km 포함)를 도는 트레킹 코스다. 마나슬루 써킷의 들머리와 날머리는 지정 확정된 곳이 아니고 여행일정등 마을 따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6부 : 고소적응 사마가온(3,520m)~바이런드호수~마나슬루 베이스캠프(4,823m) 왕복 14km 2023.11.6 .산행 6일차 이곳 히말라야는 트랙커들의 빈틈을 귀신같이 알고 파고들어 용서라곤 전혀 찾아볼 수 없는 것 같다. 이번 트레킹 역시 나름 몸 관리를 누구보다도 철저히 챙겼는데 어찌할 수 없나 보다. 더욱이 트래킹 동안 초가을 날씨였던 들머리 마차콜라(해발 869m)에서만 유일하게 샤워를 했는데 감기 원인은 따로 있었던 것 같았으며 증상은 심하지 않았고 아울러 16년도 첫 마르디히말 베이스캠프 능선 트래킹을 통해 뼈저리게 느낀 것이 아침 식사였다. 아무래도 트래킹 특성상 아침밥을 잘 먹어야 그날 일정을 무리 없이 끝낼 수 있는데 도착 첫날 저녁 롯지에서 주문한 네팔 음식주식인 달밥을 처음 먹어보고 도저히 적응이 안 된 탓에 그 후 아침 점심 저녁모두 만두, 수제비, 국수, 샌드위치 등을 번갈아 먹다 보니 트래킹 내내 특히 후반부에 체력이 떨어져 힘이 들었고 조금 빨리 걷는 미숙한 점도 있었지만 이때 함께한 원정등반 경험이 많은 친구로부터 많은 것을 배우고 느꼈다 총 다 섯명이 간 17년도 쿰부히말 (낭가르창피크~에베레스트베이스캠프~칼라파타르~촐라패스~고교리~초오유bc) 때는 국내 비박산행 처럼 산악용 압력솥 ,코펠 및 쌀, 라면, 일회용 김과 국거리를 준비하여 아침과 점심은 우리가 조리해서 먹고 저녁은 롯지에서 매식하였다. 서로간 의견차이로 고생은 하였지만 체력적으론 그래도 선방을 했다. 또한 19년도 랑탕~헬람부를(칠리메~타망~강진리~체르코리~코사인쿤드~순다리잘)평소 비박을 함께 다닌 형님과 같은 방법으로 무리 없이 아주 나이스ㅋ 하게 끝내었다 그래서 이번에도 지난 트레킹처럼 준비하여 한 방을 같이 사용하고 아침밥과 국 점심 라면등 수영형님과 식사를 함께 했는데 아마도 감기가 옮은 것 같다. 이미 남릉에서부터 감기 기운이 있어 가져간 약을 부지런히 먹으며 더욱더 조심했지만 여지없이 반갑지 않은 손님은 결국 찾아왔으며 히말라야는 끝내 나에게 자비를 베풀지 않았고 그 빈틈을 헤 집고 들어왔다. 아침에 일어나니 그나마 심하지 않고 기침만 조금씩 나오고 있어 다행이다. 17년 쿰부히말 트레킹 할 때 다섯 명중 나이가 제일 어린 내가 리딩자로 서로에게 불편을 주지 않고 사고 없이 무사히 트레킹을 마치고 싶은 욕심에 트래킹 첫 날 루크라를 출발할 때 주의사항 및 다소 도움이 되는 말을 나이 드신 네 분의 형님들에게 반복적으로 하였다. 그런데 중국 고산을 다녀와 경험이 있다며 잔소리라 생각하고 결국 이것이 불화의 원인 되었는데 이번에도 핫샤워나 음주관련 해서 몇 번이나 의견을 비추는 등 조심스러운 것이 사실이었다. 그러나 말을 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해서는 안될 행동을 하여 둘 중 누구 하나라도 몸 상태가 급격히 악화되면 한 참을 준비하고 힘들게 온 트래킹을 중간에 포기해야 하기에 신경을 안 쓸 내야 안 쓸 수가 없다. 가능한 트레킹 동안만이라도 서로가 서로를 배려하자는 의미에서 잔소리 아닌 잔소리를 하게 되고 때론 산행에 해을 줄 수 있는 의견에 응하지 않았는데 이 산행기를 통해 사정을 말씀드립니다... 수영형님은 밤에도 계속 기침을 하기에 아침에 일어나 컨디션을 물어보자 괜찮다고 한다. 이번 최고높이 라르케라패스가 5,160m 이고 베이스캠프는 맴미스높이 4,823m (표지판 4,400m) 약 7km, 고도 1,000m을 올렸다가 내리는 왕복 14km로 다녀오면 고소적응이 될것같고. 선답자분들의 산행기에도 무척 힘들었다며 결코 쉽지 않은 코스로 마음의 준비를 단단히 하지만 한 구석이 걸리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오늘은 조금 일찍 일어나 역시 아침을 해 먹고 미리 주문한 오므라이스 2개와 점심용 라면, 가스, 버너, 코펠 ,물등을 챙겨 베이스캠프로 출발한다. 포터와 가이드는 수영 형님과 내 배낭을 챙겨 가벼워서 그런지 아침부터 얼굴색이 밝다.ㅎ 내일 진행할 삼도 방향으로 가다가 나이키피크 왼쪽능선 아래로 방향을 틀어 들어서자 향긋한 숲내음이 코끝을 찌르고 조금씩 고도를 올려가니 숲의 나무 키높이는 점점 작아지고 아침 햇살이 비추고 있는 마나슬루가 눈이 휘둥그래질 정도로 그동안 보지 못한 또 다른 멋진 자태를 들어낸다. 왼쪽으로 마나슬루와 그 주변 빙하가 녹아 흘러내려 만들어진 바이렌드 호수가 온몸을 짖은 옥색치마로 휘감고 있는 모습으로 눈앞에 다가오며 17년도 쿰부 고교리(5,350m)에서 바라본 세 번째 고교호수가 떠오른다 선답자 산행기에 의하면 능선 중턱에 티샆이 있다고 하여 힘듦을 참고 올라갔건만 그곳에 도착하자 부서진 텐트 한동만 휑하니 있어 아쉬움만 가득하고 계속되는 오르막을 들숨 날숨으로 천천히 들이쉬고 내쉬면서 올라간다. 고도가 은근히 높아질수록 몸은 그만큼 힘들고 지쳐가며 진행 방향이 바뀌자 그동안 보지 못했던 새로운 마나슬루 모습이 버티고 있으며 그를 중심으로 기똥찬ㅋ 풍경이 눈앞에 들어오고 맞은편 삼아가온 뒤 카양 희말이 장막을 친 듯 구름이 걸려 멋진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수형 형님이 힘들어하는 것 같아 오버 페이스를 하지 않나 싶어 조금 천천히 진행하자고 말을 하지만... 고산에서는 다른 방법이 없다 그저 천천히 이곳 말로 비스따리가 명 약이다. 아무리 다른 운동을 많이 했고 그에 따른 운동방법이 최고라고 하여도 고도가 높은 여기에선 특히 타국에서 온 트래커들은 이곳의 원칙을 따라야 하는데 걱정이 앞선다. 지구 온난화 탓인지는 모르겠으나 빙하가 녹은 물이 계곡을 이루고 그 빙하 밑으로 녹은 빙하가 흘러내린다. 또한 건너편에는 빙하와 빙하 사이가 여러 겹을 이루며 쩌어적 갈라져 있는 크레바스 모습이 백설기떡 사이 검정꿀고물을 넣은 것처럼 보이는 것이 금방이라도 한 젓가락 하고 싶은 마음뿐이고ㅎㅎ 고요한 능선길에 갑자기 우당탕 하는 큰소리가 들려 건너편 왼쪽 위를 바라보자 빙하가 위에서부터 녹으며 밀려 내려와 눈가루를 휘날리며 부서지는 멋진 광경이 펼쳐진다ㅎ 진기한 장면을 보고 한 참을 기다리지만 사진촬영엔 실패하고. 이후 지친 몸을 어기적 어기적 끌며 마나슬루 정상부를 바라보며 쉼 없이 올라가니 햇빛에 녹은 질퍽한 눈길이 있고 가뿐 숨을 몰아쉬며 힘들게 조금을 더 진행하자 사각형의 시멘트 바닥에 초르텐?눙다? 와 돌탑이 있는 베이스캠프에 마침내 도착한다. 지칠 대로 지친 몸을 하얀 눈 위에 벌러덩 누워 잠시 쉬면서 푸르고 푸른 하늘을 바라보니 세상 부러울게 읍고 행복감에 젖어든다. 이러니 8천 미터 이상급을 오른 사람들은 얼마나 해피했을까!! 그러나 나 역시 그에 못지않게 기쁘고 힘들게 올라온 만큼 보람도 있고 이 순간 행복한 엔돌핀이 온몸을 쫘아악 퍼지며 전율케 한다. 얼마 전 영화 제목 "죽어도 좋아" 처럼 정말 이대로 디져도 좋을 만큼 좋다 ㅋㅋ. 일어나 마나슬루봉을 기점으로 능선 아래로 펼쳐진 풍광에 또 한번 디져도 좋을만큼 눈 호강을 한다. 베이스캠프 뒤로 보이는 마나슬루능선이 북봉을 지나 끝없이 이어지며 빙하와 덮인 눈이 어우어져 구름이 걸친 모습과 함께 마치 용의 비늘 같고 트림을 끝내고 승천하는 한 마리의 용을 연상케 하고 또한 맞은편 카양희말 역시 이에 질세라 바삐 움직이는 구름을 잡아놓고 마나슬루와 누가 더 멋진지 맞장을 뜨며 평을 해달라지만 관전자인 나는 이 순간 양쪽 둘다 멋진 모습을 놓치고 싶지 않아 사진촬영 하기 여념이 없고 이번 트래킹 처음으로 스마트폰으로 동상상도 찍어본다. 특히 이곳은 오후가 되면 구름이 밀려와 주변 풍경을 가려서 더욱 마음이 급해지고 구름이 이동하는 것도 보이니.. 그래도 풍경이 완죤 미친 게 아닌가 싶다.ㅎ 정신을 차리고 보니 수영형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조금 있으니 올라오시는데 얼굴이 창백하며 안 좋아 보여 몸상태를 물어보니 괜찮다고는 하는데..이어 속속 도착한 외국 트래커들과 다른 가이드 포터들이 네팔 신나는 노래를 부르며 기쁨에 겨워 덩실덩실 춤을 춘다. 나도 합류하여 이들과 함께 어울려 어깨춤을 추며 기쁨을 만끽한다. 사실 이행동도 하면 몸의 지침이 빨리 오는 데 이번만은 그냥 구경만 할 수 없었다 ㅋ 가이드에게 가져온 라면을 끓이자고 하니 이 넘 왈 이곳에서는 라면을 못 끓인다며 안된다고 한다! 하긴 같이 올라온 외국인들도 많고 우리만 불을 지펴 조리할 순 없지!!! 아니 그런데 여긴 베이스캠프 아녀??? 원정온 사람들도 이곳에 있으면서 음식을 해 먹고 준비하여 정상에 올라가는 건데 베이스캠프에서 음식 해먹지 어디서 해 먹냐며 가이드 넘에게 말을 하자 그래도 안된단다 벌금을 물어야 한다며!! 헐 미춰버리건넹 배 고픈디 졸지에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보는 순간이 돠. 지금껏 그거만 믿고 배낭이 올 때까지 눈알이 빠지도록 기둘려는디!! 갑자기 멘붕이 오고 아무 생각없이 멍 때린다. 점심으로 준비해 온 오므라이스가 배낭 해드에 있는 데도 생각이 나지 않아 못 먹었고 불현듯 아 배낭 안에 남릉롯지에서 사온 제과점 빵이 생각이 난다. 급한 대로 그걸 먹고 허기는 조금 가시는 듯. 마음 같아선 이곳에서 더 있고 아니 하루를 자고 싶은 마음 이 굴뚝 같은디 그러다 정말로 디지겠다 시프고 아니 배가 고파서 더 이상 있을 수가 읍따 ㅍㅎㅎㅎ 서둘러 하산준비를 하며 수영형님은 가이드에게 안전하게 천천히 내려오라고 말하고 나 홀로 천천히 내려간다. 올라올 때 그렇게 힘들고 힘들던 곳이 내리막엔 거짓말처럼 붕붕 날아간돠.ㅎ 같은 장소라도 내려갈때 풍경이 전혀 다르고 멋져 바쁜 것도 없으며 나에게 있는 건 시간뿐 홀로 만끽하며 올라와왔던 길을 따라 되짚어 무사히 롯지에 도착한 후 콜라 한 병을 사서 마시고 다른 한 병을 수영형님 오시면 드시도록 냉장 보관을 부탁한다.가이드가 동행해서 걱정은 덜 하지만 그래도 염려가 되는 건 사실이다. 이제나 저제나 기다리다 약 1시간가량 후에 무사히 도착한다. 휴 다행이다!! 힘든 기색이 역력하다. 가이드가 수영형님이 고소가 온 것 같아 멀건 갈릭(마늘) 수프를 저녁 메뉴로 권하기에 달밥세트와 같이 주문하여 저녁을 먹고 재빨리 코펠을 가져와 펄펄 끓인 뜨거운 물을 날진병에 담아 수영형님 침낭에 넣어주고 (감기에 걸려남릉이후부터 트래킹 끝날 때까지) 다이닝룸 난롯불이 꺼질 때까지 있다가 룸으로 내려와 온종일 마음과 눈이 충만했던 하루일과를 끝낸돠!!! 카메라 지참을 못해 스마트폰으로 촬영함 아쉽더라고요 ㅎ 오르면서 바라본 마나슬루 빙하밑으로 녹은물이 흐르고 빙하가 녹아 흐른다 오르면서 바라본 마나슬루 조금씩 좁히며 당겨본딘 왼쪽 이 가이드 오른쪽 짐꾼 바이런드 호수 크레바스 카양히말(6,168m) 사마가온이 보인다 용 비닐같다 베이스캠프에서 바라 본 구름걸린 카양히말 |
베이스캠프 돌탑
힘들어서 뻗어 버린다 ㅎ
왼쪽 마나슬루
함께 어울려 어깨춤도 추고ㅋㅋ
곰 춤사이 가 관얀죠?? ㅍㅎㅎㅎㅎ
점점 구름이 몰려온다
하산중 바라 본 크레바스
내려가면서 본 맞은편 카양히말
V지형 바위
빙하 아래로 녹은 물이 흐르고
빙하터널 ㅋ
빙하계곡
빙하폭포 아래 빙하 그 밑으로 터널이
빙하가 밀려 떨어지는 곳
하산하면서 본 바이렌드호수
삼아가온과 삼도가는 길로 내려서고
부록 ㅋ
몬난이 입니다요 ㅎ
마나슬루 베이스 캠프에서 수영형님과 함께
첫댓글 와ㅡ우 ! 열정이 대단하네요.
무사안착 축하합니다.
그리고 새해 복많이받으세요.
감사합니다 꾸벅
설산들의 위용이 대단하다...
직접 보시면 더 멋지고요 네팔은 어느 곳 이던 실망을 하지 않을거라 생각하고요 어디던 한 번쯤은 가볼만 한 곳 같아요.
2024새해에도 멋진 산행 이어가길
넵! 형님은 내년엔 로또 대박 나셔유!!
히말라야의 멋진 풍경과 걸어가시는 고되면서도 즐거운 여정이 부럽습니다.
이어지는 산행기가 기다려집니다
사실은 그렇게 힘들지 않아요. 가기 전 꾸준히 산행 다니고 몸 만들어 가시면요. 이곳 형님들 정도면 걱정도 안하고요!! 천천히 걷고 조심하면 충분하고 넘쳐요
사마가온 도착과 함께 고산 현상이! 저녁 및 아침을 거의 못 하고 올라 배고파 죽는줄. ㅎ 내려 올 때는 배고파 현기증 나고 졸도 수준!